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수능시험 부정행위’ 파문이 갈수록 확산되고 있다. 경찰은 1일 “KTF 측에서 넘겨받은 자료 1만2000건을 추가로 조사한 결과, 20여명의 수능부정혐의를 새롭게 포착했다”고 밝혔다.
경찰은 또 휴대전화 ‘숫자메시지’ 수사를 통해 서울 등 전국 21개조 82명을 추가로 적발한 데 이어 일부 ‘문자가 포함된 메시지’도 조사할 방침이어서 부정행위 가담자가 대폭 늘어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추가 수능부정 확인 = 추가 수능부정의 구체적인 사례들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경찰은 이날 82명의 부정행위 가담자 중 서울 강동구 H고 3학년 정 모(18)군 등 같은 학교 학생 3명을 불러 조사를 벌인 결과, 정군 등은 수능 당일 시험 도중 배탈이 난 척 하며 화장실로 나온 정모 군은 수리영역 정답을, 이모 군은 외국어영역 정답을 각각 또 다른 이모 군에게 전송한 사실을 시인했다.
광주에서는 1차 수능부정과 유사한 조직적 부정행위가 발견됐다. 경찰은 “광주지역에서 ‘선수’와 ‘중계조’, ‘고객’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이는 번호 8개가 확인됐다”면서 “아직 단정할 수 없지만 추가로 조직적인 부정행위가 이뤄졌을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광주 이외에 조직적 부정행위 가능성이 있는 지역은 전북이다. 전북의 경우 1개조에 12명이 연루되는 등 다른 지역에 비해 규모가 크고 ‘1명이 여러 사람에게 메시지를 보내거나, 1대1로 주고 받는 유형’도 발견되는 등 다양한 송·수신 유형을 보이고 있다.
서울과 충남은 조직적인 수능부정이 이뤄졌을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파악된다. 김재규 사이버수사대장은 “서울과 충남은 각 조가 2∼3명으로 구성됐고 비교적 소규모로 이뤄져 조직적 부정은 아닌 것 같다”고 말했다.
다만 서울의 경우 일부 과목 전체 답안을 전송받은 수험생이 확인되고 정답 비율이 높아 소규모이지만 치밀한 수법을 동원한 것으로 밝혀져 금품이 동원됐는지에 대한 수사는 불가피할 전망이다.
◆문자+숫자 메시지·대리시험 수사 =경찰은 특정문자가 일부 포함된 휴대전화 문자메시지에 대해서도 해당 통신사로부터 송·수신 내역 등 자료를 넘겨 받아 수사에 착수할 계획이다.
경찰의 ‘저인망식’ 수사확대는 휴대전화 숫자메시지 수사에서 서울 충남 전북 광주·전남 등 21개조 82명 추가 적발로 증폭된 국민들의 의혹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김재규 사이버범죄수사대장은 30일 “숫자메시지 외에 한글 특정 문자가 포함된 문자메시지 송·수신 내역에 대해 압수수색 영장을 신청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경찰은 지난 26일 KTF측에 숫자로만 된 메시지의 보관 뿐 아니라 특정문자가 들어간 문자메시지의 보관을 요청한 적이 있어 수사 진행에 별다른 문제는 없다.
대리시험 수사도 발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경찰은 서울시 교육청에서 개별적으로 응시원서를 제출한 재수생 6832명의 원서 원본을 넘겨 받아 각 구청에 있는 주민등록 사진과 정밀 대조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경찰은 컴퓨터에 수능서류 사진과 주민등록 사진을 동시에 입력, 대조할 수 있는 사진대조시스템을 동원했다. 경찰은 대리시험의 경우 수사속도가 더딘 만큼 추가 수사인력을 투입도 고려하고 있다.
경찰은 “각 지방경찰청과 함께 대리시험 수사를 일제히 진행하고 있다.”면서 “재수생 대리시험 대조작업과 제보, 인터넷 고발 등을 병행해 수사가 빠른 시일 내에 마무리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수사전망 = 경찰수사결과, 이번 수능시험 부정행위 추가 가담자의 인원은 100여명선을 넘은 것으로 확인됐다.
특정 ‘문자+숫자메시지’ 도 수사한다는 방침이어서 조만간 해당 통신사로부터 자료 전부를 넘겨 받아 수사에 들어간다. 이번에 확인된 추가 부정행위 혐의자에 대한 소환 조사도 빠르게 진행된다.
경찰은 부정행위자의 인적사항과 주거지 등을 이미 확인한 상태다. 경찰은 추가 가담자 중 86∼87년 생으로 연령대가 비슷한 나타난 경우는 직접 조사할 계획이나, 부모들의 명의로 휴대전화를 사용했을 경우에는 세대별 주민등록 등본을 조회해 가족 중에 수험생이 있는지에 대해 확인절차를 거칠 계획이다.
지방 가담자의 경우 각 지방경찰청에 분담할 가능성이 크지만 구체적인 방안은 아직 조율이 끝나지 않은 상태다.
경찰 조사과정에서는 대가성 여부와 브로커 개입 등에 대해 집중적인 조사가 이뤄지게 된다. 경찰 관계자는 “빠른 시일 내에 수능시험 부정행위의 전체 규모 등을 밝히는데 수사력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홍범택 기자 durumi@naeil.com
경찰은 또 휴대전화 ‘숫자메시지’ 수사를 통해 서울 등 전국 21개조 82명을 추가로 적발한 데 이어 일부 ‘문자가 포함된 메시지’도 조사할 방침이어서 부정행위 가담자가 대폭 늘어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추가 수능부정 확인 = 추가 수능부정의 구체적인 사례들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경찰은 이날 82명의 부정행위 가담자 중 서울 강동구 H고 3학년 정 모(18)군 등 같은 학교 학생 3명을 불러 조사를 벌인 결과, 정군 등은 수능 당일 시험 도중 배탈이 난 척 하며 화장실로 나온 정모 군은 수리영역 정답을, 이모 군은 외국어영역 정답을 각각 또 다른 이모 군에게 전송한 사실을 시인했다.
광주에서는 1차 수능부정과 유사한 조직적 부정행위가 발견됐다. 경찰은 “광주지역에서 ‘선수’와 ‘중계조’, ‘고객’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이는 번호 8개가 확인됐다”면서 “아직 단정할 수 없지만 추가로 조직적인 부정행위가 이뤄졌을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광주 이외에 조직적 부정행위 가능성이 있는 지역은 전북이다. 전북의 경우 1개조에 12명이 연루되는 등 다른 지역에 비해 규모가 크고 ‘1명이 여러 사람에게 메시지를 보내거나, 1대1로 주고 받는 유형’도 발견되는 등 다양한 송·수신 유형을 보이고 있다.
서울과 충남은 조직적인 수능부정이 이뤄졌을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파악된다. 김재규 사이버수사대장은 “서울과 충남은 각 조가 2∼3명으로 구성됐고 비교적 소규모로 이뤄져 조직적 부정은 아닌 것 같다”고 말했다.
다만 서울의 경우 일부 과목 전체 답안을 전송받은 수험생이 확인되고 정답 비율이 높아 소규모이지만 치밀한 수법을 동원한 것으로 밝혀져 금품이 동원됐는지에 대한 수사는 불가피할 전망이다.
◆문자+숫자 메시지·대리시험 수사 =경찰은 특정문자가 일부 포함된 휴대전화 문자메시지에 대해서도 해당 통신사로부터 송·수신 내역 등 자료를 넘겨 받아 수사에 착수할 계획이다.
경찰의 ‘저인망식’ 수사확대는 휴대전화 숫자메시지 수사에서 서울 충남 전북 광주·전남 등 21개조 82명 추가 적발로 증폭된 국민들의 의혹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김재규 사이버범죄수사대장은 30일 “숫자메시지 외에 한글 특정 문자가 포함된 문자메시지 송·수신 내역에 대해 압수수색 영장을 신청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경찰은 지난 26일 KTF측에 숫자로만 된 메시지의 보관 뿐 아니라 특정문자가 들어간 문자메시지의 보관을 요청한 적이 있어 수사 진행에 별다른 문제는 없다.
대리시험 수사도 발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경찰은 서울시 교육청에서 개별적으로 응시원서를 제출한 재수생 6832명의 원서 원본을 넘겨 받아 각 구청에 있는 주민등록 사진과 정밀 대조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경찰은 컴퓨터에 수능서류 사진과 주민등록 사진을 동시에 입력, 대조할 수 있는 사진대조시스템을 동원했다. 경찰은 대리시험의 경우 수사속도가 더딘 만큼 추가 수사인력을 투입도 고려하고 있다.
경찰은 “각 지방경찰청과 함께 대리시험 수사를 일제히 진행하고 있다.”면서 “재수생 대리시험 대조작업과 제보, 인터넷 고발 등을 병행해 수사가 빠른 시일 내에 마무리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수사전망 = 경찰수사결과, 이번 수능시험 부정행위 추가 가담자의 인원은 100여명선을 넘은 것으로 확인됐다.
특정 ‘문자+숫자메시지’ 도 수사한다는 방침이어서 조만간 해당 통신사로부터 자료 전부를 넘겨 받아 수사에 들어간다. 이번에 확인된 추가 부정행위 혐의자에 대한 소환 조사도 빠르게 진행된다.
경찰은 부정행위자의 인적사항과 주거지 등을 이미 확인한 상태다. 경찰은 추가 가담자 중 86∼87년 생으로 연령대가 비슷한 나타난 경우는 직접 조사할 계획이나, 부모들의 명의로 휴대전화를 사용했을 경우에는 세대별 주민등록 등본을 조회해 가족 중에 수험생이 있는지에 대해 확인절차를 거칠 계획이다.
지방 가담자의 경우 각 지방경찰청에 분담할 가능성이 크지만 구체적인 방안은 아직 조율이 끝나지 않은 상태다.
경찰 조사과정에서는 대가성 여부와 브로커 개입 등에 대해 집중적인 조사가 이뤄지게 된다. 경찰 관계자는 “빠른 시일 내에 수능시험 부정행위의 전체 규모 등을 밝히는데 수사력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홍범택 기자 durumi@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