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교육청이 초등학교 일제 고사를 부활시킬 것이라고 발표하자 온라인에서는 이를 두고 찬성 반대 목소리가 팽팽하게 대립되고 있다.
일제 고사 부활에 찬성하는 네티즌은 “학력 증가 효과가 있을 것”이라며 반색을 하는 반면 반대하는 측은 “학력 증가가 아닌 성적 증가 등 부작용만 높을 것”이라고 반발하고 있다.
이번에 실시되는 일제 고사는 유인종 전 서울시 교육감이 취임하면서 지난 96년 이후 사라졌던 것이 공경택 교육감이 새로 취임하면서 8년 만에 부활하게 된다.
시교육청에 따르면 일제고사는 대상 학년이나 시기, 평가방법은 학교 자율로 맡겨지며 과거 일제고사처럼 학생들의 등수를 매기는 등 줄세우기는 금지된다. 또 초등학생의 시험 성적을 학부모가 알기 쉽도록 구체적 수준을 명시하거나 상세하게 서술해 주는 ‘서술식 단계형’ 성적통지 방식이 허용될 전망이다.
이와 함께 중·고교에서는 각각 1학년에 진학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올해부터 서술형, 논술형 시험비율을 30% 이상 실시하고 연차적으로 10%씩 올려 2007년까지 50%로 확대된다.
서울시 교육청은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하는 ‘서울학생 학력신장 방안’을 확정, 교과영역별 성적 수준을 알기 쉽고 자세하게 통지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초등학교에서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시험 횟수나 통지방식, 시기 등을 정해 시험을 보게 된다. 다만 학부모와 교사들의 의견을 수렴해야 한다.
공정택 교육감은 31일 기자회견에서 “일제고사는 지금 금지돼 있지만 앞으로 같은 시간에 같은 문제로 시험을 보는 것은 가능하다”며 “그러나 한 줄 세우기는 절대 안되며 학력평가가 아니라 학업성취도 방식이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전교조 등 교원단체들은 반대 입장을 강하게 취하고 있어 논란이 예상된다.
이처럼 일제 고사 부활 소식이 전해지자 온라인에서는 이를 두고 다양한 의견이 올라오고 있다. 포털 사이트 네이버는 실시계획이 발표되자 즉시 ‘96년부터 사라졌던 초등학교의 일제고사가 올해부터 다시 실시됩니다. 시험부활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이라는 투표를 실시했다. 온라인 투표에서 네티즌은 찬성 반대 각각 52%와 48%로 팽팽하게 대립되는 모습을 보였다.
◆“초등학교부터 학력 다져놔야”= 일제 고사 실시에 찬성하는 네티즌은 주로 초등학교때부터 학력을 다져놓지 않으면 상급학교에 가서 고생한다는 논리를 폈다. 이들은 또 우리나라는 인재 양성이 생명이므로 어릴 때부터 공부를 열심히 시켜야한다는 주장을 함께 폈다.
‘drfeafcd’라는 네티즌은 “초등학교에서 시험이 없으니 아이들이 공부를 얼마나 해야할지 모르게됐다”며 “일제 고사가 실시되면 정확한 목표와 과제 범위가 있으니 공부의 방향이 잡히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이 네티즌은 “이렇게 초등학교 때부터 공부를 해두지 않은 학생들이 중학교나 고등학교에 가서 고생하는 것을 많이 봤다”고 덧붙였다.
‘efqrgrq’라는 네티즌도 “자원도 기술도 인구도 별로 없는 나라에서 인재 양성 외에 어떤 무기가 있냐”며 “특기교육도 좋지만 기본이 되는 공부가 우선이 돼야한다”고 덧붙였다.
또 일부 네티즌은 현실적인 이유를 들어 찬성 입장을 밝혔다. 이들은 “시험이 없으니 내 아이의 실력이 어떤 지 몰랐다가 중학교에 가서 깜짝 놀랐다”며 “시험을 봐야 수준을 알고 그에 대비할 수 있다”는 주장을 폈다.
◆“사교육 심화 등 부작용 심할 것” = 반대측 논리는 대부분 초등학교때부터 성적 열풍이 불어 사교육 의존이 심화될 것을 우려했다. 이들은 우리 교육 구조상 시험 대비는 학원에서 할 수밖에 없으며 이렇게 되면 아이들이나 학부모들 모두 힘에 겨울 것이라는 입장이었다.
‘mongsang’이라는 네티즌은 “서술형 시험문제를 내고 서술형 평가를 한다는데 이를 공교육에서 수행할 수 있는 일”이냐며 “시험 대비는 학원에 가서 하고 평가를 잘받기 위해서는 학교에 바리바리 싸들고 갈 것이 눈에 훤하다”고 주장했다.
‘dinmrfnh’라는 네티즌도 “초등학교때부터 아이들은 시험에 죽고 학부모들은 과외비 대기에 죽이는 공멸하자는 제도”라며 “초등학교때 30∼40% 더 외우게 하는 것이 국가 경쟁력에 얼마나 도움이 될지 차분하게 따져 봐야한다”고 말했다.
일제 고사 부활에 찬성하는 네티즌은 “학력 증가 효과가 있을 것”이라며 반색을 하는 반면 반대하는 측은 “학력 증가가 아닌 성적 증가 등 부작용만 높을 것”이라고 반발하고 있다.
이번에 실시되는 일제 고사는 유인종 전 서울시 교육감이 취임하면서 지난 96년 이후 사라졌던 것이 공경택 교육감이 새로 취임하면서 8년 만에 부활하게 된다.
시교육청에 따르면 일제고사는 대상 학년이나 시기, 평가방법은 학교 자율로 맡겨지며 과거 일제고사처럼 학생들의 등수를 매기는 등 줄세우기는 금지된다. 또 초등학생의 시험 성적을 학부모가 알기 쉽도록 구체적 수준을 명시하거나 상세하게 서술해 주는 ‘서술식 단계형’ 성적통지 방식이 허용될 전망이다.
이와 함께 중·고교에서는 각각 1학년에 진학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올해부터 서술형, 논술형 시험비율을 30% 이상 실시하고 연차적으로 10%씩 올려 2007년까지 50%로 확대된다.
서울시 교육청은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하는 ‘서울학생 학력신장 방안’을 확정, 교과영역별 성적 수준을 알기 쉽고 자세하게 통지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초등학교에서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시험 횟수나 통지방식, 시기 등을 정해 시험을 보게 된다. 다만 학부모와 교사들의 의견을 수렴해야 한다.
공정택 교육감은 31일 기자회견에서 “일제고사는 지금 금지돼 있지만 앞으로 같은 시간에 같은 문제로 시험을 보는 것은 가능하다”며 “그러나 한 줄 세우기는 절대 안되며 학력평가가 아니라 학업성취도 방식이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전교조 등 교원단체들은 반대 입장을 강하게 취하고 있어 논란이 예상된다.
이처럼 일제 고사 부활 소식이 전해지자 온라인에서는 이를 두고 다양한 의견이 올라오고 있다. 포털 사이트 네이버는 실시계획이 발표되자 즉시 ‘96년부터 사라졌던 초등학교의 일제고사가 올해부터 다시 실시됩니다. 시험부활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이라는 투표를 실시했다. 온라인 투표에서 네티즌은 찬성 반대 각각 52%와 48%로 팽팽하게 대립되는 모습을 보였다.
◆“초등학교부터 학력 다져놔야”= 일제 고사 실시에 찬성하는 네티즌은 주로 초등학교때부터 학력을 다져놓지 않으면 상급학교에 가서 고생한다는 논리를 폈다. 이들은 또 우리나라는 인재 양성이 생명이므로 어릴 때부터 공부를 열심히 시켜야한다는 주장을 함께 폈다.
‘drfeafcd’라는 네티즌은 “초등학교에서 시험이 없으니 아이들이 공부를 얼마나 해야할지 모르게됐다”며 “일제 고사가 실시되면 정확한 목표와 과제 범위가 있으니 공부의 방향이 잡히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이 네티즌은 “이렇게 초등학교 때부터 공부를 해두지 않은 학생들이 중학교나 고등학교에 가서 고생하는 것을 많이 봤다”고 덧붙였다.
‘efqrgrq’라는 네티즌도 “자원도 기술도 인구도 별로 없는 나라에서 인재 양성 외에 어떤 무기가 있냐”며 “특기교육도 좋지만 기본이 되는 공부가 우선이 돼야한다”고 덧붙였다.
또 일부 네티즌은 현실적인 이유를 들어 찬성 입장을 밝혔다. 이들은 “시험이 없으니 내 아이의 실력이 어떤 지 몰랐다가 중학교에 가서 깜짝 놀랐다”며 “시험을 봐야 수준을 알고 그에 대비할 수 있다”는 주장을 폈다.
◆“사교육 심화 등 부작용 심할 것” = 반대측 논리는 대부분 초등학교때부터 성적 열풍이 불어 사교육 의존이 심화될 것을 우려했다. 이들은 우리 교육 구조상 시험 대비는 학원에서 할 수밖에 없으며 이렇게 되면 아이들이나 학부모들 모두 힘에 겨울 것이라는 입장이었다.
‘mongsang’이라는 네티즌은 “서술형 시험문제를 내고 서술형 평가를 한다는데 이를 공교육에서 수행할 수 있는 일”이냐며 “시험 대비는 학원에 가서 하고 평가를 잘받기 위해서는 학교에 바리바리 싸들고 갈 것이 눈에 훤하다”고 주장했다.
‘dinmrfnh’라는 네티즌도 “초등학교때부터 아이들은 시험에 죽고 학부모들은 과외비 대기에 죽이는 공멸하자는 제도”라며 “초등학교때 30∼40% 더 외우게 하는 것이 국가 경쟁력에 얼마나 도움이 될지 차분하게 따져 봐야한다”고 말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