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의 13일 신년기자회견은 올해 국정지표를 밝힌 것이다. ‘경제활성화’와 ‘체질개선’ ‘민생안정’에 국가의 힘을 쏟겠다는 의지를 표현한 것이다.
노 대통령의 이날 회견은 오는 2월 25일 취임2주년 전후까지 ‘향후 3년간의 국정운영의 밑그림을 완성한다’는 계획의 연장선상에 서 있다.
연초 노 대통령은 2월까지 큰 방향을 잡는다는 방침을 세운 바 있다. 신년기자회견에서는 ‘경제’ 위주라는 올해의 국정지표를 밝히고, 2월 2주년 기념식을 전후해서는 지난 2년간을 평가하고, 향후 3년간의 방향을 정리하기로 한 것이다. 지난 1·4 개각과 14일께로 예정된 차관급 인사 등도 이런 작업의 일환으로 준비됐다. ‘이기준 파문’으로 약간 흔들리기는 했지만 현재로서는 이런 방침대로 진행되고 있다는 게 청와대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노 대통령이 신년기자회견에서 주안점을 둔 것은 경제문제였다. 모두연설의 90%를 민생·경제에 집중 ‘경제올인’의 의지를 다시 확인했다.
노 대통령은 모두연설을 통해 ‘경제적 약자’에 대한 대책과 ‘개방을 통한 체질 개선’에 주력하겠다고 약속했다. ‘3월까지 신용불량자 해소 대책을 내놓겠다’ ‘일자리 창출을 최우선 민생대책으로 추진 40만개의 일자리를 만들겠다’ ‘3만개의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을 육성하겠다’는 구체적인 목표까지 밝혔다.
이런 기반이 갖춰져야 연초부터 강조한 ‘선진한국’이 구호가 아닌 현실이 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노 대통령은 이날 신년기자회견에서 “그동안 우리는 선진국을 구호로만 내세우고 막연한 미래로만 생각했지, 구체적인 비전과 전략을 갖지 못했다”며 “우리 경제도 이제는 선진한국을 향한 분명한 목표를 세우고 노력할 때가 됐다”고 밝혔다.
산업구조가 경공업시대를 지나 자동차·조선·철강·석유화학 같은 중공업에서는 이미 세계적인 경쟁력을 확보했고, 정보통신과 전자산업에서는 세계 선두주자가 되어 ‘선진국 문턱’에 다가갔다는 것이다.
노 대통령은 “이대로 가면 2008년경에는 국민소득 2만불 시대가 열리고, 2010년에는 여러 지표가 선진경제로 들어설 것”이라며 이를 위해 지식서비스 산업의 경쟁력을 키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 대통령의 ‘선진한국’에 대한 전략은 오는 2월 취임2주년 즈음해서 조금 더 구체적인 내용으로 정리될 예정이다.
김종민 청와대 대변인은 12일 “취임 2주년에는 지난 2년에 대한 평가, 남은 3년에 대한 방향을 정리한다”며 “선진한국 컨셉으로 전략적 과제를 제시할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2월에는 노 대통령이 연초에 밝힌 ‘선진한국 지도’와 관련한 일부 계획들이 제시될 것으로 알려졌다.
/남봉우 기자 bawoo@naeil.com
노 대통령의 이날 회견은 오는 2월 25일 취임2주년 전후까지 ‘향후 3년간의 국정운영의 밑그림을 완성한다’는 계획의 연장선상에 서 있다.
연초 노 대통령은 2월까지 큰 방향을 잡는다는 방침을 세운 바 있다. 신년기자회견에서는 ‘경제’ 위주라는 올해의 국정지표를 밝히고, 2월 2주년 기념식을 전후해서는 지난 2년간을 평가하고, 향후 3년간의 방향을 정리하기로 한 것이다. 지난 1·4 개각과 14일께로 예정된 차관급 인사 등도 이런 작업의 일환으로 준비됐다. ‘이기준 파문’으로 약간 흔들리기는 했지만 현재로서는 이런 방침대로 진행되고 있다는 게 청와대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노 대통령이 신년기자회견에서 주안점을 둔 것은 경제문제였다. 모두연설의 90%를 민생·경제에 집중 ‘경제올인’의 의지를 다시 확인했다.
노 대통령은 모두연설을 통해 ‘경제적 약자’에 대한 대책과 ‘개방을 통한 체질 개선’에 주력하겠다고 약속했다. ‘3월까지 신용불량자 해소 대책을 내놓겠다’ ‘일자리 창출을 최우선 민생대책으로 추진 40만개의 일자리를 만들겠다’ ‘3만개의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을 육성하겠다’는 구체적인 목표까지 밝혔다.
이런 기반이 갖춰져야 연초부터 강조한 ‘선진한국’이 구호가 아닌 현실이 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노 대통령은 이날 신년기자회견에서 “그동안 우리는 선진국을 구호로만 내세우고 막연한 미래로만 생각했지, 구체적인 비전과 전략을 갖지 못했다”며 “우리 경제도 이제는 선진한국을 향한 분명한 목표를 세우고 노력할 때가 됐다”고 밝혔다.
산업구조가 경공업시대를 지나 자동차·조선·철강·석유화학 같은 중공업에서는 이미 세계적인 경쟁력을 확보했고, 정보통신과 전자산업에서는 세계 선두주자가 되어 ‘선진국 문턱’에 다가갔다는 것이다.
노 대통령은 “이대로 가면 2008년경에는 국민소득 2만불 시대가 열리고, 2010년에는 여러 지표가 선진경제로 들어설 것”이라며 이를 위해 지식서비스 산업의 경쟁력을 키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 대통령의 ‘선진한국’에 대한 전략은 오는 2월 취임2주년 즈음해서 조금 더 구체적인 내용으로 정리될 예정이다.
김종민 청와대 대변인은 12일 “취임 2주년에는 지난 2년에 대한 평가, 남은 3년에 대한 방향을 정리한다”며 “선진한국 컨셉으로 전략적 과제를 제시할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2월에는 노 대통령이 연초에 밝힌 ‘선진한국 지도’와 관련한 일부 계획들이 제시될 것으로 알려졌다.
/남봉우 기자 bawoo@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