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원해결 요구 도로공사 반대
부천시의원, “인천이 굴포천 악취 해결해줘야 광역도로 추진 허용” /인천시, “지역 민원 이유로 발목잡기” 비난 … 부천시도 난색
지역내일
2004-12-14
(수정 2004-12-15 오전 11:05:51)
경기도 부천시의회가 상동신도시 주민들이 겪고 있는 굴포천 악취문제 해결을 요구하며 인천 삼산신도시와 부천 중동대로를 연결하는 광역도로 예산집행을 막고 있다.
이에 따라 도로문제로 인해 지자체간 갈등을 유발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부천시의회 박효서(부천 상1동) 의원은 “상동신도시 주민들이 인천에서 내려오는 굴포천의 악취로 고통받고 있다”며 “인천시가 하천준설 등 문제해결에 나서지 않으면 삼산~중동대로간 연결도로 개설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내년도 예산안 심사과정에서 인천시의 굴포천 하상준설을 조건으로 부천시가 부담하는 도로개설 예산을 인천시에 넘겨주도록 집행부에 요구했다.
또 부천 상동신도시와 인접한 인천 삼산택지지구 개발로 시 경계에 걸친 연계 버스노선, 육교 및 도로개설, 하천악취민원 등 양 도시간 협의할 사안이 많아지고 있는 만큼, 이를 개별 사안이 아닌 전체로 묶어 협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상동지역의 굴포천 악취 문제는 인천시가 해결해야 할 문제”라며 “이를 도로개설문제 등과 연계해 줄 건 주고 받아낼 건 받아내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인천시는 물론, 부천시 관계공무원들도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인천시 도로과 관계자는 “인천구간이 150m, 부천구간이 290m인데도 인천시가 70%의 예산을 부담하고 농수산물시장 이용 등 부천시민에게 더 필요한 도로인데 나머지 예산집행도 민원을 이유로 못한다는 게 말이 되냐”며 반발했다.
이 관계자는 또 “부천시가 협의과정에서 굴포천 악취문제해결을 요구해 해당부서에 전달한 결과 현재 용역이 진행중”이라며 “하천개선은 오랜 시간이 필요하지만 도로는 시급한 문제인데 지역민원 때문에 지자체간 갈등만 일으킬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인천시 하천하수과 관계자도 “준설만 해 놓고 홍수가 오면 어떻게 하나”며 “하천살리기 계획을 세워 내년부터 공사에 들어갈 예정인데 민원을 이유로 도로개설을 막는다는 건 이해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부천시 관계자도 “국비가 지원된 광역도로개설 예산을 다른 문제로 집행하지 않을 수 없다”며 “시의원의 입장은 이해하지만 무리한 요구”라고 말했다.
삼산2택지~부천중동대로간 광역도로는 길이 440m, 넓이 30m 규모로 총 197억원을 투입, 오는 2006년 1월 준공될 예정이다.
이 도로는 현재 41% 공정이 진행됐으며 부천시가 국비 33억원 등 66억원을 부담해야 하지만 예산집행이 지연되면서 부천시구간 공사는 뒤로 미뤄지고 있다.
/인천 곽태영 기자 tykwak@naeil.com
이에 따라 도로문제로 인해 지자체간 갈등을 유발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부천시의회 박효서(부천 상1동) 의원은 “상동신도시 주민들이 인천에서 내려오는 굴포천의 악취로 고통받고 있다”며 “인천시가 하천준설 등 문제해결에 나서지 않으면 삼산~중동대로간 연결도로 개설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내년도 예산안 심사과정에서 인천시의 굴포천 하상준설을 조건으로 부천시가 부담하는 도로개설 예산을 인천시에 넘겨주도록 집행부에 요구했다.
또 부천 상동신도시와 인접한 인천 삼산택지지구 개발로 시 경계에 걸친 연계 버스노선, 육교 및 도로개설, 하천악취민원 등 양 도시간 협의할 사안이 많아지고 있는 만큼, 이를 개별 사안이 아닌 전체로 묶어 협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상동지역의 굴포천 악취 문제는 인천시가 해결해야 할 문제”라며 “이를 도로개설문제 등과 연계해 줄 건 주고 받아낼 건 받아내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인천시는 물론, 부천시 관계공무원들도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인천시 도로과 관계자는 “인천구간이 150m, 부천구간이 290m인데도 인천시가 70%의 예산을 부담하고 농수산물시장 이용 등 부천시민에게 더 필요한 도로인데 나머지 예산집행도 민원을 이유로 못한다는 게 말이 되냐”며 반발했다.
이 관계자는 또 “부천시가 협의과정에서 굴포천 악취문제해결을 요구해 해당부서에 전달한 결과 현재 용역이 진행중”이라며 “하천개선은 오랜 시간이 필요하지만 도로는 시급한 문제인데 지역민원 때문에 지자체간 갈등만 일으킬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인천시 하천하수과 관계자도 “준설만 해 놓고 홍수가 오면 어떻게 하나”며 “하천살리기 계획을 세워 내년부터 공사에 들어갈 예정인데 민원을 이유로 도로개설을 막는다는 건 이해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부천시 관계자도 “국비가 지원된 광역도로개설 예산을 다른 문제로 집행하지 않을 수 없다”며 “시의원의 입장은 이해하지만 무리한 요구”라고 말했다.
삼산2택지~부천중동대로간 광역도로는 길이 440m, 넓이 30m 규모로 총 197억원을 투입, 오는 2006년 1월 준공될 예정이다.
이 도로는 현재 41% 공정이 진행됐으며 부천시가 국비 33억원 등 66억원을 부담해야 하지만 예산집행이 지연되면서 부천시구간 공사는 뒤로 미뤄지고 있다.
/인천 곽태영 기자 tykwak@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