남북관계 경색국면 타개를 위한 대북특사설이 기정사실화되고 있으나 북측의 수용여부가 확인되지 않아 파견 시기는 유동적이다.
정부 고위당국자는 29일 “남북관계 경색국면을 풀어내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대북특사를 고려하고 있다”며 “시기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외교안보부처의 한 당국자는 “대북특사가 (현 상황에서) 가장 유용한 카드”라고 말했다.
정부는 그동안 ‘대북특사 고려’, ‘시기가 문제’라는 입장을 여러 경로를 통해 밝혀왔다. 대북특사 파견의 가능성을 열어두되 시기는 확정되지 않았다는 입장을 보이며 파견 여부 자체를 유동적이라고 표현해온 것이다. 정부가 이같은 입장을 보이는 이유는 특사의 성패를 가르는 북측의 수용여부가 확인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북측이 특사를 수용한다는 것은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특사를 만나 간접적인 정상회담을 진행한다는 것을 뜻한다. 지난해 1월처럼 남측의 대북특사가 김 위원장을 만나지 못했을 경우 사실상 특사는 ‘실패’한 것이다.
정부 한 당국자는 “특사가 김 위원장 면담에 실패하는 등 북측이 특사를 사실상 수용하지 않을 경우 미국에 대해 우리 정부가 할 말이 없어진다”고 밝혔다. 남북관계 경색국면 타개와 부수적 효과로 북미관계 진전, 핵문제해결의 돌파구까지 마련할 수 있는 카드가 특사파견이지만 실패할 경우에는 우리 정부가 미국 행정부에 큰 부담을 가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주말을 넘기면서 대북특사설이 기정사실화되는 이면에는 북측이 특사를 수용할 가능성이 커졌다는 우리 정부의 판단이 숨어있는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현재 다양한 비공개 채널을 통해 북측의 의사를 타진하는 것으로 알려진다.
정부 당국자는 “북경채널이나 남북간 핫라인 등이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며 “‘비선’ 라인을 통해 김정일 위원장이 특사를 만나도록 사전 조율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이미 고위당국자를 통해 “11월, 12월에 (남북간에 할 일을) 논의하고 1, 2월에 준비하고 3월에 이뤄지는 프로젝트가 필요하다”며 ‘연내 특사 파견과 내년초 남북정상회담’을 강하게 시사하는 시나리오를 밝힌 바 있다(내일신문 10월28일자). 이같은 시나리오는 정부 안팎에서 적극적으로 검토중인 안이라고 서울의 한 외교소식통은 밝혔다.
/연제호 기자 news21@naeil.com
정부 고위당국자는 29일 “남북관계 경색국면을 풀어내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대북특사를 고려하고 있다”며 “시기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외교안보부처의 한 당국자는 “대북특사가 (현 상황에서) 가장 유용한 카드”라고 말했다.
정부는 그동안 ‘대북특사 고려’, ‘시기가 문제’라는 입장을 여러 경로를 통해 밝혀왔다. 대북특사 파견의 가능성을 열어두되 시기는 확정되지 않았다는 입장을 보이며 파견 여부 자체를 유동적이라고 표현해온 것이다. 정부가 이같은 입장을 보이는 이유는 특사의 성패를 가르는 북측의 수용여부가 확인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북측이 특사를 수용한다는 것은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특사를 만나 간접적인 정상회담을 진행한다는 것을 뜻한다. 지난해 1월처럼 남측의 대북특사가 김 위원장을 만나지 못했을 경우 사실상 특사는 ‘실패’한 것이다.
정부 한 당국자는 “특사가 김 위원장 면담에 실패하는 등 북측이 특사를 사실상 수용하지 않을 경우 미국에 대해 우리 정부가 할 말이 없어진다”고 밝혔다. 남북관계 경색국면 타개와 부수적 효과로 북미관계 진전, 핵문제해결의 돌파구까지 마련할 수 있는 카드가 특사파견이지만 실패할 경우에는 우리 정부가 미국 행정부에 큰 부담을 가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주말을 넘기면서 대북특사설이 기정사실화되는 이면에는 북측이 특사를 수용할 가능성이 커졌다는 우리 정부의 판단이 숨어있는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현재 다양한 비공개 채널을 통해 북측의 의사를 타진하는 것으로 알려진다.
정부 당국자는 “북경채널이나 남북간 핫라인 등이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며 “‘비선’ 라인을 통해 김정일 위원장이 특사를 만나도록 사전 조율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이미 고위당국자를 통해 “11월, 12월에 (남북간에 할 일을) 논의하고 1, 2월에 준비하고 3월에 이뤄지는 프로젝트가 필요하다”며 ‘연내 특사 파견과 내년초 남북정상회담’을 강하게 시사하는 시나리오를 밝힌 바 있다(내일신문 10월28일자). 이같은 시나리오는 정부 안팎에서 적극적으로 검토중인 안이라고 서울의 한 외교소식통은 밝혔다.
/연제호 기자 news21@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