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이동통신업계 새 강자 부상
올들어 3개월째 가입자 순증 1위 … LGT “무선재판매 조직 분리해야”
지역내일
2005-04-04
(수정 2005-04-04 오후 12:22:44)
“유선통신사업자인 KT가 SK텔레콤을 제치고 이동통신시장의 새 강자로 부상했다.”(?)
이는 적어도 올 1분기만큼은 맞는 말이다.
KT는 지난 3월 7만5214명의 가입자 순증(신규 및 번호이동 가입자에서 해지자를 뺀 수)을 기록, 7만2360명이 증가한 SK텔레콤을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 KT는 지난 1월과 2월에도 각각 6만8769명, 9만8814명이 순증, 업계 수위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KT의 총 가입자 규모도 247만3072명으로 증가했다.
KT는 자회사인 KTF의 가입자를 유치해주고 대신 매출액의 절반을 나눠 갖는 ‘PCS재판매’(무선재판매) 사업을 펼치고 있다.
KT가 가입자 순증에서 SKT를 제친 것은 지난해 7월 KTF의 번호이동이 시작된 이후 ‘사실상’ 처음이다. 지난해 9월 KT가 SKT를 앞섰으나 당시 SKT는 영업정지로 상태였다.
올해 들어 KT의 약진이 이어지자 경쟁사들은 신경을 곤두세우며 대책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SKT 관계자는 “KT의 무선재판매가 급증하는 것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며 “시장안정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는 상황에서 맞대응을 해야 할 지 고민”이라고 말했다. 특히 올해부터 번호이동이 시작된 LG텔레콤이 느끼는 위협의 강도는 훨씬 세다. 지난해 애써 이룩한 600만 가입자가 자칫 무너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실제 LGT는 지난 3개월 동안 가입자가 1만6958명 감소했다. 이에 LGT는 정보통신부와 통신위에 KT의 무선재판매를 비난하는 내용의 ‘정책건의문’을 제출하는 등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경쟁사들은 KT의 실적호전은 과도한 단말기 보조금 지급, 무선재판매를 할 수 없는 사내영업부서 동원 등 불법적인 마케팅 때문이라며 비난하고 있다.
KT는 지난 2월말 통신위로부터 단말기 불법보조금을 지급으로 인해 35억원의 과징금을 받기도 했다. LGT는 나아가 무선재판매 사업의 취소나 조직분리를 주장하고 있다.
이미 자회사를 통해 이통사업을 하고 있는데다, 유선시장의 시장지배적 사업자인 KT가 무선시장에서도 지배력을 강화할 경우 통신시장의 불균형을 초래한다는 것. LGT 관계자는 “KT의 무선재판매를 이대로 방치하는 것은 LGT의 경쟁력을 저하시켜 이통시장의 불균형을 촉진하게 된다”며 “통신시장의 발전을 위해서도 KT의 무선재판매사업을 취소하거나 별도법인으로 분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KT는 순증가입자가 증가한 것은 고객 해지율이 낮기 때문이며 불법 마케팅과는 무관하다고 억울해 하고 있다.
실제 대리점이나 판매점이 아닌 인적판매를 중심으로 하고 있는 KT의 해지자 비율은 타사에 비해 상당히 낮은 편이다.
KT 관계자는 “순증이 많은 것은 고객충성도는 높아 해지율이 낮기때문”이라며 “순증고객 증가를 기준으로 시장주도·시장혼탁을 말하는 것은 억지”라고 말했다.
한편 KT는 지난해 무선재판매를 통해 1조1253억원의 매출을 기록했으며, 올해는 재판매에서 31만명의 순증가입자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
/김병국 기자 bgkim@naeil.com
이는 적어도 올 1분기만큼은 맞는 말이다.
KT는 지난 3월 7만5214명의 가입자 순증(신규 및 번호이동 가입자에서 해지자를 뺀 수)을 기록, 7만2360명이 증가한 SK텔레콤을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 KT는 지난 1월과 2월에도 각각 6만8769명, 9만8814명이 순증, 업계 수위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KT의 총 가입자 규모도 247만3072명으로 증가했다.
KT는 자회사인 KTF의 가입자를 유치해주고 대신 매출액의 절반을 나눠 갖는 ‘PCS재판매’(무선재판매) 사업을 펼치고 있다.
KT가 가입자 순증에서 SKT를 제친 것은 지난해 7월 KTF의 번호이동이 시작된 이후 ‘사실상’ 처음이다. 지난해 9월 KT가 SKT를 앞섰으나 당시 SKT는 영업정지로 상태였다.
올해 들어 KT의 약진이 이어지자 경쟁사들은 신경을 곤두세우며 대책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SKT 관계자는 “KT의 무선재판매가 급증하는 것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며 “시장안정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는 상황에서 맞대응을 해야 할 지 고민”이라고 말했다. 특히 올해부터 번호이동이 시작된 LG텔레콤이 느끼는 위협의 강도는 훨씬 세다. 지난해 애써 이룩한 600만 가입자가 자칫 무너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실제 LGT는 지난 3개월 동안 가입자가 1만6958명 감소했다. 이에 LGT는 정보통신부와 통신위에 KT의 무선재판매를 비난하는 내용의 ‘정책건의문’을 제출하는 등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경쟁사들은 KT의 실적호전은 과도한 단말기 보조금 지급, 무선재판매를 할 수 없는 사내영업부서 동원 등 불법적인 마케팅 때문이라며 비난하고 있다.
KT는 지난 2월말 통신위로부터 단말기 불법보조금을 지급으로 인해 35억원의 과징금을 받기도 했다. LGT는 나아가 무선재판매 사업의 취소나 조직분리를 주장하고 있다.
이미 자회사를 통해 이통사업을 하고 있는데다, 유선시장의 시장지배적 사업자인 KT가 무선시장에서도 지배력을 강화할 경우 통신시장의 불균형을 초래한다는 것. LGT 관계자는 “KT의 무선재판매를 이대로 방치하는 것은 LGT의 경쟁력을 저하시켜 이통시장의 불균형을 촉진하게 된다”며 “통신시장의 발전을 위해서도 KT의 무선재판매사업을 취소하거나 별도법인으로 분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KT는 순증가입자가 증가한 것은 고객 해지율이 낮기 때문이며 불법 마케팅과는 무관하다고 억울해 하고 있다.
실제 대리점이나 판매점이 아닌 인적판매를 중심으로 하고 있는 KT의 해지자 비율은 타사에 비해 상당히 낮은 편이다.
KT 관계자는 “순증이 많은 것은 고객충성도는 높아 해지율이 낮기때문”이라며 “순증고객 증가를 기준으로 시장주도·시장혼탁을 말하는 것은 억지”라고 말했다.
한편 KT는 지난해 무선재판매를 통해 1조1253억원의 매출을 기록했으며, 올해는 재판매에서 31만명의 순증가입자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
/김병국 기자 bgkim@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