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영등포구의회(의장 조길형)는 비회기중인데도 두가지 현안문제로 매우 바쁘다.
‘양천자원회수시설’(소각장)을 공동 이용하는 것과 영등포역에서 고속열차를 탈 수 있게 만드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구의회는 관련기관을 방문하거나 건의문을 제출하는 등 분주하다.
양천구 목동에 소재한 ‘양천자원회수시설’은 서울시가 1996년 2월 준공한 후 양천구의 생활쓰레기만 소각 처리하고 있다.
양천구와 인근 주민들로 구성된 ‘주민협의체’에서 타지역 쓰레기 반입을 거부하고 있기 때문이다.
영등포구의회는 1999년 11월 시설을 방문, 공동사용을 촉구했다. 이후 전혀 변화가 없자 2003년 9월에는 영등포구의회 명의로 영등포구와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건의안’을 채택했다.
올해 1월에도 ‘공동이용 재촉구 건의문’을 서울시와 양천구에 발송했다. 벌써 9년째에 접어들었지만 해결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조길형 의장은 “양천소각장은 서울시 소유로 영등포구도 당연히 사용할 권리가 있다”며 “양천구는 지역이기주의에서 벗어나 소각장을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방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조 의장은 “현재 양천소각장 가동율은 60%에 이르지 못하고 있어 운영적자가 상당하다”며 “지역 이기주의에 편승해 개방할 수 없다면 폐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영등포구의회는 이 문제 해결을 위해 좀더 적극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이와함께 영등포구의회는 고속철도의 영등포역 정차를 추진하고 있다.
그동안 구의회는 이를 위해 철도청과 건설교통부, 인근 지자체에 협조문을 발송하고 국회에 청원서를 제출했다.
이 결과 건설교통부로부터 지난해 2월 “고속철도 수송수요 분석 및 영등포역 이용수요 등을 고려해 철도운영자가 검토함이 바람직하다”는 회신을 받아냈다.
같은해 3월 철도청도 “개통 후 고속열차 이용실적과 이용형태를 분석한 후 정차여부를 재검토할 계획”이라는 답변을 받았다.
광명시 등에서 ‘영등포역 정차 반대운동’을 추진하자 이에 적극 대응하고 있다.
1월 17일에는 ‘반대운동’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오는 2월 17일로 예정된 ‘고속철도 영등포역 정차를 위한 궐기대회’에 적극 협력할 계획이다.
구의회는 “영등포역은 1일 27만여명이 이용하는 교통요충지”라며 “지역이권 경쟁이 아닌 시민의 고속철 이용편의 차원에서 바라보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조 의장은 “최근 고속철 승차율은 당초 계획과 달리 경부선 약 75%, 호남선 약 45%로 매우 저조해 한해 적자만 1조5000억원에 이른다”며 “경영의 합리화를 위해서도 영등포역 정차는 추진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형수 기자 hskim@naeil.com
‘양천자원회수시설’(소각장)을 공동 이용하는 것과 영등포역에서 고속열차를 탈 수 있게 만드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구의회는 관련기관을 방문하거나 건의문을 제출하는 등 분주하다.
양천구 목동에 소재한 ‘양천자원회수시설’은 서울시가 1996년 2월 준공한 후 양천구의 생활쓰레기만 소각 처리하고 있다.
양천구와 인근 주민들로 구성된 ‘주민협의체’에서 타지역 쓰레기 반입을 거부하고 있기 때문이다.
영등포구의회는 1999년 11월 시설을 방문, 공동사용을 촉구했다. 이후 전혀 변화가 없자 2003년 9월에는 영등포구의회 명의로 영등포구와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건의안’을 채택했다.
올해 1월에도 ‘공동이용 재촉구 건의문’을 서울시와 양천구에 발송했다. 벌써 9년째에 접어들었지만 해결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조길형 의장은 “양천소각장은 서울시 소유로 영등포구도 당연히 사용할 권리가 있다”며 “양천구는 지역이기주의에서 벗어나 소각장을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방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조 의장은 “현재 양천소각장 가동율은 60%에 이르지 못하고 있어 운영적자가 상당하다”며 “지역 이기주의에 편승해 개방할 수 없다면 폐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영등포구의회는 이 문제 해결을 위해 좀더 적극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이와함께 영등포구의회는 고속철도의 영등포역 정차를 추진하고 있다.
그동안 구의회는 이를 위해 철도청과 건설교통부, 인근 지자체에 협조문을 발송하고 국회에 청원서를 제출했다.
이 결과 건설교통부로부터 지난해 2월 “고속철도 수송수요 분석 및 영등포역 이용수요 등을 고려해 철도운영자가 검토함이 바람직하다”는 회신을 받아냈다.
같은해 3월 철도청도 “개통 후 고속열차 이용실적과 이용형태를 분석한 후 정차여부를 재검토할 계획”이라는 답변을 받았다.
광명시 등에서 ‘영등포역 정차 반대운동’을 추진하자 이에 적극 대응하고 있다.
1월 17일에는 ‘반대운동’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오는 2월 17일로 예정된 ‘고속철도 영등포역 정차를 위한 궐기대회’에 적극 협력할 계획이다.
구의회는 “영등포역은 1일 27만여명이 이용하는 교통요충지”라며 “지역이권 경쟁이 아닌 시민의 고속철 이용편의 차원에서 바라보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조 의장은 “최근 고속철 승차율은 당초 계획과 달리 경부선 약 75%, 호남선 약 45%로 매우 저조해 한해 적자만 1조5000억원에 이른다”며 “경영의 합리화를 위해서도 영등포역 정차는 추진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형수 기자 hskim@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