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년간 한국을 사랑하면서 이제 완전한 한국인이 됐습니다. 남은 생도 한국에서 봉사하며 살겠습니다.”
‘청빈 총장’으로 화제가 됐던 미국출신의 천안 나사렛대 백위열(63·사진) 총장이 임기를 마치고 학교를 떠난다.
오는 2월 17일에 열리는 이임식을 끝으로 학교생활을 마감하는 백 총장이 한국에 처음 발을 디딘 것은 지난 1973년 10월.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에서 태어나 로체스터대학에서 상담학 박사과정을 공부하던 그는 아내 그리고 어린 두 딸을 데리고 선교사로 한국에 왔다. 처음에 그는 교도소 재소자 대상의 활동을 했다. 이후 나사렛대학의 전신인 나사렛신학교 초대 교장직을 맡으며 교육활동에 투신하게 된다. 특히 한국인 남자아이를 입양해 키울 정도로 백 총장의 한국사랑은 남다르다.
그동안 백 총장은 영어학과 교수인 부인과 함께 나사렛대학에서 일했다.
월급은 물론이고 외부에서 받는 강사료까지 모두 학교에 내놓았던 백 총장은 나사렛대에서 제공하는 승용차도 항상 부담스러워 낡은 승합차를 주로 이용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또한 백 총장은 장애인 교육권 향상에도 앞장서 전국대학 최초로 대학부설 특수 유치원, 초등학교 과정을 개설했다. 또 나사렛대가 전국 최초로 장애인전형을 실시하도록 하기도 했다.
이 때문에 백 총장은 2003년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이 수여하는 ‘장애인 인권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백 총장은 “총장으로서 임기는 끝났지만 아직도 한국 땅에서 해야 할 일이 많이 남았다”며 “30년을 넘게 살아온 이 땅이 이제는 전혀 남의 나라 같지 않다”며 앞으로 한국에서의 활동계획을 세우고 있다.
백 총장은 이임 후 두 딸과 한국인 입양아들이 있는 미국에서 1년간 안식년을 보낼 계획이다. 이후 부인과 함께 한국에 다시 돌아와 나사렛대와 소외된 사람들을 위한 마지막 봉사로 제2의 삶을 산다는 계획이다.
/장세풍 기자 spjang@naeil.com
‘청빈 총장’으로 화제가 됐던 미국출신의 천안 나사렛대 백위열(63·사진) 총장이 임기를 마치고 학교를 떠난다.
오는 2월 17일에 열리는 이임식을 끝으로 학교생활을 마감하는 백 총장이 한국에 처음 발을 디딘 것은 지난 1973년 10월.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에서 태어나 로체스터대학에서 상담학 박사과정을 공부하던 그는 아내 그리고 어린 두 딸을 데리고 선교사로 한국에 왔다. 처음에 그는 교도소 재소자 대상의 활동을 했다. 이후 나사렛대학의 전신인 나사렛신학교 초대 교장직을 맡으며 교육활동에 투신하게 된다. 특히 한국인 남자아이를 입양해 키울 정도로 백 총장의 한국사랑은 남다르다.
그동안 백 총장은 영어학과 교수인 부인과 함께 나사렛대학에서 일했다.
월급은 물론이고 외부에서 받는 강사료까지 모두 학교에 내놓았던 백 총장은 나사렛대에서 제공하는 승용차도 항상 부담스러워 낡은 승합차를 주로 이용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또한 백 총장은 장애인 교육권 향상에도 앞장서 전국대학 최초로 대학부설 특수 유치원, 초등학교 과정을 개설했다. 또 나사렛대가 전국 최초로 장애인전형을 실시하도록 하기도 했다.
이 때문에 백 총장은 2003년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이 수여하는 ‘장애인 인권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백 총장은 “총장으로서 임기는 끝났지만 아직도 한국 땅에서 해야 할 일이 많이 남았다”며 “30년을 넘게 살아온 이 땅이 이제는 전혀 남의 나라 같지 않다”며 앞으로 한국에서의 활동계획을 세우고 있다.
백 총장은 이임 후 두 딸과 한국인 입양아들이 있는 미국에서 1년간 안식년을 보낼 계획이다. 이후 부인과 함께 한국에 다시 돌아와 나사렛대와 소외된 사람들을 위한 마지막 봉사로 제2의 삶을 산다는 계획이다.
/장세풍 기자 spjang@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