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이 ‘앞으로 정치에 개입하지 않고 중립을 유지한다’는 내용을 포함한 ‘경영원칙’을 확정해 16일 발표했다.
특히 ‘회사의 자금과 인력, 시설 등을 정치적 목적으로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과 ‘불법적인 기부금 등 금품을 제공하지 않는다’는 내용도 경영원칙에 포함됐다.
삼성에 따르면 지난 9일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임직원의 행동원칙을 규정한 이번 삼성 경영원칙은 최근 정부·정치·경제·시민사회 등 4대 부문 대표들이 체결한 ‘투명사회 협약’의 후속조치 성격이다.
삼성은 이날 오전 이학수 구조조정본부장 등 40여명의 계열사 사장들이 참석한 그룹 사장단 회의에서 삼성 경영원칙을 선포하고 각 사가 곧바로 시행에 들어가기로 결의했다. 준비기간 1년을 거쳐 마련된 삼성 경영원칙은 기본적 5대 행동원칙으로 △법과 윤리의 준수 △깨끗한 조직문화 △고객, 주주, 종업원 존중 △환경, 안전, 건강 중시 △기업시민으로서 사회적 책임 수행 등을 제시하고 이를 구체화한 15개 세부원칙과 42개 행동세칙을 담았다.
특히 법과 윤리의 준수 원칙에는 법규의 준수와 회계투명성, 정치적중립 유지에 관한 세부원칙을 설명했으며, 깨끗한 조직문화 원칙에는 공과 사의 구분 및 회사 지적 재산권 보호에 대한 원칙을 구체화했다.
삼성은 각 사별로 운영되고 있는 ''윤리강령''을 대체하게 될 경영원칙이 효과적으로 정착되고 유지될 수 있도록 ‘삼성 경영원칙 실천위원회’를 설치하고, 글로벌일류기업에 필요한 기업문화를 만들어 나가기 위해 국내외 임직원 교육뿐 아니라 해외 핵심인력 채용 때도 적극 활용하기로 했다.
삼성은 “임직원의 행동원칙인 경영원칙을 제정함으로써 회사의 사회적 존재 이유와 사명을 규정한 경영이념과 회사와 임직원의 정체성과 지향점을 규정한 핵심가치와 함께 삼성인이 갖춰야 할 삼위일체의 공유가치 체계를 완비하게 됐다”고 말했다.
/강경흠 기자khknag@naeil.com
특히 ‘회사의 자금과 인력, 시설 등을 정치적 목적으로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과 ‘불법적인 기부금 등 금품을 제공하지 않는다’는 내용도 경영원칙에 포함됐다.
삼성에 따르면 지난 9일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임직원의 행동원칙을 규정한 이번 삼성 경영원칙은 최근 정부·정치·경제·시민사회 등 4대 부문 대표들이 체결한 ‘투명사회 협약’의 후속조치 성격이다.
삼성은 이날 오전 이학수 구조조정본부장 등 40여명의 계열사 사장들이 참석한 그룹 사장단 회의에서 삼성 경영원칙을 선포하고 각 사가 곧바로 시행에 들어가기로 결의했다. 준비기간 1년을 거쳐 마련된 삼성 경영원칙은 기본적 5대 행동원칙으로 △법과 윤리의 준수 △깨끗한 조직문화 △고객, 주주, 종업원 존중 △환경, 안전, 건강 중시 △기업시민으로서 사회적 책임 수행 등을 제시하고 이를 구체화한 15개 세부원칙과 42개 행동세칙을 담았다.
특히 법과 윤리의 준수 원칙에는 법규의 준수와 회계투명성, 정치적중립 유지에 관한 세부원칙을 설명했으며, 깨끗한 조직문화 원칙에는 공과 사의 구분 및 회사 지적 재산권 보호에 대한 원칙을 구체화했다.
삼성은 각 사별로 운영되고 있는 ''윤리강령''을 대체하게 될 경영원칙이 효과적으로 정착되고 유지될 수 있도록 ‘삼성 경영원칙 실천위원회’를 설치하고, 글로벌일류기업에 필요한 기업문화를 만들어 나가기 위해 국내외 임직원 교육뿐 아니라 해외 핵심인력 채용 때도 적극 활용하기로 했다.
삼성은 “임직원의 행동원칙인 경영원칙을 제정함으로써 회사의 사회적 존재 이유와 사명을 규정한 경영이념과 회사와 임직원의 정체성과 지향점을 규정한 핵심가치와 함께 삼성인이 갖춰야 할 삼위일체의 공유가치 체계를 완비하게 됐다”고 말했다.
/강경흠 기자khknag@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