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이재진 부천시의원
“부천시가 남부역광장 조성에 대한 밑그림도 없는 상태에서 개발업체와 협의해 대지교환을 추진했는지 이해할 수 없다.”
이재진 부천시의원(심곡본동)은 “부천의 중심인 남부역은 전체 시민을 위해 장기적 관점에서 개발계획을 수립해 재정비해야한다”며 시 행정에 문제를 제기했다.
남부역 앞 광장조성도 향후 교통량과 인구증가 등을 고려해 광장의 규모 등 기본원칙을 먼저 세워놓고 실행방안을 고민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시는 이러한 밑그림도 없이 민간업체가 제안한 대지교환방안에 대해 시의회에 승인해 달라고 요구했다가 거부당했다. 향후 토지이용가치 상승효과를 감안할 때 시유지가 현재 주차장이라는 이유로 절반크기의 상가부지와 맞교환하는 것은 특혜소지가 있다는 이유에서다.
결국, 전문가들과 시·도의원들은 지난달 열린 ‘남부역 광장조성 타당성’ 용역보고회의에서 백년대계 차원에서 역 앞 상가부지 전체를 도시계획시설로 결정해 수용하기로 결정했다.
이로 인해 민간업체는 시와 대지 맞교환을 조건으로 개발사업을 추진했다가 사업이 무산될 상황에 처했다. 지주들은 개발바람에 한껏 부풀어 상가임대사업도 제대로 하지 못했고, 대부분 세입자들은 명도소송으로 손해를 보고 쫓겨날 상황에 처했다.
이 의원은 “시는 업체의 제안이 들어와 행정적으로 검토만 했을 뿐이라고 말하면 끝일지 모르겠지만 신중하지 못한 행정 때문에 많은 시민들이 피해를 입게 돼 민원만 양산한 결과를 낳았다”고 지적했다.
부천 곽태영 기자 tykwak@naeil.com
“부천시가 남부역광장 조성에 대한 밑그림도 없는 상태에서 개발업체와 협의해 대지교환을 추진했는지 이해할 수 없다.”
이재진 부천시의원(심곡본동)은 “부천의 중심인 남부역은 전체 시민을 위해 장기적 관점에서 개발계획을 수립해 재정비해야한다”며 시 행정에 문제를 제기했다.
남부역 앞 광장조성도 향후 교통량과 인구증가 등을 고려해 광장의 규모 등 기본원칙을 먼저 세워놓고 실행방안을 고민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시는 이러한 밑그림도 없이 민간업체가 제안한 대지교환방안에 대해 시의회에 승인해 달라고 요구했다가 거부당했다. 향후 토지이용가치 상승효과를 감안할 때 시유지가 현재 주차장이라는 이유로 절반크기의 상가부지와 맞교환하는 것은 특혜소지가 있다는 이유에서다.
결국, 전문가들과 시·도의원들은 지난달 열린 ‘남부역 광장조성 타당성’ 용역보고회의에서 백년대계 차원에서 역 앞 상가부지 전체를 도시계획시설로 결정해 수용하기로 결정했다.
이로 인해 민간업체는 시와 대지 맞교환을 조건으로 개발사업을 추진했다가 사업이 무산될 상황에 처했다. 지주들은 개발바람에 한껏 부풀어 상가임대사업도 제대로 하지 못했고, 대부분 세입자들은 명도소송으로 손해를 보고 쫓겨날 상황에 처했다.
이 의원은 “시는 업체의 제안이 들어와 행정적으로 검토만 했을 뿐이라고 말하면 끝일지 모르겠지만 신중하지 못한 행정 때문에 많은 시민들이 피해를 입게 돼 민원만 양산한 결과를 낳았다”고 지적했다.
부천 곽태영 기자 tykwak@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