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르면 2007년부터 자동차전용도로 등을 활용해 기존 버스보다 훨씬 빠른 간선급행버스가 수도권에 선보인다. 이에 따라 수도권의 만성적인 출퇴근 시간대 교통혼잡이 한결 덜해질 전망이다.
건설교통부는 수도권 일대의 간선급행버스체계(BRT.Bus Rapid Transit) 22개 노선망을 확정했다고 28일 밝혔다.
BRT는 도착정보시스템, 버스우선신호체계, 환승터미널 등을 갖춰 기존의 버스운행 방식보다 정시성, 신속성, 수송능력이 대폭 향상된 대중교통체계를 말하며, 해당노선에는 전용차로가 깔리고 굴절버스 등 고급 차량이 투입된다. 또 필요한 경우 다른 차량의 진입을 막기 위한 격벽도 설치된다. 서울시내의 버스전용차로제가 수도권 일대로 확대되는 셈이다.
BRT가 구축되는 노선은 경부고속도로 오산IC∼판교IC∼서초IC 40.2㎞ 구간을 비롯한 자동차전용도로 10곳과 경인로 인천∼부천∼신도림역 구간 19.2㎞를 포함한 주요 간선도로 12곳 등 총 22개 노선 540.4㎞이다.
건교부는 내년 중 시범노선 2~3곳을 선정해 2007년부터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2012년까지 모든 노선을 개통한다는 계획이다. 시범노선으로는 분당∼내곡 자동차전용도로 9.8㎞ 구간과 수원∼사당 간선도로 30㎞ 구간, 청라∼화곡 간산도로 17.9㎞ 등이 물망에 오르고 있다.
건교부는 또 수도권 BRT 노선망과 지하철, 경전철 등 다양한 대중교통체계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국가차원의 대중교통기본계획을 수립할 방침이다.
성홍식 기자 hssung@naeil.com
건설교통부는 수도권 일대의 간선급행버스체계(BRT.Bus Rapid Transit) 22개 노선망을 확정했다고 28일 밝혔다.
BRT는 도착정보시스템, 버스우선신호체계, 환승터미널 등을 갖춰 기존의 버스운행 방식보다 정시성, 신속성, 수송능력이 대폭 향상된 대중교통체계를 말하며, 해당노선에는 전용차로가 깔리고 굴절버스 등 고급 차량이 투입된다. 또 필요한 경우 다른 차량의 진입을 막기 위한 격벽도 설치된다. 서울시내의 버스전용차로제가 수도권 일대로 확대되는 셈이다.
BRT가 구축되는 노선은 경부고속도로 오산IC∼판교IC∼서초IC 40.2㎞ 구간을 비롯한 자동차전용도로 10곳과 경인로 인천∼부천∼신도림역 구간 19.2㎞를 포함한 주요 간선도로 12곳 등 총 22개 노선 540.4㎞이다.
건교부는 내년 중 시범노선 2~3곳을 선정해 2007년부터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2012년까지 모든 노선을 개통한다는 계획이다. 시범노선으로는 분당∼내곡 자동차전용도로 9.8㎞ 구간과 수원∼사당 간선도로 30㎞ 구간, 청라∼화곡 간산도로 17.9㎞ 등이 물망에 오르고 있다.
건교부는 또 수도권 BRT 노선망과 지하철, 경전철 등 다양한 대중교통체계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국가차원의 대중교통기본계획을 수립할 방침이다.
성홍식 기자 hssung@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