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 생중계가 되는 동안 차분히 사건의 실체에 접근하려던 노력을 보이던 여야 의원들이, TV 중계가
끝나자 ‘점잖은’ 질문이 순식간에 노골적인 정치공방으로 변했다.
먼저 한나라당 엄호성 의원이 박지원 전 문화관광부장관의 학력이 조작됐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광
주교육대학에서 단국대로 편입학을 했음에도 조선대에서 편입학 한 것으로 허위로 돼 있다는 것이
다.
이에 대해 박 전 장관은 당시 학적이 잘못된 사실을 뒤늦게 발견해 단국대에 정정을 요청해 그렇게
됐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민주당에서 미리 정보를 입수한 듯, 한나라당이 박 전 장관의 학력 문제를 제기하자 벌떼 같
이 일어났다. 우선 송영길 의원이 이운영 전 신용보증기금 영동지점장의 사생활을 문제삼고 나섰다.
검찰 조서에 나와있는 성적 향응을 받았는지 여부를 질문한 것이다.
이번에는 이원창 의원이 나서 “어떻게 부인도 나와있는데 그런 말을 할 수 있느냐”며 속기록 삭제
를 요구했다.
그러자 함승희 의원이 기다렸다는 듯이 회심의 일격을 날렸다.
“그러면 여야 모두 사생활과 관련된 질문을 하지 맙시다.” 야당이 박 전 장관과 관련된 인신공격
을 더 이상 할 수 없도록 명분을 뺐은 것이다.
엄호성 의원이 반발했지만 또다시 민주당 장성원 의원이 사생활 보호의 원칙을 거론하며 함 의원을
지원 사격해 대세가 굳어지는 듯했다.
이번에 한나라당 정병국 의원이 엄 의원을 지원사격했다. “외압의 실체를 규명하는 과정에서 증인
들의 주장을 하나하나 확인했고, 그 과정에서 기본적인 학력을 확인하면서 의혹이 일게 된 것”이라
며 “이게 어떻게 이운영의 사생활 보호와 같은 것이냐”고 주장했다.
결국 박광태 위원장이 나서 “이 문제는 위원장과 양당 간사가 협의해 처리하자”며 무마하고 넘어
가는 듯 했다.
하지만 한나라당의 공세는 집요했다. 정인봉 의원은 전혀 다른 질의를 하다가 기습적으로 박 전 장관
에게 질문을 던졌다. 성적표를 보면 3학년 1학기는 광주교육대학에서 학점을 딴 것으로 돼 있는데
그해 1965년도 봄에 이미 그 학교를 졸업했을 뿐만 아니라, 군 입대를 해서 학교를 다닐 상황이 아
니었음에도 학점을 취득한 것으로 나왔다며 위조 의혹을 제기했다.
민주당 의원들이 역시 집단적으로 인신공격이라며 반발했지만 박 전 장관은 “분명히 해명하겠다”
며 “당시에는 4년 내내 안 다니고도 졸업장을 사는 경우도 많았다”며 나도 학교는 안 다니고 시
험만 보아 학점을 땄다”고 주장했다.
또 지난 96년 총선 때 상대 후보였던 김문수 의원이 고발해 당시 부천지청의 검사를 받았으나 무
혐의 처리된 사안이라고까지 말했다.
그러자 이제는 김문수 의원이 나서 “나는 고발하지 않았다”고 해명했고, 박 전 장관은 “그렇다면
미안하다”고 사과했다.
사건의 실체에 진지하게 접근하려는 모습보다는 본질과 벗어난 정치공세성 질문 때문에 청문회 무용
론이 확산되고 있다.장병호 기자 bhjang@naeil.com
끝나자 ‘점잖은’ 질문이 순식간에 노골적인 정치공방으로 변했다.
먼저 한나라당 엄호성 의원이 박지원 전 문화관광부장관의 학력이 조작됐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광
주교육대학에서 단국대로 편입학을 했음에도 조선대에서 편입학 한 것으로 허위로 돼 있다는 것이
다.
이에 대해 박 전 장관은 당시 학적이 잘못된 사실을 뒤늦게 발견해 단국대에 정정을 요청해 그렇게
됐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민주당에서 미리 정보를 입수한 듯, 한나라당이 박 전 장관의 학력 문제를 제기하자 벌떼 같
이 일어났다. 우선 송영길 의원이 이운영 전 신용보증기금 영동지점장의 사생활을 문제삼고 나섰다.
검찰 조서에 나와있는 성적 향응을 받았는지 여부를 질문한 것이다.
이번에는 이원창 의원이 나서 “어떻게 부인도 나와있는데 그런 말을 할 수 있느냐”며 속기록 삭제
를 요구했다.
그러자 함승희 의원이 기다렸다는 듯이 회심의 일격을 날렸다.
“그러면 여야 모두 사생활과 관련된 질문을 하지 맙시다.” 야당이 박 전 장관과 관련된 인신공격
을 더 이상 할 수 없도록 명분을 뺐은 것이다.
엄호성 의원이 반발했지만 또다시 민주당 장성원 의원이 사생활 보호의 원칙을 거론하며 함 의원을
지원 사격해 대세가 굳어지는 듯했다.
이번에 한나라당 정병국 의원이 엄 의원을 지원사격했다. “외압의 실체를 규명하는 과정에서 증인
들의 주장을 하나하나 확인했고, 그 과정에서 기본적인 학력을 확인하면서 의혹이 일게 된 것”이라
며 “이게 어떻게 이운영의 사생활 보호와 같은 것이냐”고 주장했다.
결국 박광태 위원장이 나서 “이 문제는 위원장과 양당 간사가 협의해 처리하자”며 무마하고 넘어
가는 듯 했다.
하지만 한나라당의 공세는 집요했다. 정인봉 의원은 전혀 다른 질의를 하다가 기습적으로 박 전 장관
에게 질문을 던졌다. 성적표를 보면 3학년 1학기는 광주교육대학에서 학점을 딴 것으로 돼 있는데
그해 1965년도 봄에 이미 그 학교를 졸업했을 뿐만 아니라, 군 입대를 해서 학교를 다닐 상황이 아
니었음에도 학점을 취득한 것으로 나왔다며 위조 의혹을 제기했다.
민주당 의원들이 역시 집단적으로 인신공격이라며 반발했지만 박 전 장관은 “분명히 해명하겠다”
며 “당시에는 4년 내내 안 다니고도 졸업장을 사는 경우도 많았다”며 나도 학교는 안 다니고 시
험만 보아 학점을 땄다”고 주장했다.
또 지난 96년 총선 때 상대 후보였던 김문수 의원이 고발해 당시 부천지청의 검사를 받았으나 무
혐의 처리된 사안이라고까지 말했다.
그러자 이제는 김문수 의원이 나서 “나는 고발하지 않았다”고 해명했고, 박 전 장관은 “그렇다면
미안하다”고 사과했다.
사건의 실체에 진지하게 접근하려는 모습보다는 본질과 벗어난 정치공세성 질문 때문에 청문회 무용
론이 확산되고 있다.장병호 기자 bhjang@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