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태열 의원이 기자들을 상대로 뒤늦게 ‘대정부 질문서’를 돌리고 있다.
지난 11월 15일 경제분야 대정부 질문을 할 예정이었으나 ‘김용갑 파문’으로 하루 늦은 11월 16일
질문을 했다. ‘새로운 패러다임에 의한 21세기 국가발전모델로 난국을 돌파하자’란 주제로 우리나
라 산업구조의 전면적 개편을 주장했다.
하지만 언론에서 아무도 관심을 갖지 않아 다음날 신문에 한 줄도 실리지 않았다.
허 의원은 “기성 언론이 여야의 정쟁 보도를 ‘선호’하는 것은 알았지만, 이처럼 중대한 문제를 외
면하는 것은 이해가 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래서 허 의원은 기자들을 만나 왜 이런 ‘중요한’ 내용이 기사화 되지 않았는지 조사에 나섰다.
이에 대해 모 일간지 기자는 “경제기사의 경우 ‘공적자금’이나 ‘국가부채’ 문제 등과 같이 미
리 주제를 정해 놓고 그 항목에 해당되는 발언을 한 의원들을 일부 인용하는 것이 관례”라며 “허
의원의 발언은 이에 해당되지 않기 때문에 기사화 되지 않은 것”이라고 말했다.
경제적 내용을 잘 모르는 정치부 기자들이 경제분야를 보도하기 때문에 벌어지는 관행이라는 것이
다.
이에 허 의원은 정치부 기자들을 상대로 대정부 질문서의 내용을 직접 일일이 설명하고 나섰다. 허
의원의 주장은 한 마디로 ‘네덜란드식 모델을 벤치마킹해 우리나라의 발전모델을 만들자’는 것이
다.
“좁은 국토에 높은 인구밀도가 높고 빈약한 부존자원 등의 취약점과 미·일·중·러 등 주변 경제
대국을 이웃으로 하고 있는 지리적 강점을 최대한 살릴수 있는 산업으로 구조조정을 해야 한다”며
“그것이 바로 자원절약형이고 환경친화적인 물류산업”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허 의원은 “한국 농업을 21세기 국가의 핵심산업으로 육성해야 한다”며 △대규모 전업농 체
제 구축 △젊고 유능한 인재에게 농업을 맡기기 위한 국립농업전문학교를 대학으로 격상시킬 것 △
두 세 개 면을 통합해 중심지역에 도시를 건설하고 농공단지를 조성하고 △농협을 품목별 전문조합
체제로 전환, 신용사업은 독립시킬 것 등 네 가지 정책대안을 제시했다.
허 의원은 “단기적 위기극복책도 필요하지만 나의 제안을 계기로 우리 나라의 발전모델에 대한 활
발한 토론이 벌어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허 의원의 노력에 언론계의 메아리가 기대되고 있다.장병호 기자 bhjang@naeil.com
지난 11월 15일 경제분야 대정부 질문을 할 예정이었으나 ‘김용갑 파문’으로 하루 늦은 11월 16일
질문을 했다. ‘새로운 패러다임에 의한 21세기 국가발전모델로 난국을 돌파하자’란 주제로 우리나
라 산업구조의 전면적 개편을 주장했다.
하지만 언론에서 아무도 관심을 갖지 않아 다음날 신문에 한 줄도 실리지 않았다.
허 의원은 “기성 언론이 여야의 정쟁 보도를 ‘선호’하는 것은 알았지만, 이처럼 중대한 문제를 외
면하는 것은 이해가 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래서 허 의원은 기자들을 만나 왜 이런 ‘중요한’ 내용이 기사화 되지 않았는지 조사에 나섰다.
이에 대해 모 일간지 기자는 “경제기사의 경우 ‘공적자금’이나 ‘국가부채’ 문제 등과 같이 미
리 주제를 정해 놓고 그 항목에 해당되는 발언을 한 의원들을 일부 인용하는 것이 관례”라며 “허
의원의 발언은 이에 해당되지 않기 때문에 기사화 되지 않은 것”이라고 말했다.
경제적 내용을 잘 모르는 정치부 기자들이 경제분야를 보도하기 때문에 벌어지는 관행이라는 것이
다.
이에 허 의원은 정치부 기자들을 상대로 대정부 질문서의 내용을 직접 일일이 설명하고 나섰다. 허
의원의 주장은 한 마디로 ‘네덜란드식 모델을 벤치마킹해 우리나라의 발전모델을 만들자’는 것이
다.
“좁은 국토에 높은 인구밀도가 높고 빈약한 부존자원 등의 취약점과 미·일·중·러 등 주변 경제
대국을 이웃으로 하고 있는 지리적 강점을 최대한 살릴수 있는 산업으로 구조조정을 해야 한다”며
“그것이 바로 자원절약형이고 환경친화적인 물류산업”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허 의원은 “한국 농업을 21세기 국가의 핵심산업으로 육성해야 한다”며 △대규모 전업농 체
제 구축 △젊고 유능한 인재에게 농업을 맡기기 위한 국립농업전문학교를 대학으로 격상시킬 것 △
두 세 개 면을 통합해 중심지역에 도시를 건설하고 농공단지를 조성하고 △농협을 품목별 전문조합
체제로 전환, 신용사업은 독립시킬 것 등 네 가지 정책대안을 제시했다.
허 의원은 “단기적 위기극복책도 필요하지만 나의 제안을 계기로 우리 나라의 발전모델에 대한 활
발한 토론이 벌어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허 의원의 노력에 언론계의 메아리가 기대되고 있다.장병호 기자 bhjang@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