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및 정보 기술자들은 전화선을 통해 천식환자의 건강상태를 진찰함으로써, 가정에서 일
어날 수 있는 심각한 천식발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천식환자 자가관리에 전화선
및 이동전화를 사용하는 방법을 시험하고 있다.
도쿄의 쇼와대학병원 내과의사인 고쿠부 후미오는 하루에 3번씩 천식환자의 호흡속도를 측
정한 후 그 자료를 전화로 병원에 송신해 이를 토대로 환자의 상태를 평가하도록 해주는 장
비를 사용하고 있다.
고쿠부는 액정 크리스털 화면표시 장치가 달려 있고 크기가 손바닥 만한 소형게임기 모양의
이 미제 장비가 환자의 호흡 횟수를 숫자로 나타내주고 환자가 위험한 상태일 경우에도 이
를 즉각 알려준다고 밝혔다. 그는 환자의 상태가 악화되면 숫자가 내려가고 호흡 속도를 표
시하는 부분이 좁아진다고 덧붙였다.
이 장비는 최고 500차례까지 환자의 상태에 대한 평가를 기록한 다음 그 자료를 전화선을
통해 민간 회사들이 관리하는 시스템에 송신하게 되며, 병원 간호사들은 관리 회사가 보
내준 자료를 분석한 후 환자에게 전화를 걸어 투약을 하거나 의사의 진찰을 받도록 한다.
고쿠부에 따르면, 의사와 환자들이 건강상태를 정확하게 관찰하고 증상 악화 조짐을 신속하
게 잡아내며 환자들이 중태에 빠지기 전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이 시스템의 사용
으로 천식환자들의 입원 비율이 80%나 줄었다고 밝혔다.
한편 국립 도쿄미술음악대학의 의료서비스센터 교수인 수코 마쓰노부와 NTT-ME사는 천
식 환자들이 i-모드 인터넷 연결 이동전화기를 사용할 있도록 해주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 시스템은 환자가 웹사이트에 연결된 어떤 이동전화에 접속해 호흡횟수에 관한 숫자자료
를 비롯해 숨이 가쁜지, 또는 기침을 하는지 등의 정보를 입력하면 환자의 증상을 평가해 "
즉각 의사의 진찰을 받으십시오"와 같은 메시지를 보내준다.
천식환자는 물론 당뇨병환자, 고혈압환자 등을 대상으로 곧 시험운영에 들어갈이 시스템은
가입자들에게 관련 질병에 관한 최신 정보도 제공할 예정이다.
가입자들이 이동전화기의 소형 모니터에 맞도록 특별히 포맷된 수백 곳의 인터넷 홈페이지
에 접속할 수 있는 i-모드 서비스의 일본 내 가입자 수는 1700만명에 이른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