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부원장 마인섭)은 23일 오후 1시부터 2시간 동안 600주년기념관에서 최근 역사교과서 문제를 중심으로 한 ‘한-중-일 공동 역사교과서 발간 경과와 의의’를 주제로 제3회 동아시아학 포럼을 개최한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포럼에는 공동 역사교과서 일본측 집필자인 도쿄대 마쓰모토 다케노리 교수가 발표자로 나서 공동집필 과정의 몇 가지 난제와 사회운동으로서 ‘공동 역사교과서 운동’의 전략적 실천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현재 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 교환교수인 마쓰모토 교수는 오는 5월 18일 발간돼 한-중-일 3국의 중학교 역사교과서 부교재로 쓰일 ‘공동 역사교과서’ 집필 중 발생한 3국학자들의 견해 차이를 밝혔다.
이에 따르면 먼저 ‘동아시아 근대사 시기구분’에 있어서 일본측은 ‘개항기-청일전쟁-만주사변-패전-패전 이후’로 나눈 반면, 한-중 측은 역사교과서가 일본제국 전개사가 될 것을 우려해 결국 청일전쟁 부분에 대해 1910년 초(대한제국 병합·신해혁명)를 시기구분 지표로 삼는 것에 합의했다.
또 3국 연구자들 사이에 인식의 차이가 확연히 드러난 부분은 △청일전쟁에서 중국의 조선 정책 평가 △3.1운동이 5.4운동에 미친 영향에 대한 평가 △일본내 대외팽창 정책 반대파(소극파)에 대한 평가 △일본 국민들의 전쟁피해에 관한 내용의 필요성 등이었다.
마지막으로 공동교과서의 표현방법에서 입장차이가 드러났다. 예를 들어 안중근 ‘의사’,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한 ‘거사’라는 표현에 대해 그 역사적 평가는 정당하지만 가치판단을 배제한 가치중립적인 일본의 일반적인 역사교과서의 수사법과는 거리가 있다는 것이다.
마쓰모토 교수는 “이 문제는 ‘교과서가 학생에게 전달하는 메시지가 무엇인가’라는 이론적, 실천적 이슈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학자로서 접근하기 어려운 부분”이라며 “대신 수사법의 적절성에 관한 문제는 솔직한 의견교환을 통해 조율할 수 있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또 그는 “교육현장의 교사와 학술적, 실천적인 연대는 불가결한 과제”라며 “일본 교사들은 교과서 선정과정에 완전히 배제돼 있으며 국가 제창 시 국기를 향해 기립하지 않는 교사가 처분 대상이 될 정도로 ‘위기상황’이기 때문에 한-중-일의 학자, 교사들이 실천적인 연대를 이뤄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포럼에는 공동 역사교과서 일본측 집필자인 도쿄대 마쓰모토 다케노리 교수가 발표자로 나서 공동집필 과정의 몇 가지 난제와 사회운동으로서 ‘공동 역사교과서 운동’의 전략적 실천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현재 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 교환교수인 마쓰모토 교수는 오는 5월 18일 발간돼 한-중-일 3국의 중학교 역사교과서 부교재로 쓰일 ‘공동 역사교과서’ 집필 중 발생한 3국학자들의 견해 차이를 밝혔다.
이에 따르면 먼저 ‘동아시아 근대사 시기구분’에 있어서 일본측은 ‘개항기-청일전쟁-만주사변-패전-패전 이후’로 나눈 반면, 한-중 측은 역사교과서가 일본제국 전개사가 될 것을 우려해 결국 청일전쟁 부분에 대해 1910년 초(대한제국 병합·신해혁명)를 시기구분 지표로 삼는 것에 합의했다.
또 3국 연구자들 사이에 인식의 차이가 확연히 드러난 부분은 △청일전쟁에서 중국의 조선 정책 평가 △3.1운동이 5.4운동에 미친 영향에 대한 평가 △일본내 대외팽창 정책 반대파(소극파)에 대한 평가 △일본 국민들의 전쟁피해에 관한 내용의 필요성 등이었다.
마지막으로 공동교과서의 표현방법에서 입장차이가 드러났다. 예를 들어 안중근 ‘의사’,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한 ‘거사’라는 표현에 대해 그 역사적 평가는 정당하지만 가치판단을 배제한 가치중립적인 일본의 일반적인 역사교과서의 수사법과는 거리가 있다는 것이다.
마쓰모토 교수는 “이 문제는 ‘교과서가 학생에게 전달하는 메시지가 무엇인가’라는 이론적, 실천적 이슈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학자로서 접근하기 어려운 부분”이라며 “대신 수사법의 적절성에 관한 문제는 솔직한 의견교환을 통해 조율할 수 있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또 그는 “교육현장의 교사와 학술적, 실천적인 연대는 불가결한 과제”라며 “일본 교사들은 교과서 선정과정에 완전히 배제돼 있으며 국가 제창 시 국기를 향해 기립하지 않는 교사가 처분 대상이 될 정도로 ‘위기상황’이기 때문에 한-중-일의 학자, 교사들이 실천적인 연대를 이뤄야 한다”고 말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