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격차를 줄이고 상생의 길을 만들기 위한 대·중소기업협력재단(이사장 윤종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27일 설립됐다.
중소기업청은 이날 주요 인사가 참석한 가운데 재단 개소식을 가졌다. 재단은 중소기업 입장에서 대·중소기업 협력을 촉진할 수 있도록 독립법인으로 운영된다. 정부는 내년까지 2년간 20억원의 재정 지원을 통해 운영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대·중소기업 협력의 중점 추진기관으로 활동을 지원한다.
◆범 경제계 인사로 이사회 구성 = 대·중소기업재단은 대기업의 참여와 협조가 필요하므로 대한상의, 전경련, 기협중앙회, 무역협회 회장 등 주요 경제단체장이 이사회 고문으로 참여한다.
이사장으로는 윤종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대기업에서는 최재국 현대자동차 사장과 강창오 포스코 사장이 , 중소기업을 대표해 이시원 부천산업 대표, 여성기업인을 대표해서는 김추자 대림개발 대표가 이사로 참여한다. 또 경제5단체 부회장과 장흥순 벤처기업협회 회장, 정명금 여성경제인협회 회장, 정부를 대표해 오영호 산업자원부 차관보, 정준석 중소기업청 차장, 강대형 공정거래위원회 사무처장, 민영우 중소기업특별위원회 사무국장, 학계 대표로 서정대 중소기업연구원 부원장이 참여한다.
◆이익공유제 연차적 확산 = 협력재단은 사업지원, 협력진흥, 관리홍보 등 3개 팀으로 구성돼, 이익공유제도의 연차적 확산 및 우수 기업과 사례를 발굴하는 등 기업간 동반협력 비전을 만들 계획이다.
우선 지역·업종별 특성에 맞는 대·중소기업간 협력체계 발굴을 위해 순회 포럼을 열고 우수 협력모델을 발굴, 확산시킨다. 우수 중소기업의 투자설명회와 상담회 등 오프라인 사업과 공동개발기술과제 발굴, 구매협약체결 유도외에 대·중소기업 협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키로 했다.
가장 중요한 대·중소기업간 공정거래관계를 형성하기 위해 중기청과 협력재단이 공동으로 기업간 거래관계를 조사하며 업계의 거래관련 애로사항을 자율조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등 그동안 불공정 관행을 해소하는데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이밖에 대기업 퇴직 전문인력을 활용해 컨설팅을 중소기업에 지원하고, 공동 인력개발을 확대한다.
김성진 중소기업청장은 “협력재단의 출범은 대·중소기업간 실질적 협력을 유도하고 동시에 중소기업이 대기업과 상생할 수 있는 제도적인 기반을 마련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며 “앞으로도 지속해 협력업무를 알선하고 재단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지원을 해나갈 계획” 이라고 밝혔다.
/오승완 기자 osw@naeil.com
중소기업청은 이날 주요 인사가 참석한 가운데 재단 개소식을 가졌다. 재단은 중소기업 입장에서 대·중소기업 협력을 촉진할 수 있도록 독립법인으로 운영된다. 정부는 내년까지 2년간 20억원의 재정 지원을 통해 운영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대·중소기업 협력의 중점 추진기관으로 활동을 지원한다.
◆범 경제계 인사로 이사회 구성 = 대·중소기업재단은 대기업의 참여와 협조가 필요하므로 대한상의, 전경련, 기협중앙회, 무역협회 회장 등 주요 경제단체장이 이사회 고문으로 참여한다.
이사장으로는 윤종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대기업에서는 최재국 현대자동차 사장과 강창오 포스코 사장이 , 중소기업을 대표해 이시원 부천산업 대표, 여성기업인을 대표해서는 김추자 대림개발 대표가 이사로 참여한다. 또 경제5단체 부회장과 장흥순 벤처기업협회 회장, 정명금 여성경제인협회 회장, 정부를 대표해 오영호 산업자원부 차관보, 정준석 중소기업청 차장, 강대형 공정거래위원회 사무처장, 민영우 중소기업특별위원회 사무국장, 학계 대표로 서정대 중소기업연구원 부원장이 참여한다.
◆이익공유제 연차적 확산 = 협력재단은 사업지원, 협력진흥, 관리홍보 등 3개 팀으로 구성돼, 이익공유제도의 연차적 확산 및 우수 기업과 사례를 발굴하는 등 기업간 동반협력 비전을 만들 계획이다.
우선 지역·업종별 특성에 맞는 대·중소기업간 협력체계 발굴을 위해 순회 포럼을 열고 우수 협력모델을 발굴, 확산시킨다. 우수 중소기업의 투자설명회와 상담회 등 오프라인 사업과 공동개발기술과제 발굴, 구매협약체결 유도외에 대·중소기업 협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키로 했다.
가장 중요한 대·중소기업간 공정거래관계를 형성하기 위해 중기청과 협력재단이 공동으로 기업간 거래관계를 조사하며 업계의 거래관련 애로사항을 자율조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등 그동안 불공정 관행을 해소하는데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이밖에 대기업 퇴직 전문인력을 활용해 컨설팅을 중소기업에 지원하고, 공동 인력개발을 확대한다.
김성진 중소기업청장은 “협력재단의 출범은 대·중소기업간 실질적 협력을 유도하고 동시에 중소기업이 대기업과 상생할 수 있는 제도적인 기반을 마련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며 “앞으로도 지속해 협력업무를 알선하고 재단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지원을 해나갈 계획” 이라고 밝혔다.
/오승완 기자 osw@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