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가 장기화되면서 어려운 가정형편 때문에 학비를 지원받는 중·고교생이 크게 증가했다.
서울시교육청은 24일 올해 3월 현재 가정형편이 어려워 수업료나 학교운영비 등 학비 지원 신청을 한 중·고교생은 5만9659명으로 작년 동기의 5만5736명에 비해 7.04% 늘어났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시교육청은 교육의 기회균등과 생산적 복지이념을 실현하기 위해 저소득층 중·고생 자녀에 대한 학비지원을 대폭 늘리기로 했다.
시교육청에 따르면 지난해 1만1334명이었던 학비를 지원받는 중학생은 올해 1만1330명으로 줄어들었다.
그러나 지원 대상 고교생은 지난해 3만6522명에서 4만548명으로 크게 늘어났다. 서울시내 중·고교에 재학 중인 학생 수가 73만1890명인 점을 감안하면 100명 가운데 8.15명이 가정형편 때문에 학비를 내지 못하고 있다.
지원 대상 학생비율이 지난해 7.63%에 비해 0.52% 포인트 증가함에 따라 시교육청으 학비지원 및 면제 액수를 490억원에서 545억원으로 11.2% 늘렸다.
고교 수업료의 경우 학생 1인당 매분기 33만5700원이 지급되고 중학교는 의무교육으로 수업료가 없다. 또 학교운영 지원비는 분기당 중학교가 5만4000원, 고등학교는 7만3500원이다.
한편 학비지원 절차는 학부모가 신청서를 해당학교에 제출하면 학생복지심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확정된다.
서울시 교육청 관계자는 “가정의 지역건강보험료 납입규모와 소득 등을 기준으로 가정형편이 어려운 학생들을 선정해 학비를 지원하고 있다”며 “올해는 담임교사의 추천비율을 늘리는 등 수혜대상 확대와 함께 실제로 가정 형편이 어려운 학생을 찾아 지원하기위한 대책도 마련했다”고 말했다.
/장세풍 기자 spjang@naeil.com
서울시교육청은 24일 올해 3월 현재 가정형편이 어려워 수업료나 학교운영비 등 학비 지원 신청을 한 중·고교생은 5만9659명으로 작년 동기의 5만5736명에 비해 7.04% 늘어났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시교육청은 교육의 기회균등과 생산적 복지이념을 실현하기 위해 저소득층 중·고생 자녀에 대한 학비지원을 대폭 늘리기로 했다.
시교육청에 따르면 지난해 1만1334명이었던 학비를 지원받는 중학생은 올해 1만1330명으로 줄어들었다.
그러나 지원 대상 고교생은 지난해 3만6522명에서 4만548명으로 크게 늘어났다. 서울시내 중·고교에 재학 중인 학생 수가 73만1890명인 점을 감안하면 100명 가운데 8.15명이 가정형편 때문에 학비를 내지 못하고 있다.
지원 대상 학생비율이 지난해 7.63%에 비해 0.52% 포인트 증가함에 따라 시교육청으 학비지원 및 면제 액수를 490억원에서 545억원으로 11.2% 늘렸다.
고교 수업료의 경우 학생 1인당 매분기 33만5700원이 지급되고 중학교는 의무교육으로 수업료가 없다. 또 학교운영 지원비는 분기당 중학교가 5만4000원, 고등학교는 7만3500원이다.
한편 학비지원 절차는 학부모가 신청서를 해당학교에 제출하면 학생복지심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확정된다.
서울시 교육청 관계자는 “가정의 지역건강보험료 납입규모와 소득 등을 기준으로 가정형편이 어려운 학생들을 선정해 학비를 지원하고 있다”며 “올해는 담임교사의 추천비율을 늘리는 등 수혜대상 확대와 함께 실제로 가정 형편이 어려운 학생을 찾아 지원하기위한 대책도 마련했다”고 말했다.
/장세풍 기자 spjang@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