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익산의 ㄱ중학교 등이 지난해 10월 여중생 집단성폭행 사건을 파악하고서도 은폐했다는 보도(본보 4월20일자 21면 보도)와 관련, 해당학교 교장 2명이 직위해제 됐다.
전북도교육청은 25일 불량서클 회원들이 여중생을 집단 성폭행 사건 은폐의혹과 관련해 익산 ㄱ중 교장과 ㄴ중 교장을 직위해제하고, 사립 ㄷ중학교 교장에 대해서는 재단측에 중징계를 요청했다. 도교육청은 또 소속 여중생이 집단 성폭행한 사실을 알고도 이를 상부에 보고하지 않은 ㄱ학교 학생부장도 중징계하기로 했다.
도교육청은 “해당 학교 관계자들이 지난해 10월 집단 성폭행 사실을 확인하고서도 적법절차를 따르지 않고 가해학생을 타교로 전학시키는 선에서 마무리하려 했다는 점을 확인했다”며 “학생들의 장래와 사회적 파장을 우려했다고 하지만 소극적으로 대처하고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책임을 묻지 않을 수 없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도교육청은 학교폭력 근절을 위한 학교장 연수, 부적응 학생 전담 상담을 위한 ‘Edu-Doctor’ 배치, 성교육 시범학교 확대 운영 등을 펼치기로 했다.
한편 이사건은 익산지역 6개 중학교 3학년들로 구성된 불량서클 회원 8명은 2004년 3∼8월 익산시 모현동 모 아파트에서 ㄹ양을 4차례에 걸쳐 번갈아 성폭행하면서 시작됐다.
경찰 조사결과 이들은 지난 2003년 7월 ‘끝없는 질주’라는 폭력서클을 만들어 활동하면서 서클 동료의 여자친구인 ㄹ양을 성폭행했다. ㄹ양은 이 충격으로 지난해 9월쯤 가출해 1주일만에 돌아오는 등 심각한 후유증을 앓았던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가해·피해 학생이 다니던 중학교는 경찰이 수사에 착수한 올 3월보다 훨씬 전인 지난해 10월 이런 사실을 알고도 은폐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 학교는 사건이 알려지자 가해 학생들에 대해 1주일 봉사활동을 하게 한 후 다른 학교 전학시키고 피해학생도 ‘학교환경개선’ 등 이유를 붙여 전학시키는 등 사건을 무마했다. 학교측은 집단 성폭행 사실을 경찰은 물론 피해학생의 부모에게도 알리지 않았다.
이런 사실이 밝혀지자 익산지역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집단성폭행 문제 해결을 위한 대책위’는 학교측의 은폐의혹 규명과 책임자 처벌 등을 요구했었다.
/익산 이명환 기자 mhan@naeil.com
전북도교육청은 25일 불량서클 회원들이 여중생을 집단 성폭행 사건 은폐의혹과 관련해 익산 ㄱ중 교장과 ㄴ중 교장을 직위해제하고, 사립 ㄷ중학교 교장에 대해서는 재단측에 중징계를 요청했다. 도교육청은 또 소속 여중생이 집단 성폭행한 사실을 알고도 이를 상부에 보고하지 않은 ㄱ학교 학생부장도 중징계하기로 했다.
도교육청은 “해당 학교 관계자들이 지난해 10월 집단 성폭행 사실을 확인하고서도 적법절차를 따르지 않고 가해학생을 타교로 전학시키는 선에서 마무리하려 했다는 점을 확인했다”며 “학생들의 장래와 사회적 파장을 우려했다고 하지만 소극적으로 대처하고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책임을 묻지 않을 수 없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도교육청은 학교폭력 근절을 위한 학교장 연수, 부적응 학생 전담 상담을 위한 ‘Edu-Doctor’ 배치, 성교육 시범학교 확대 운영 등을 펼치기로 했다.
한편 이사건은 익산지역 6개 중학교 3학년들로 구성된 불량서클 회원 8명은 2004년 3∼8월 익산시 모현동 모 아파트에서 ㄹ양을 4차례에 걸쳐 번갈아 성폭행하면서 시작됐다.
경찰 조사결과 이들은 지난 2003년 7월 ‘끝없는 질주’라는 폭력서클을 만들어 활동하면서 서클 동료의 여자친구인 ㄹ양을 성폭행했다. ㄹ양은 이 충격으로 지난해 9월쯤 가출해 1주일만에 돌아오는 등 심각한 후유증을 앓았던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가해·피해 학생이 다니던 중학교는 경찰이 수사에 착수한 올 3월보다 훨씬 전인 지난해 10월 이런 사실을 알고도 은폐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 학교는 사건이 알려지자 가해 학생들에 대해 1주일 봉사활동을 하게 한 후 다른 학교 전학시키고 피해학생도 ‘학교환경개선’ 등 이유를 붙여 전학시키는 등 사건을 무마했다. 학교측은 집단 성폭행 사실을 경찰은 물론 피해학생의 부모에게도 알리지 않았다.
이런 사실이 밝혀지자 익산지역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집단성폭행 문제 해결을 위한 대책위’는 학교측의 은폐의혹 규명과 책임자 처벌 등을 요구했었다.
/익산 이명환 기자 mhan@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