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과 외교전쟁’ ‘동북아 균형자론’ 완결판 나올 수도
한나라, “당 존망 관계되는 메시지 나온다” 소문에 긴장
노무현 대통령이 ‘베를린 선언’을준비하고 있나? 노 대통령이 연일 동북아신질서론인 이른바 ‘균형자론’을 펴고 있는 가운데, 이달 10일로 예정된 노 대통령의 베를린 방문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최근 동북아정세와 맞물려 상당히 중요한 메시지를 던질 가능성이 있지 않느냐는 것이다.
특히 한나라당은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의원마다 ‘노 대통령의 베를린 선언에 무엇이 들어갈지 알아봐 달라’고 부탁할 정도로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한나라당 관계자들이 민감해 하는 이유는 ‘당의 존망과 관계되는 메시지가 나올 수 있다’는 소문 때문이다. 한나라당 안팎에는 ‘노 대통령이 대북문제에 관한 독트린을 발표할 예정인데, 그것은 이후 대북정책에서 한나라당이 뭔가를 선점하는 것은 생각도 못할 정도로 획기적인 내용이 담길 것’이라는 얘기들이 나돌아 다니고 있다.
이와 관련, 전략통으로 통하는 한나라당 출신의 한 관계자는 “한미일 배타적 동맹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등의 민족주의 완결판이 나오지 않겠냐”고 전망하기도 했다.
그러나 청와대의 연설담당 관계자는 “(노 대통령으로부터) 아직 구체적으로 지시받은 게 없다”며 “이번 주말부터 본격적으로 초안작업에 들어갈 예정이지만, 대통령이 선택할 최종 메시지는 좀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노 대통령의 베를린 일정에는 조찬·오찬 연설 등만 있을 뿐 중요한 연설일정이 잡힌 것은 없다”며 “동포간담회 같은 자리에서 말씀을 하실 수도 있지만, 그것은 연설팀에서 사전 준비하는 게 아니라 대통령이 직접 현장에서 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어쨌건 현재의 동북아 정세와 맞물려 노 대통령 독일 방문이 더욱 부각되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전쟁책임에 대한 독일의 태도가 여러 가지로 일본의 그것과 비교되고 있는데다, ‘베를린 장벽’ 철거로 상징되는 냉전의 종언이 최근 노 대통령이 말하는 동북아 질서 변화 구상과도 맞물리고 있어서이다. ‘베를린 장벽 철거’와 전쟁 책임이 있는 쇼와(昭和) 일왕의 죽음이 같은해 이뤄졌다는 ‘우연’도 눈길을 끄는 부분이다.
그런 만큼 ‘일본과의 외교전쟁 선언’ ‘동북아 신질서 구상’ 등을 주장한 민감한 시기에 상징적인 곳을 방문한 노 대통령이 어떤 식으로든 이와 관련된 메시지를 꺼낼 것만은 확실해 보인다.
한편 김대중 전 대통령도 2000년 3월9일 북한 경제지원, 남북당국 간 대화, 특사교환 등을 내용으로 하는 ‘베를린 선언’을 발표한 후 6월15일 남북정상회담을 성사시킨 바 있다.
/남봉우 기자 bawoo@naeil.com
한나라, “당 존망 관계되는 메시지 나온다” 소문에 긴장
노무현 대통령이 ‘베를린 선언’을준비하고 있나? 노 대통령이 연일 동북아신질서론인 이른바 ‘균형자론’을 펴고 있는 가운데, 이달 10일로 예정된 노 대통령의 베를린 방문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최근 동북아정세와 맞물려 상당히 중요한 메시지를 던질 가능성이 있지 않느냐는 것이다.
특히 한나라당은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의원마다 ‘노 대통령의 베를린 선언에 무엇이 들어갈지 알아봐 달라’고 부탁할 정도로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한나라당 관계자들이 민감해 하는 이유는 ‘당의 존망과 관계되는 메시지가 나올 수 있다’는 소문 때문이다. 한나라당 안팎에는 ‘노 대통령이 대북문제에 관한 독트린을 발표할 예정인데, 그것은 이후 대북정책에서 한나라당이 뭔가를 선점하는 것은 생각도 못할 정도로 획기적인 내용이 담길 것’이라는 얘기들이 나돌아 다니고 있다.
이와 관련, 전략통으로 통하는 한나라당 출신의 한 관계자는 “한미일 배타적 동맹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등의 민족주의 완결판이 나오지 않겠냐”고 전망하기도 했다.
그러나 청와대의 연설담당 관계자는 “(노 대통령으로부터) 아직 구체적으로 지시받은 게 없다”며 “이번 주말부터 본격적으로 초안작업에 들어갈 예정이지만, 대통령이 선택할 최종 메시지는 좀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노 대통령의 베를린 일정에는 조찬·오찬 연설 등만 있을 뿐 중요한 연설일정이 잡힌 것은 없다”며 “동포간담회 같은 자리에서 말씀을 하실 수도 있지만, 그것은 연설팀에서 사전 준비하는 게 아니라 대통령이 직접 현장에서 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어쨌건 현재의 동북아 정세와 맞물려 노 대통령 독일 방문이 더욱 부각되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전쟁책임에 대한 독일의 태도가 여러 가지로 일본의 그것과 비교되고 있는데다, ‘베를린 장벽’ 철거로 상징되는 냉전의 종언이 최근 노 대통령이 말하는 동북아 질서 변화 구상과도 맞물리고 있어서이다. ‘베를린 장벽 철거’와 전쟁 책임이 있는 쇼와(昭和) 일왕의 죽음이 같은해 이뤄졌다는 ‘우연’도 눈길을 끄는 부분이다.
그런 만큼 ‘일본과의 외교전쟁 선언’ ‘동북아 신질서 구상’ 등을 주장한 민감한 시기에 상징적인 곳을 방문한 노 대통령이 어떤 식으로든 이와 관련된 메시지를 꺼낼 것만은 확실해 보인다.
한편 김대중 전 대통령도 2000년 3월9일 북한 경제지원, 남북당국 간 대화, 특사교환 등을 내용으로 하는 ‘베를린 선언’을 발표한 후 6월15일 남북정상회담을 성사시킨 바 있다.
/남봉우 기자 bawoo@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