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이 이번 학기에 ‘신한은행과 조흥은행의 통합전략’을 사례연구 과제로 선정했다. 강의 첫날인 2일엔 최영휘 신한지주 사장이 ‘신한금융지주의 통합전략’을 설명한 후 학생들과 토론을 벌인다.
신한금융지주는 2일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의 로자베스 모스 켄터(Rosabeth Moss Kanter) 교수가 ‘구조조정 및 조직 변화관리’과목의 사례연구로 신한은행과 조흥은행의 통합과정을 선정했으며 첫 수업에는 최 사장이 직접나서 강의키로 했다고 밝혔다.
이렇게 논의된 연구는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 교육과정의 사례연구 교재로 영구보존되며 향후에도 경영대학원의 교재로 활용된다.
캔터교수는 지난 2003년 신한금융그룹의 부서장급 이상이 모인 서라벌 서미트 행사에서 강연한 것이 신한금융과의 첫 인연이었다.
이후 캔터 교수는 연구원을 신한금융그룹에 파견해 한국 금융시장의 환경, 조흥은행 인수 이후 통합을 위한 신한지주의 각종 정책과 노력들, 원뱅크·뉴뱅크 전략의 채택 배경 등에 대해 조사 활동을 벌인 후 사례연구 교재를 발간, 배포하기도 했다.
캔터 교수는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 편집장을 역임하였으며 세계 5대 경영 석학으로 알려져 있다.
/박준규 기자 jkpark@naeil.com
신한금융지주는 2일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의 로자베스 모스 켄터(Rosabeth Moss Kanter) 교수가 ‘구조조정 및 조직 변화관리’과목의 사례연구로 신한은행과 조흥은행의 통합과정을 선정했으며 첫 수업에는 최 사장이 직접나서 강의키로 했다고 밝혔다.
이렇게 논의된 연구는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 교육과정의 사례연구 교재로 영구보존되며 향후에도 경영대학원의 교재로 활용된다.
캔터교수는 지난 2003년 신한금융그룹의 부서장급 이상이 모인 서라벌 서미트 행사에서 강연한 것이 신한금융과의 첫 인연이었다.
이후 캔터 교수는 연구원을 신한금융그룹에 파견해 한국 금융시장의 환경, 조흥은행 인수 이후 통합을 위한 신한지주의 각종 정책과 노력들, 원뱅크·뉴뱅크 전략의 채택 배경 등에 대해 조사 활동을 벌인 후 사례연구 교재를 발간, 배포하기도 했다.
캔터 교수는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 편집장을 역임하였으며 세계 5대 경영 석학으로 알려져 있다.
/박준규 기자 jkpark@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