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이동통신(IMT-2000) 서비스 시기가 사실상 연기되고, 동기식 사업자 선정 일정도 보름정도
늦춰지면서 관련 업체들의 사업 추진에 혼선을 빚고 있다.
안병엽 정통부 장관은 8일 기자간담회에서 “서비스 시기는 사업자가 자율로 선택할 문제”라
며 “정부가 시기를 정해 사업자가 고객 확보를 못한다면 말이 안된다”고 말해 사실상 서비스 시기
가 연기될 가능성이 커졌다. 또 이날 안 장관은 당초 2월말 선정키로 했던 동기식 IMT-2000 사업자
에 대해 보름정도 늦어진 3월중순께 선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한통의 경우 서비스 연기설이 불거지면서 관련 직원들이 내부적으로 혼란스러워하고 있다.
한통은 지난해 사업권 획득 이후 4개팀으로 운영되던 IMT-2000 사업추진본부 조직을 영업전략팀 영
업관리팀 경영기획팀 통신망팀 M-비즈팀 대외협력팀 등으로 개편하고 내부적으로 인력모집 공고
를 끝낸 상태이다. 이 회사 관계자는 “70여명의 인력 충원과 함께 예산도 이미 편성되어 사업에
박차를 가하던 중이었는데, 연기설이 제기되면서 사업 추진일정이 바뀔지 몰라 엉거주춤한 상태”라
고 말했다.
SK텔레콤 강용수 상무는 “서비스 시기 연기에 대해 전자통신연구원과 삼성전자 LG전자 등의 연구
성과를 지켜보아야 한다”면서 “모두들 밤을 세워 연구하고 있으니 서비스 시기는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서비스 시기는 <전기통신사업법>상 사업자 계획서에 나타난 일정으로부터 장관의 동의를 얻
어 최대 1년까지 연기할 수 있기 때문에 서비스 사업자들은 연기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사업
권을 획득한 사업자들은 IMT-2000 서비스와 IS-95C 서비스에 대한 투자 부담을 분산시키기 위해서라
도 서비스 시기를 연기할 가능성이 높다.
또 ‘동기식 사업자 선정 일정을 보름정도 늦출 것’이라는 정통부의 입장이 알려지자 동기식 사업
을 추진중인 하나로통신은 크게 반발하고 있다.
이 회사 두원수 홍보실장은 “정통부 장관이 특정 업체의 사업 불참을 이유로 일정을 연기한다는 것
은 불공정 행위에 해당한다”면서 “정부는 동기식 사업을 하루라도 빨리 시행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하는 것 아니냐”고 발끈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장관이 특정 업체의 이름을 거명하면서 서비스 연기를 발표한 것은 사업자 선정
과정의 공정성에도 문제로 될 수 있다”고 비난했다.
한편 비동기식 사업권 획득에 실패한 LG IMT-2000사업추진단은 최근 기술부문 인력의 절반 이상을
소속 회사로 복귀시켜 사업기획팀과 홍보팀 인력 20~30명만 남은 상태이다. LG텔레콤 관계자는 “동
기식 사업에 참여하지 않기로 해 인력을 줄인 것”이라며 “하지만 사업추진단이 완전히 없어진 것
은 아니다”고 말했다.
안 장관은 이날 “사업허가서 교부 때 허가조건에 서비스 시기를 명시하지 않을 것”이라며 “사업
자들이 사업계획서상의 서비스 시기를 시장상황, 기술동향 등 주변여건 변화에 따라 변경을 요청해
올 경우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탄력적으로 조정해줄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 그는 논란이
된 퀄컴의 국내 IMT-2000 사업 참여 의도에 대해 “퀄컴을 포함해 국내외 업체들이 정부에 문의를
해오고 있다”고 말해 사실상 확인됐다.
안 장관은 “퀄컴도 국내 업체와 함께 참여할 수 있지만 복수 업체가 사업허가를 신청할 지는 두고
봐야 할 것”이라며 “동기식 사업자에 대한 인센티브중 출연금 삭감은 고려치 않고 있으며 번호배
정 등 다양한 복안을 강구중”이라고 설명했다.강경흠 기자 khkang@naeil.com 전기통신사업법>
늦춰지면서 관련 업체들의 사업 추진에 혼선을 빚고 있다.
안병엽 정통부 장관은 8일 기자간담회에서 “서비스 시기는 사업자가 자율로 선택할 문제”라
며 “정부가 시기를 정해 사업자가 고객 확보를 못한다면 말이 안된다”고 말해 사실상 서비스 시기
가 연기될 가능성이 커졌다. 또 이날 안 장관은 당초 2월말 선정키로 했던 동기식 IMT-2000 사업자
에 대해 보름정도 늦어진 3월중순께 선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한통의 경우 서비스 연기설이 불거지면서 관련 직원들이 내부적으로 혼란스러워하고 있다.
한통은 지난해 사업권 획득 이후 4개팀으로 운영되던 IMT-2000 사업추진본부 조직을 영업전략팀 영
업관리팀 경영기획팀 통신망팀 M-비즈팀 대외협력팀 등으로 개편하고 내부적으로 인력모집 공고
를 끝낸 상태이다. 이 회사 관계자는 “70여명의 인력 충원과 함께 예산도 이미 편성되어 사업에
박차를 가하던 중이었는데, 연기설이 제기되면서 사업 추진일정이 바뀔지 몰라 엉거주춤한 상태”라
고 말했다.
SK텔레콤 강용수 상무는 “서비스 시기 연기에 대해 전자통신연구원과 삼성전자 LG전자 등의 연구
성과를 지켜보아야 한다”면서 “모두들 밤을 세워 연구하고 있으니 서비스 시기는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서비스 시기는 <전기통신사업법>상 사업자 계획서에 나타난 일정으로부터 장관의 동의를 얻
어 최대 1년까지 연기할 수 있기 때문에 서비스 사업자들은 연기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사업
권을 획득한 사업자들은 IMT-2000 서비스와 IS-95C 서비스에 대한 투자 부담을 분산시키기 위해서라
도 서비스 시기를 연기할 가능성이 높다.
또 ‘동기식 사업자 선정 일정을 보름정도 늦출 것’이라는 정통부의 입장이 알려지자 동기식 사업
을 추진중인 하나로통신은 크게 반발하고 있다.
이 회사 두원수 홍보실장은 “정통부 장관이 특정 업체의 사업 불참을 이유로 일정을 연기한다는 것
은 불공정 행위에 해당한다”면서 “정부는 동기식 사업을 하루라도 빨리 시행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하는 것 아니냐”고 발끈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장관이 특정 업체의 이름을 거명하면서 서비스 연기를 발표한 것은 사업자 선정
과정의 공정성에도 문제로 될 수 있다”고 비난했다.
한편 비동기식 사업권 획득에 실패한 LG IMT-2000사업추진단은 최근 기술부문 인력의 절반 이상을
소속 회사로 복귀시켜 사업기획팀과 홍보팀 인력 20~30명만 남은 상태이다. LG텔레콤 관계자는 “동
기식 사업에 참여하지 않기로 해 인력을 줄인 것”이라며 “하지만 사업추진단이 완전히 없어진 것
은 아니다”고 말했다.
안 장관은 이날 “사업허가서 교부 때 허가조건에 서비스 시기를 명시하지 않을 것”이라며 “사업
자들이 사업계획서상의 서비스 시기를 시장상황, 기술동향 등 주변여건 변화에 따라 변경을 요청해
올 경우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탄력적으로 조정해줄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 그는 논란이
된 퀄컴의 국내 IMT-2000 사업 참여 의도에 대해 “퀄컴을 포함해 국내외 업체들이 정부에 문의를
해오고 있다”고 말해 사실상 확인됐다.
안 장관은 “퀄컴도 국내 업체와 함께 참여할 수 있지만 복수 업체가 사업허가를 신청할 지는 두고
봐야 할 것”이라며 “동기식 사업자에 대한 인센티브중 출연금 삭감은 고려치 않고 있으며 번호배
정 등 다양한 복안을 강구중”이라고 설명했다.강경흠 기자 khkang@naeil.com 전기통신사업법>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