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까지 국립대학이 현재 50개교에서 35개로 통·폐합된다. 또 국립대학은 의무적으로 입학정원을 2007년까지 10%, 2009년까지 15% 감축해야 한다. 이를 위해 교육부는 통·폐합 선도대학에 학교당 연간 최고 200억원씩 2~5년간 집중 지원한다. ▶관련기사 19면
또한 기업의 사립대학에 대한 기부금의 손금 인정비율을 현재 50%에서 100% 확대해 기업의 대학에 대한 투자를 유도하게 된다.
교육인적자원부는 25일 오전 청와대에서 노무현 대통령에게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주요업무계획을 보고했다.
이에 따르면 교육부는 대학교육의 혁신을 통해 산업수요와 연계된 다양한·특성화된 대학을 육성해 2010년까지 15개 내외의 세계수준 연구중심대학을 육성하기로 했다.
또한 교육부는 구조개혁을 가속화하기 위해 정보공개와 평가를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이에 따라 정보공시제를 도입, 국민들에게 교육여건 및 학교운영 사태가 공개해 수요자의 학교선택권을 강화하기로 했다. 또 해외전문가를 포함한 중립적인 고등교육평가원을 내년 중 설립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교육부는 고등교육 재원 확충에도 주력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별도의 법률 제정을 추진하고, 지역산업과 연계한 인력양성사업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투자확대를 유도해 나가기로 했다.
특히 교육부는 기업의 대학에 대한 투자도 유도하기로 했다. 교육부는 경제부처와의 협의를 통해 사립대학에 대한 기업 기부금의 손금 인정비율을 현재 50%에서 100%로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대기업의 신입사원 재교육 비용이 과다하게 지출되고 있는 점을 고려해 그 비용의 일부를 대학에 기부하고 기업의 수요에 맞는 맞춤형 인력을 양성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는 것이 교육부의 구상이다.
/장세풍 기자 spjang@naeil.com
또한 기업의 사립대학에 대한 기부금의 손금 인정비율을 현재 50%에서 100% 확대해 기업의 대학에 대한 투자를 유도하게 된다.
교육인적자원부는 25일 오전 청와대에서 노무현 대통령에게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주요업무계획을 보고했다.
이에 따르면 교육부는 대학교육의 혁신을 통해 산업수요와 연계된 다양한·특성화된 대학을 육성해 2010년까지 15개 내외의 세계수준 연구중심대학을 육성하기로 했다.
또한 교육부는 구조개혁을 가속화하기 위해 정보공개와 평가를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이에 따라 정보공시제를 도입, 국민들에게 교육여건 및 학교운영 사태가 공개해 수요자의 학교선택권을 강화하기로 했다. 또 해외전문가를 포함한 중립적인 고등교육평가원을 내년 중 설립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교육부는 고등교육 재원 확충에도 주력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별도의 법률 제정을 추진하고, 지역산업과 연계한 인력양성사업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투자확대를 유도해 나가기로 했다.
특히 교육부는 기업의 대학에 대한 투자도 유도하기로 했다. 교육부는 경제부처와의 협의를 통해 사립대학에 대한 기업 기부금의 손금 인정비율을 현재 50%에서 100%로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대기업의 신입사원 재교육 비용이 과다하게 지출되고 있는 점을 고려해 그 비용의 일부를 대학에 기부하고 기업의 수요에 맞는 맞춤형 인력을 양성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는 것이 교육부의 구상이다.
/장세풍 기자 spjang@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