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출방법·대상 9회와 유사 … 40명중 28명 합격
진흥원, “문제 유형 적어 강좌와 비슷할 수 있어”
지난해 11월 치른 제9회 정책분석평가사 1급 국가공인 자격시험문제가 사전에 유출돼 충격을 주고 있는 가운데 제8회 시험문제도 유출됐다는 의혹이 일고 있다.
제9회 1급 자격증 시험에 응시한 한 수험생은 “수험생들 사이에서는 지난 8회 시험문제도 사전유출 됐다는 이야기가 파다하다”고 밝혔다. 이 수험생은 “당시에도 별도의 자격시험 대비 강좌가 있었다”며 “이들에게 시험문제와 답안지가 전달됐다”고 말했다.
9회 시험 강좌를 수강했던 한 인사는 “당시 이메일로 예상시험문제와 답안지가 전달됐다”며 “예상시험문제는 실제 출제한 시험문제와 거의 유사했다”고 밝혔다.
내일신문은 11일 이들이 주장하는 ‘유출된 시험문제’로 보이는 자료를 입수했다.<사진 참조=""> 이 자료는 A4용지 크기의 29장 분량으로 구체적인 문제와 정답이 매우 상세하게 기술돼 있다.
예를들면 ‘우리나라에서 실시되고 있는 조사는 때때로 예측과 실제간에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예를 들면 지난 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여당과 야당간의 국회의원 수나 후보자들의 득표율에서 많은 오차를 발생시켰다. 이러한 오차의 발생원인을 찾아내고 이를 치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라.’ ‘주민들의 교육수준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가.구체적으로 연구문제를 정의하고 독립·종속·제3의변수를 제시하라. 나.교육수준과 소득수준을 조직화하고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구성하라. 다.본 연구에서 표본추출방법의 과정과 절차를 설명하라.’ 등이다.
이는 최근 경찰청 특수수사과에서 밝힌 유출된 제9회 시험문제지 형식과 매우 유사하다.
제8회 시험문제 유출을 주장하는 이들은 “유출 방법이나 대상 등이 제9회 시험 때와 동일하다”고 주장했다.
이들의 주장에 따르면 시험문제를 선정하는 선제위원 중 일부와 원장인 박병식 교수가 직접 강의를 했다. 수강생들은 수십만원의 수강료를 냈다. 이들은 2차 주관시험이 이뤄지기 직전에 이메일을 통해 예상문제를 전달 받았다는 것.
실제 이러한 방법은 이미 경찰에서 밝힌 제9회 시험문제 유출 과정과 거의 똑같다.
이들의 주장이 사실이라면 경찰이 밝힌 9회 시험문제 유출에 이어 8회 시험 때도 시험문제가 조직적으로 유출된 것으로 수사당국의 철저한 수사가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들은 또 수강생 40여명 중 28명이 합격했으며 특정 대학 출신은 1명만 탈락했다고 전했다.
이러한 주장에 대해 시험을 주관하는 한국정책능력진흥원 박병식(동국대 교수) 원장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강하게 부인했다.
박 원장은 “평가사 시험 역사가 짧고 전문가가 부족해 문제 유형이 적은 수준”이라며 “기출문제를 보면 비슷한 경우가 있다”고 말했다. 박 원장은 또 “2차 주관식 시험은 응용문제를 내기 때문에 수강 내용과 비슷한 경우도 있다”고 해명했다.
강좌에 대해서는 “수강생에게만 특혜 주려는 의도는 전혀 없다”며 “평가사 분야의 전문가 등 인력이 부족해 어쩔 수 없는 현상”이라고 해명했다.
평가사 분야의 전문가들이 모여 있는 진흥원에서 공부를 제대로 하고 싶은 수강생들을 나몰라라 할 수 없었다는 것.
하지만 선제위원이나 원장이 강의를 맡아 일부 오해의 소지가 있었다는 점은 인정했다.
한편 정책분석평가사는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민간부문의 정책이나 사업을 분석 평가하는 전문인력을 양성하겠다며 민간에서 만든 것으로 2003년 국가공인 자격증으로 인정받았다.
따라서 정책분석평가사는 전문성과 도덕성, 균형감각이 절대로 요구되는 직종이다. 제8회 정책분석평가사 1급 자격시험은 지난해 5월 1차 시험이, 2차 주관식 시험은 6월에 치러졌다.
현재 민간자격증은 400∼500개에 이른다. 이중 국가가 공인한 민간자격증은 45개 정도이다.
/김형수 기자 hskim@naeil.com사진>
진흥원, “문제 유형 적어 강좌와 비슷할 수 있어”
지난해 11월 치른 제9회 정책분석평가사 1급 국가공인 자격시험문제가 사전에 유출돼 충격을 주고 있는 가운데 제8회 시험문제도 유출됐다는 의혹이 일고 있다.
제9회 1급 자격증 시험에 응시한 한 수험생은 “수험생들 사이에서는 지난 8회 시험문제도 사전유출 됐다는 이야기가 파다하다”고 밝혔다. 이 수험생은 “당시에도 별도의 자격시험 대비 강좌가 있었다”며 “이들에게 시험문제와 답안지가 전달됐다”고 말했다.
9회 시험 강좌를 수강했던 한 인사는 “당시 이메일로 예상시험문제와 답안지가 전달됐다”며 “예상시험문제는 실제 출제한 시험문제와 거의 유사했다”고 밝혔다.
내일신문은 11일 이들이 주장하는 ‘유출된 시험문제’로 보이는 자료를 입수했다.<사진 참조=""> 이 자료는 A4용지 크기의 29장 분량으로 구체적인 문제와 정답이 매우 상세하게 기술돼 있다.
예를들면 ‘우리나라에서 실시되고 있는 조사는 때때로 예측과 실제간에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예를 들면 지난 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여당과 야당간의 국회의원 수나 후보자들의 득표율에서 많은 오차를 발생시켰다. 이러한 오차의 발생원인을 찾아내고 이를 치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라.’ ‘주민들의 교육수준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가.구체적으로 연구문제를 정의하고 독립·종속·제3의변수를 제시하라. 나.교육수준과 소득수준을 조직화하고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구성하라. 다.본 연구에서 표본추출방법의 과정과 절차를 설명하라.’ 등이다.
이는 최근 경찰청 특수수사과에서 밝힌 유출된 제9회 시험문제지 형식과 매우 유사하다.
제8회 시험문제 유출을 주장하는 이들은 “유출 방법이나 대상 등이 제9회 시험 때와 동일하다”고 주장했다.
이들의 주장에 따르면 시험문제를 선정하는 선제위원 중 일부와 원장인 박병식 교수가 직접 강의를 했다. 수강생들은 수십만원의 수강료를 냈다. 이들은 2차 주관시험이 이뤄지기 직전에 이메일을 통해 예상문제를 전달 받았다는 것.
실제 이러한 방법은 이미 경찰에서 밝힌 제9회 시험문제 유출 과정과 거의 똑같다.
이들의 주장이 사실이라면 경찰이 밝힌 9회 시험문제 유출에 이어 8회 시험 때도 시험문제가 조직적으로 유출된 것으로 수사당국의 철저한 수사가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들은 또 수강생 40여명 중 28명이 합격했으며 특정 대학 출신은 1명만 탈락했다고 전했다.
이러한 주장에 대해 시험을 주관하는 한국정책능력진흥원 박병식(동국대 교수) 원장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강하게 부인했다.
박 원장은 “평가사 시험 역사가 짧고 전문가가 부족해 문제 유형이 적은 수준”이라며 “기출문제를 보면 비슷한 경우가 있다”고 말했다. 박 원장은 또 “2차 주관식 시험은 응용문제를 내기 때문에 수강 내용과 비슷한 경우도 있다”고 해명했다.
강좌에 대해서는 “수강생에게만 특혜 주려는 의도는 전혀 없다”며 “평가사 분야의 전문가 등 인력이 부족해 어쩔 수 없는 현상”이라고 해명했다.
평가사 분야의 전문가들이 모여 있는 진흥원에서 공부를 제대로 하고 싶은 수강생들을 나몰라라 할 수 없었다는 것.
하지만 선제위원이나 원장이 강의를 맡아 일부 오해의 소지가 있었다는 점은 인정했다.
한편 정책분석평가사는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민간부문의 정책이나 사업을 분석 평가하는 전문인력을 양성하겠다며 민간에서 만든 것으로 2003년 국가공인 자격증으로 인정받았다.
따라서 정책분석평가사는 전문성과 도덕성, 균형감각이 절대로 요구되는 직종이다. 제8회 정책분석평가사 1급 자격시험은 지난해 5월 1차 시험이, 2차 주관식 시험은 6월에 치러졌다.
현재 민간자격증은 400∼500개에 이른다. 이중 국가가 공인한 민간자격증은 45개 정도이다.
/김형수 기자 hskim@naeil.com사진>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