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신문·한길리서치 조사 … 유치반대 27.3%
지원법 통과 후 군산 고창 포항 등 유치경쟁
‘부안사태’를 경험했던 전북도민 58%는 최근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지역발전을 위해 원전센터를 유치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여 주목된다.
이같은 결과는 내일신문이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한길리서치연구소에 이뢰해 지난 3월9일~10일 양일간 전북도민 만 20세 이상의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나타났다.(표준오차범위 95% 신뢰수준 ±3.1%P)
여론조사에서 ‘군산 원전센터 유치’를 묻는 질문에 58.3%가 ‘군산지역 주민만 설득된다면 전북발전을 위해 강력히 추진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장기적으로 전북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으므로 당장 중단해야 한다’는 유치반대 응답은 27.3% 였다.
이중 군산시민의 59.3%가 찬성 입장인 반면 34.6%는 반대 입장(잘모름 6.1%)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유치에 가장 적극적인 전북도와 군산시를 고무시키고 있다. 원전센터 유치방식이 부안사태 이후 ‘선 주민투표, 후 유치신청’으로 변경된 상황이기 때문이다. 주민투표를 진행할 경우 찬성률이 높을 것이라는 기대다.
전북도 핵심관계자는 “군산은 당장 주민투표를 해도 찬성률이 높게 나와 원전센터 유치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자신했다.
이러한 여론을 근거로 전북도와 군산시는 주민투표를 전면에 내걸어 ‘군부대 폭격장과 가까워 안전성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제2의 부안사태가 발생할 것’이라며 유치중단을 촉구하는 유치반대대책위 활동과 맞설 가능성이 높아졌다.
한편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의 유치지역 지원에 관한 특별법’이 국회를 통과한 뒤 전국 자치단체의 원전센터 유치경쟁이 달아오르고 있다. 환경단체와 반대주민들의 거듭된 반대운동에도 불구, 전북과 전남, 강원, 경북 등 자치단체가 유치활동을 벌이거나 중앙정부 관계자의 지역방문이 줄을 잇고 있다.
정부는 원전센터를 유치할 경우 3000억원의 지역발전 예산지원과 함께 연간 50억~100억원의 반입수수료, 한국수력원자력(주) 이전 등 각종 지원책을 제시하면서다. 특히 유치지역에 관련 공공기관이 이전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지자체의 유치전을 부추기고 있다.
정부는 4월초까지 원전센터 유치지역에 대한 지원과 일정을 확정해 공고하고, 오는 7월말까지 희망지역별로 주민투표를 실시할 계획이다. 찬성률이 높은 지역의 환경성 등을 검토해 올 연말쯤 부지를 최종 확정한다는 구상이다.
현재 원전센터 유치 움직임을 보이는 자치단체는 전북 군산시와 부안군, 고창군과 전남 영광군 장흥군 완도군, 강원도 삼척시, 경북 포항시 등이다. 군산시는 어청도나 비응도, 신시도 등 서해 섬지역에 원전센터를 유치한다는 방침을 정하고 국책사업유치단을 설치한 뒤 시청 공무원들의 관련시설 견학을 추진하고 있다.
부안군도 국책사업유치단의 활동이 계속되고 있고, 영광원전 인접지역인 고창군 주민도 유치요구를 그치지 않고 있다. 전남 영광군도 ‘영광군 경제살리기협의회’ 등이 정부일정이 확정되면 유치운동에 나선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경북 포항시도 원전센터 유치시 지역에 미칠 영향 등을 검토하고 있고, 포항공대와 포항지역발전협의회가 가세한 상황이다.
/전주 이명환·포항 최세호·전남 방국진 기자 mhan@naeil.com
지원법 통과 후 군산 고창 포항 등 유치경쟁
‘부안사태’를 경험했던 전북도민 58%는 최근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지역발전을 위해 원전센터를 유치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여 주목된다.
이같은 결과는 내일신문이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한길리서치연구소에 이뢰해 지난 3월9일~10일 양일간 전북도민 만 20세 이상의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나타났다.(표준오차범위 95% 신뢰수준 ±3.1%P)
여론조사에서 ‘군산 원전센터 유치’를 묻는 질문에 58.3%가 ‘군산지역 주민만 설득된다면 전북발전을 위해 강력히 추진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장기적으로 전북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으므로 당장 중단해야 한다’는 유치반대 응답은 27.3% 였다.
이중 군산시민의 59.3%가 찬성 입장인 반면 34.6%는 반대 입장(잘모름 6.1%)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유치에 가장 적극적인 전북도와 군산시를 고무시키고 있다. 원전센터 유치방식이 부안사태 이후 ‘선 주민투표, 후 유치신청’으로 변경된 상황이기 때문이다. 주민투표를 진행할 경우 찬성률이 높을 것이라는 기대다.
전북도 핵심관계자는 “군산은 당장 주민투표를 해도 찬성률이 높게 나와 원전센터 유치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자신했다.
이러한 여론을 근거로 전북도와 군산시는 주민투표를 전면에 내걸어 ‘군부대 폭격장과 가까워 안전성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제2의 부안사태가 발생할 것’이라며 유치중단을 촉구하는 유치반대대책위 활동과 맞설 가능성이 높아졌다.
한편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의 유치지역 지원에 관한 특별법’이 국회를 통과한 뒤 전국 자치단체의 원전센터 유치경쟁이 달아오르고 있다. 환경단체와 반대주민들의 거듭된 반대운동에도 불구, 전북과 전남, 강원, 경북 등 자치단체가 유치활동을 벌이거나 중앙정부 관계자의 지역방문이 줄을 잇고 있다.
정부는 원전센터를 유치할 경우 3000억원의 지역발전 예산지원과 함께 연간 50억~100억원의 반입수수료, 한국수력원자력(주) 이전 등 각종 지원책을 제시하면서다. 특히 유치지역에 관련 공공기관이 이전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지자체의 유치전을 부추기고 있다.
정부는 4월초까지 원전센터 유치지역에 대한 지원과 일정을 확정해 공고하고, 오는 7월말까지 희망지역별로 주민투표를 실시할 계획이다. 찬성률이 높은 지역의 환경성 등을 검토해 올 연말쯤 부지를 최종 확정한다는 구상이다.
현재 원전센터 유치 움직임을 보이는 자치단체는 전북 군산시와 부안군, 고창군과 전남 영광군 장흥군 완도군, 강원도 삼척시, 경북 포항시 등이다. 군산시는 어청도나 비응도, 신시도 등 서해 섬지역에 원전센터를 유치한다는 방침을 정하고 국책사업유치단을 설치한 뒤 시청 공무원들의 관련시설 견학을 추진하고 있다.
부안군도 국책사업유치단의 활동이 계속되고 있고, 영광원전 인접지역인 고창군 주민도 유치요구를 그치지 않고 있다. 전남 영광군도 ‘영광군 경제살리기협의회’ 등이 정부일정이 확정되면 유치운동에 나선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경북 포항시도 원전센터 유치시 지역에 미칠 영향 등을 검토하고 있고, 포항공대와 포항지역발전협의회가 가세한 상황이다.
/전주 이명환·포항 최세호·전남 방국진 기자 mhan@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