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지역 고교입시제도 평준화적용과 관련, 의왕시와 군포시의 평준화적용지역 제외 의견이 교육개발원과 안양시의회 등으로부터 제기되자 해당 의왕·군포 양 시와 학부모들의 반발이 거세게 일고 있다.
지난달 30일 한국교육개발원은 경기도교육청에 제출한 고교입시제도개선방안 최종용역보고서에서 의왕을 제외한 안양·과천·군포지역을 고교평준화 적용지역으로 전환할 것을 권고했다.
이같은 사실이 알려지자 의왕지역 초·중·고교학교운영위원장 등 학부모들은 1일 오후 의왕시청에 모여 가칭‘의왕시교육말살정책저지위원회(대표 이동수 부곡중학교운영위원장)’를 결성,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이어 1일 오후 강상섭 의왕시장을 비롯, 11개 초·중·고교 학부모 등 300명은 경기도교육청 앞에서 의왕시를 고교평준화대상에 포함시키라며 항의시위까지 벌였다.
이날 강 시장과 학부모들은 “인근 도시에 비해 낙후된 의왕시 교육여건을 고려할 때 이 지역 고등학교가 평준화에서 제외되면 무더기 미달사태를 빚는 등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것”이라며 “교육청이 교육개발원 권고를 받아들인다면 자녀등교거부 등 실력저지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또한 지난달 30일 안양시의회가 안양교육청 관할지역인 안양·과천시를 고교 평준화 동일학군으로 지정해 달라는 내용의 건의문을 교육부와 도 교육청에 제출하자 군포시의회가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안양시의회는 “안양·과천시는 22개 중학교에 1만156명,22개 고등학교에1만962명이 재학하고 있는 등 자체적으로 고교 진학이 가능하다”며 “학생들이 멀리 떨어진 다른 학교로 진학하지 않도록 동일학군으로 지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2일 군포시의회도 ‘고교평준화추진관련건의문’을 채택하고 “안양과 군포지역은 사회 문화 교육 등 다방면에서 양 지역 공동발전을 위해 막대한 예산을 투자해 지역정보화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며 “한국개발원의 3개지역 동일학군 설정은 생활환경 및 시민정서를 고려한 타당한 논리”라며 평준화 동일학군 설정을 요구했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은 한국교육개발원의 연구용역보고서는 도교육청의 결정사항이 아닌 참고자료일 뿐이며 설문조사 등 폭넓은 의견수렴을 거쳐 연말까지 평준화 실시여부를 결정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지역간 갈등을 해결하기가 쉽지 않을 전망이다.
안양 곽태영 기자 tykwak@naeil.com
지난달 30일 한국교육개발원은 경기도교육청에 제출한 고교입시제도개선방안 최종용역보고서에서 의왕을 제외한 안양·과천·군포지역을 고교평준화 적용지역으로 전환할 것을 권고했다.
이같은 사실이 알려지자 의왕지역 초·중·고교학교운영위원장 등 학부모들은 1일 오후 의왕시청에 모여 가칭‘의왕시교육말살정책저지위원회(대표 이동수 부곡중학교운영위원장)’를 결성,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이어 1일 오후 강상섭 의왕시장을 비롯, 11개 초·중·고교 학부모 등 300명은 경기도교육청 앞에서 의왕시를 고교평준화대상에 포함시키라며 항의시위까지 벌였다.
이날 강 시장과 학부모들은 “인근 도시에 비해 낙후된 의왕시 교육여건을 고려할 때 이 지역 고등학교가 평준화에서 제외되면 무더기 미달사태를 빚는 등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것”이라며 “교육청이 교육개발원 권고를 받아들인다면 자녀등교거부 등 실력저지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또한 지난달 30일 안양시의회가 안양교육청 관할지역인 안양·과천시를 고교 평준화 동일학군으로 지정해 달라는 내용의 건의문을 교육부와 도 교육청에 제출하자 군포시의회가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안양시의회는 “안양·과천시는 22개 중학교에 1만156명,22개 고등학교에1만962명이 재학하고 있는 등 자체적으로 고교 진학이 가능하다”며 “학생들이 멀리 떨어진 다른 학교로 진학하지 않도록 동일학군으로 지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2일 군포시의회도 ‘고교평준화추진관련건의문’을 채택하고 “안양과 군포지역은 사회 문화 교육 등 다방면에서 양 지역 공동발전을 위해 막대한 예산을 투자해 지역정보화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며 “한국개발원의 3개지역 동일학군 설정은 생활환경 및 시민정서를 고려한 타당한 논리”라며 평준화 동일학군 설정을 요구했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은 한국교육개발원의 연구용역보고서는 도교육청의 결정사항이 아닌 참고자료일 뿐이며 설문조사 등 폭넓은 의견수렴을 거쳐 연말까지 평준화 실시여부를 결정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지역간 갈등을 해결하기가 쉽지 않을 전망이다.
안양 곽태영 기자 tykwak@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