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교통부가 국토교통부로 바뀌게 됨에 따라 약칭을 놓고 고민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 1일 국무회의에서 건설교통부를 국토교통부로 바꾸는 내용이 포함된 <정부조직법> 개정안을 통과시키고 2월 임시국회에 제출할 예정이다. 국회 심의를 남겨 놓고 있기는 하지만 쟁점 사안이 아니어서 그대로 확정될 가능성이 높다.
명칭 변경 배경에 대해 건교부의 한 관계자는 “실제 건교부에서 국토 종합관리 업무를 수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하위개념인 건설이 강조되고 있는 게 현실”이라며 “명칭 변경을 계기로 외부적 변화보다 국토의 균형발전이나 지속가능한 발전 등의 개념에 대한 내부 직원의 의식개선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에 따라 건교부에서는 명칭 변경을 위한 작업을 준비 중이다. 우선 건교부 공무원들의 소속이 바뀌기 때문에 명함을 새로 만드는 것은 물론 인사발령을 새로 내야 한다는 것이다. 도로와 비행기 활주로가 뻗어나가는 것을 상징하고 있는 로고의 변경도 검토 중이다.
또 영문표기와 함께 약칭을 어떻게 할 것인가도 고민거리이다.
국토교통부의 약칭을 놓고 국교부로 할 것인지 아니면 국토부로 할 것인지 검토하고 있다. 국교부의 경우는 교육관련 이미지나 ‘국교수립’과 같은 엉뚱한 이미지가 떠올라 국토부가 유력 대안으로 거론되고 있다. 하지만 이 역시 교통관련 부서의 이미지가 빠져 고민을 거듭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조직법>
정부는 지난 1일 국무회의에서 건설교통부를 국토교통부로 바꾸는 내용이 포함된 <정부조직법> 개정안을 통과시키고 2월 임시국회에 제출할 예정이다. 국회 심의를 남겨 놓고 있기는 하지만 쟁점 사안이 아니어서 그대로 확정될 가능성이 높다.
명칭 변경 배경에 대해 건교부의 한 관계자는 “실제 건교부에서 국토 종합관리 업무를 수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하위개념인 건설이 강조되고 있는 게 현실”이라며 “명칭 변경을 계기로 외부적 변화보다 국토의 균형발전이나 지속가능한 발전 등의 개념에 대한 내부 직원의 의식개선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에 따라 건교부에서는 명칭 변경을 위한 작업을 준비 중이다. 우선 건교부 공무원들의 소속이 바뀌기 때문에 명함을 새로 만드는 것은 물론 인사발령을 새로 내야 한다는 것이다. 도로와 비행기 활주로가 뻗어나가는 것을 상징하고 있는 로고의 변경도 검토 중이다.
또 영문표기와 함께 약칭을 어떻게 할 것인가도 고민거리이다.
국토교통부의 약칭을 놓고 국교부로 할 것인지 아니면 국토부로 할 것인지 검토하고 있다. 국교부의 경우는 교육관련 이미지나 ‘국교수립’과 같은 엉뚱한 이미지가 떠올라 국토부가 유력 대안으로 거론되고 있다. 하지만 이 역시 교통관련 부서의 이미지가 빠져 고민을 거듭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조직법>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