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의혹’이 일파만파 확대되고 있다. 유전의혹을 수사중인 서울중앙지검 특수3부는 9일 “지난해 8월 31일 왕영용(49·구속) 철도공사 사업개발본부장이 청와대를 직접 방문해 사업보고를 했다는 사실을 확인해 그 경위를 조사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21면
검찰에 따르면 왕 본부장은 이날 청와대를 방문해 청와대 산업자원정책비서관 소속 행정관인 김모 국장에게 유전사업 관련 보고를 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왕 본부장의 청와대 방문사실은 압수자료와 청와대 출입조회 등을 통해 확인했다”면서 “사실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김 모 국장을 참고인 자격으로 오늘(9일) 오전 10시에 검찰로 불렀다”고 밝혔다.
이 같은 사실은 그동안 청와대가 각종 논평을 통해 언론보도가 나기 전까지 유전의혹에 대해 전혀 몰랐다고 주장해 온 것과는 전혀 다른 내용이어서 파문이 걷잡을 수 없을 정도로 커질 전망이다. 자칫하면 청와대 차원의 ‘은폐의혹’으로 확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청와대는 유전의혹이 불거진 뒤 거듭 언론보도를 통해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지난해 11월 9일 국정원에서 청와대 국정상황실과 경제부처 정관들에게 보내는 정보보고를 통해 유전사업이 문제가 있음을 지적했다는 사실이 드러난 바 있다. 그러나 국정상황실은 사흘간의 자체조사를 거친 뒤 아무런 조치 없이 종결 처리했다. 또한 천호선 현국정상황실장은 지난 3월 31일 서모 행정관으로부터 ‘유전사업에 대해 지난해 11월 국정원 보고를 받아 조사한 적이 있다’는 보고까지 받았으나 이를 무시하고 있다가 지난달 18일 검찰에서 확인하자 그때서야 민정수석실로 보고한 적이 있다. 당시 이에 대해 국정상황실의 보고누락 문제가 심각하고 고의적인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높았지만 청와대는 별 문제 없는 것으로 최종 결론지은 바 있다. 그러나 이번에 또다시 왕 본부장이 지난해 8월 청와대에 공식 보고까지 한 것으로 드러나 파문이 급속도로 확대될 전망이다.
또한 검찰은 9일 구속된 전대월 하이앤드 대표가 열린우리당 이광재 의원측에게 8000만원을 전달했다는 진술과 녹취록을 확보하고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또한 검찰은 돈을 건네받은 것으로 전해진 이 의원측 평창연락사무소장 지 모(50)씨를 어젯밤 긴급체포해 사실여부를 확인하고 있다.
/정재철 jcjung@naeil.com
검찰에 따르면 왕 본부장은 이날 청와대를 방문해 청와대 산업자원정책비서관 소속 행정관인 김모 국장에게 유전사업 관련 보고를 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왕 본부장의 청와대 방문사실은 압수자료와 청와대 출입조회 등을 통해 확인했다”면서 “사실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김 모 국장을 참고인 자격으로 오늘(9일) 오전 10시에 검찰로 불렀다”고 밝혔다.
이 같은 사실은 그동안 청와대가 각종 논평을 통해 언론보도가 나기 전까지 유전의혹에 대해 전혀 몰랐다고 주장해 온 것과는 전혀 다른 내용이어서 파문이 걷잡을 수 없을 정도로 커질 전망이다. 자칫하면 청와대 차원의 ‘은폐의혹’으로 확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청와대는 유전의혹이 불거진 뒤 거듭 언론보도를 통해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지난해 11월 9일 국정원에서 청와대 국정상황실과 경제부처 정관들에게 보내는 정보보고를 통해 유전사업이 문제가 있음을 지적했다는 사실이 드러난 바 있다. 그러나 국정상황실은 사흘간의 자체조사를 거친 뒤 아무런 조치 없이 종결 처리했다. 또한 천호선 현국정상황실장은 지난 3월 31일 서모 행정관으로부터 ‘유전사업에 대해 지난해 11월 국정원 보고를 받아 조사한 적이 있다’는 보고까지 받았으나 이를 무시하고 있다가 지난달 18일 검찰에서 확인하자 그때서야 민정수석실로 보고한 적이 있다. 당시 이에 대해 국정상황실의 보고누락 문제가 심각하고 고의적인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높았지만 청와대는 별 문제 없는 것으로 최종 결론지은 바 있다. 그러나 이번에 또다시 왕 본부장이 지난해 8월 청와대에 공식 보고까지 한 것으로 드러나 파문이 급속도로 확대될 전망이다.
또한 검찰은 9일 구속된 전대월 하이앤드 대표가 열린우리당 이광재 의원측에게 8000만원을 전달했다는 진술과 녹취록을 확보하고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또한 검찰은 돈을 건네받은 것으로 전해진 이 의원측 평창연락사무소장 지 모(50)씨를 어젯밤 긴급체포해 사실여부를 확인하고 있다.
/정재철 jcjung@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