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10여곳서 자체 교류 중단 선언
전남도·마산시 등 구체적 행동 지침 마련
전국시도지사협의회와 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를 중심으로 자치단체들의 일본 비난 물결이 거세지고 있다. 통상적으로 해오던 지자체와의 자체 교류를 포기하겠다는 곳도 늘어나고 있다.
전국 16개 시·도지사는 18일 “일본의 독도 침탈 행위는 대한민국의 영토와 주권에 대한 엄연한 침략행위이며 동북아 안정을 파괴하는 자해행위임을 주지시키고 독도의 날 제정 조례와 과거사를 왜곡한 역사교과서의 즉각적인 폐기”를 요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전국 시장군수구청장 234명도 이날 “경상북도가 일본 시마네현과 모든 교류를 중단한 것에 대해 지지를 보내며, 시마네현은 ''독도의 날'' 조례를 즉각 폐기하고 우리 국민에게 공식적으로 사과할 것을 요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또 울릉군은 ‘독도의 날’을 조례로 제정해 독도지키기에 나설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같은 반일 감정은 성명 발표에만 그치지 않고 있다. 지자체간 교류 중단을 선언한 곳이 전국 10여곳에 이르고, 마산시는 ‘대마도의 날’을 조례로 제정하는 등 파장이 확산되고 있다.
전남 고흥군은 지난 1997년 우호교류 체결 이후 지속해왔던 일본 가시마시와 인적·물적 교류를 전면 중단한다고 20일 밝혔다. 경상북도와 경남 통영시 등 전국 10여 곳의 지자체에서 이미 일본 지자체와 교류중단을 선언한데 이어 광주·전남 지역 지자체로는 최초의 교류중단이다.
전남도는 일본의 독도 망동사태를 계기로 전남도내 미등록 무인도와 해면성 토지 등 우리땅 찾기에 나선다고 20일 밝혔다.
도는 연말까지 무인도와 등대, 불법매립지, 해면성 토지 등 토지 과세대상에서 누락된 미등록 영토에 대한 일제등록에 나서기로 했다.
이에 앞서 대전광역시는 자체 교류중인 시마네현 행정관할구역인 오다시가 조례제정에 대해 무반응으로 일관하고 있는 것은 교류협력 의지가 없다는 뜻이라고 비난했다.
강원도 춘천시도 자매결연을 맺고 있는 기후현 가가미가하라시 등 3개 지자체와의 교류행사와 실무회의 등을 전면 중단했다.
이에 따라 지난 84년부터 시작된 농축수산업, 체육 교류, 각종 경기대회와 학술포럼 등이 모두 중단되거나 유보됐다.
경주시와 제주시 등은 일본자매도시 관계자들의 초청을 취소하는 등 일본 자매도시와 단절하거나 교류, 행사를 중단했다.
광주광역시의회도 광주시에 자매도시인 센다이시와의 교류사업에 대한 전면 재검토를 요청하는 한편 ‘센다이로’ 도로 이름을 바꾸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경기도 용인시도 일본 시마네현의 독도조례안 제정과 관련, 을사조약 체결에 항의 자결한 충정공 민영환 선생의 묘소를 참배해 일장기를 짓밟고 태우는 등 독도조례안 통과를 강력 규탄했다.
청주시와 청주시의회는 지난 17일 일본규탄 결의문을 채택한 뒤 “자매결연한 돗토리시와의 우호교류 중단을 신중히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 충주시의회는 지난 16일 고명종 의원 등이 ‘항의 삭발식’을 통해 항의의 뜻을 전달했다.
전남 여수시의회는 17일 최근 일본 시마네현 의회의 독도 침탈야욕인 “다케시마의 날” 조례안 제정과 역사 교과서 왜곡을 규탄하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시의회는 성명에서 우리의 거듭되는 경고와 온 국민의 들끓는 반대에도 불구하고 일본 시네마현의회가 3월16일 끝내 “다케시마의 날”을 제정한 것에 대해 울분을 금치 못한다며 강력 규탄했다.
독도 문제를 놓고 불거진 양국간 지자체 교류 중단 사태에 대해 전국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 주용학 수석전문위원은 “우리 지자체 대부분이 일본과 교류를 하고 있는 상황에서 교류 중단을 선언하는 곳이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며 “상호간 신뢰가 없는 교류는 이처럼 사안에 따라 쉽게 중단될 소지가 있기 때문에 실질적 교류의 바탕부터 재정비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성배 기자·전국 종합 sbkim@naeil.com
전남도·마산시 등 구체적 행동 지침 마련
전국시도지사협의회와 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를 중심으로 자치단체들의 일본 비난 물결이 거세지고 있다. 통상적으로 해오던 지자체와의 자체 교류를 포기하겠다는 곳도 늘어나고 있다.
전국 16개 시·도지사는 18일 “일본의 독도 침탈 행위는 대한민국의 영토와 주권에 대한 엄연한 침략행위이며 동북아 안정을 파괴하는 자해행위임을 주지시키고 독도의 날 제정 조례와 과거사를 왜곡한 역사교과서의 즉각적인 폐기”를 요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전국 시장군수구청장 234명도 이날 “경상북도가 일본 시마네현과 모든 교류를 중단한 것에 대해 지지를 보내며, 시마네현은 ''독도의 날'' 조례를 즉각 폐기하고 우리 국민에게 공식적으로 사과할 것을 요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또 울릉군은 ‘독도의 날’을 조례로 제정해 독도지키기에 나설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같은 반일 감정은 성명 발표에만 그치지 않고 있다. 지자체간 교류 중단을 선언한 곳이 전국 10여곳에 이르고, 마산시는 ‘대마도의 날’을 조례로 제정하는 등 파장이 확산되고 있다.
전남 고흥군은 지난 1997년 우호교류 체결 이후 지속해왔던 일본 가시마시와 인적·물적 교류를 전면 중단한다고 20일 밝혔다. 경상북도와 경남 통영시 등 전국 10여 곳의 지자체에서 이미 일본 지자체와 교류중단을 선언한데 이어 광주·전남 지역 지자체로는 최초의 교류중단이다.
전남도는 일본의 독도 망동사태를 계기로 전남도내 미등록 무인도와 해면성 토지 등 우리땅 찾기에 나선다고 20일 밝혔다.
도는 연말까지 무인도와 등대, 불법매립지, 해면성 토지 등 토지 과세대상에서 누락된 미등록 영토에 대한 일제등록에 나서기로 했다.
이에 앞서 대전광역시는 자체 교류중인 시마네현 행정관할구역인 오다시가 조례제정에 대해 무반응으로 일관하고 있는 것은 교류협력 의지가 없다는 뜻이라고 비난했다.
강원도 춘천시도 자매결연을 맺고 있는 기후현 가가미가하라시 등 3개 지자체와의 교류행사와 실무회의 등을 전면 중단했다.
이에 따라 지난 84년부터 시작된 농축수산업, 체육 교류, 각종 경기대회와 학술포럼 등이 모두 중단되거나 유보됐다.
경주시와 제주시 등은 일본자매도시 관계자들의 초청을 취소하는 등 일본 자매도시와 단절하거나 교류, 행사를 중단했다.
광주광역시의회도 광주시에 자매도시인 센다이시와의 교류사업에 대한 전면 재검토를 요청하는 한편 ‘센다이로’ 도로 이름을 바꾸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경기도 용인시도 일본 시마네현의 독도조례안 제정과 관련, 을사조약 체결에 항의 자결한 충정공 민영환 선생의 묘소를 참배해 일장기를 짓밟고 태우는 등 독도조례안 통과를 강력 규탄했다.
청주시와 청주시의회는 지난 17일 일본규탄 결의문을 채택한 뒤 “자매결연한 돗토리시와의 우호교류 중단을 신중히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 충주시의회는 지난 16일 고명종 의원 등이 ‘항의 삭발식’을 통해 항의의 뜻을 전달했다.
전남 여수시의회는 17일 최근 일본 시마네현 의회의 독도 침탈야욕인 “다케시마의 날” 조례안 제정과 역사 교과서 왜곡을 규탄하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시의회는 성명에서 우리의 거듭되는 경고와 온 국민의 들끓는 반대에도 불구하고 일본 시네마현의회가 3월16일 끝내 “다케시마의 날”을 제정한 것에 대해 울분을 금치 못한다며 강력 규탄했다.
독도 문제를 놓고 불거진 양국간 지자체 교류 중단 사태에 대해 전국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 주용학 수석전문위원은 “우리 지자체 대부분이 일본과 교류를 하고 있는 상황에서 교류 중단을 선언하는 곳이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며 “상호간 신뢰가 없는 교류는 이처럼 사안에 따라 쉽게 중단될 소지가 있기 때문에 실질적 교류의 바탕부터 재정비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성배 기자·전국 종합 sbkim@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