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에 이은 소비 양극화가 내수회복에 발목을 잡고 있다. 호텔이나 고급 일식당은 호황을 누리는 반면 여관이나 분식점은 여전히 침체에서 허덕이고 있다. 부유층 중심의 제한된 소비로는 추세적인 경기회복을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9일 재정경제부와 통계청에 따르면 대표적인 내수지표인 도소매업이 지난 3월 9개월만에 증가세로 돌아서 내수회복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지만 저소득층 소비는 여전히 살아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어 본격적인 내수회복까지는 아직도 상당 시일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발표한 불변액 기준 서비스업활동지수를 보면 부유층 소비가 많은 호텔의 경우 지난 3월 122.6(2000년=100)으로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21.4%가 늘었지만 여관업과 휴양콘도는 94.0, 88.4에 머물렀고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서도 여관은 7.2%가 줄고 콘도는 3.5% 증가하는데 그쳤다.
일식·중식·한식 등 일반 음식점업은 120.8로 2.6%가 늘었지만 햄버거, 피자, 분식 등의 기타음식점은 106.2로 5.2%가 감소했다.
또 미용·욕탕 및 유사서비스업은 106.4로 1.9% 증가에 그쳤고 세탁은 132.9로 0.6%, 예식장업은 106.9로 2.5% 증가에 머물렀다.
3월 전체 서비스업 생산은 1.6% 증가해 제조업 4.6%에 크게 뒤졌으며 분기별로는 0.7% 증가(제조업 3.5%)에 그쳤다.
재경부 관계자는 "본격적인 내수회복을 위해서는 소비계층의 확산이 필요하지만 가계부채조정이 아직 마무리가 되지 않은데다 국지적인 부동산가격 급등으로 서민들이 내집마련을 위해 더욱 허리띠를 졸라매는 양상이어서 전반적인 소비확산이 더딘 상태"라고 말했다.
/고병수 byng8@naeil.com
9일 재정경제부와 통계청에 따르면 대표적인 내수지표인 도소매업이 지난 3월 9개월만에 증가세로 돌아서 내수회복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지만 저소득층 소비는 여전히 살아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어 본격적인 내수회복까지는 아직도 상당 시일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발표한 불변액 기준 서비스업활동지수를 보면 부유층 소비가 많은 호텔의 경우 지난 3월 122.6(2000년=100)으로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21.4%가 늘었지만 여관업과 휴양콘도는 94.0, 88.4에 머물렀고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서도 여관은 7.2%가 줄고 콘도는 3.5% 증가하는데 그쳤다.
일식·중식·한식 등 일반 음식점업은 120.8로 2.6%가 늘었지만 햄버거, 피자, 분식 등의 기타음식점은 106.2로 5.2%가 감소했다.
또 미용·욕탕 및 유사서비스업은 106.4로 1.9% 증가에 그쳤고 세탁은 132.9로 0.6%, 예식장업은 106.9로 2.5% 증가에 머물렀다.
3월 전체 서비스업 생산은 1.6% 증가해 제조업 4.6%에 크게 뒤졌으며 분기별로는 0.7% 증가(제조업 3.5%)에 그쳤다.
재경부 관계자는 "본격적인 내수회복을 위해서는 소비계층의 확산이 필요하지만 가계부채조정이 아직 마무리가 되지 않은데다 국지적인 부동산가격 급등으로 서민들이 내집마련을 위해 더욱 허리띠를 졸라매는 양상이어서 전반적인 소비확산이 더딘 상태"라고 말했다.
/고병수 byng8@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