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에서 거물급 인사를 중심으로 방북 러시가 이어지고 있다. 6월14일부터 17일까지 평양에서 개최되는 6·15정상회담 5주년 기념 남북 공동행사에 참석하기 위해서다. 예정에 없던 거물급 인사들이 갑작스레 방북 의사를 밝히고 나서자 행사를 준비하고 있는 실무진은 방북자 명단 조율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여권 인사들의 방북 러시는 최근 남북 차관급 회담에서 ‘통일부장관’을 단장으로 하는 정부 대표단의 방북이 합의된 이후 본격화됐다.
가장 먼저 방북 의사를 밝힌 이는 열린우리당 한명숙 상중위원이다. 한 위원은 정동영 장관이 차관급 회담 성과를 보고하기 위해 열린우리당 상임중앙회의에 참석한 20일 “(정 장관이) 북한에 갈 때 내가 수행하겠다”며 방북 의사를 직접 표명했다.
이틀 뒤인 22일에는 열린우리당 문희상 의장측에서도 ‘방북 의사’가 표명됐다. 전병헌 대변인이 “평양에서 열리는 6·15 남북정상회담 기념행사에 민간대표단의 일원으로 방북할 계획”이라고 밝힌 것. 이밖에도 장영달 상임중앙위원과 신기남 의원 등도 방북 의사를 표명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여권에서 거물급 인사들의 ‘방북’ 의사가 연거푸 표명되면서 남북 공동행사를 준비하고 있는 실무진은 난처한 입장에 빠졌다. 한 실무 인사는 “거물급 인사들이 방북자 명단에 포함시켜 달라고 요구해 와 애를 먹고 있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6·15 평양 행사는 그동안 남과 북, 해외 대표들이 모여 구성한 ‘6·15 공동선언 실천을 위한 남북 해외 공동행사 준비위원회(이하 공준위)’를 중심으로 민간차원에서 준비해왔다. 남측에서는 민화협과 통일연대 등이 공준위에 참여하고 있다. 공준위는 3월 초와 4월말 두차례 금강산에서 실무회의를 갖고 남측에서 정·재계, 학계, 문화예술계, 시민단체 등 각계 대표 6백15명의 방북단을 꾸려 평양 행사에 참석키로 합의했다.
당초 방북단 가운데 정치권에 배정된 인원은 20명 수준. 1차적으로 민화협에 참여하고 있는 열린우리당 배기선, 유기홍, 최성 의원과 한나라당 김덕룡, 정병국, 원희룡 의원 등 여야 의원 10여명이 우선 방북 대상자에 올랐다. 남북 차관급 회담이 성사되기 이전에는 원혜영 열린우리당 정책위의장이 방북을 추진, 방북하는 고위급 정치권 인사로 거론됐다.
그러나 남북 차관급 회담에서 ‘장관급’ 대표단 파견이 합의된 이후 상황은 크게 달라졌다. 열린우리당에서만도 문희상 당의장, 한명숙 상중위원에 이어 장영달 상중위원과 신기남 의원 등 거물급 인사들이 연거푸 ‘방북 ’을 추진하고 나선 것. 이 때문에 20명 내외로 정치권 방북 대상자를 조율해야 하는 공준위측은 여러모로 어려움을 겪게 됐다.
공준위 남측 실무대표를 맡고 있는 조성우 민화협 상임의장은 “(정치권에서) 가고 싶다는 사람이 많아 고민”이라며 “(방북단에) 각계 대표가 골고루 포함되도록 하려면 정치권에 더 많은 숫자를 배정할 수도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조 상임의장은 “아직 방북 대상자가 확정된 것은 아니다”며 “협의를 통해 조정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구자홍 기자 jhkoo@naeil.com
여권 인사들의 방북 러시는 최근 남북 차관급 회담에서 ‘통일부장관’을 단장으로 하는 정부 대표단의 방북이 합의된 이후 본격화됐다.
가장 먼저 방북 의사를 밝힌 이는 열린우리당 한명숙 상중위원이다. 한 위원은 정동영 장관이 차관급 회담 성과를 보고하기 위해 열린우리당 상임중앙회의에 참석한 20일 “(정 장관이) 북한에 갈 때 내가 수행하겠다”며 방북 의사를 직접 표명했다.
이틀 뒤인 22일에는 열린우리당 문희상 의장측에서도 ‘방북 의사’가 표명됐다. 전병헌 대변인이 “평양에서 열리는 6·15 남북정상회담 기념행사에 민간대표단의 일원으로 방북할 계획”이라고 밝힌 것. 이밖에도 장영달 상임중앙위원과 신기남 의원 등도 방북 의사를 표명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여권에서 거물급 인사들의 ‘방북’ 의사가 연거푸 표명되면서 남북 공동행사를 준비하고 있는 실무진은 난처한 입장에 빠졌다. 한 실무 인사는 “거물급 인사들이 방북자 명단에 포함시켜 달라고 요구해 와 애를 먹고 있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6·15 평양 행사는 그동안 남과 북, 해외 대표들이 모여 구성한 ‘6·15 공동선언 실천을 위한 남북 해외 공동행사 준비위원회(이하 공준위)’를 중심으로 민간차원에서 준비해왔다. 남측에서는 민화협과 통일연대 등이 공준위에 참여하고 있다. 공준위는 3월 초와 4월말 두차례 금강산에서 실무회의를 갖고 남측에서 정·재계, 학계, 문화예술계, 시민단체 등 각계 대표 6백15명의 방북단을 꾸려 평양 행사에 참석키로 합의했다.
당초 방북단 가운데 정치권에 배정된 인원은 20명 수준. 1차적으로 민화협에 참여하고 있는 열린우리당 배기선, 유기홍, 최성 의원과 한나라당 김덕룡, 정병국, 원희룡 의원 등 여야 의원 10여명이 우선 방북 대상자에 올랐다. 남북 차관급 회담이 성사되기 이전에는 원혜영 열린우리당 정책위의장이 방북을 추진, 방북하는 고위급 정치권 인사로 거론됐다.
그러나 남북 차관급 회담에서 ‘장관급’ 대표단 파견이 합의된 이후 상황은 크게 달라졌다. 열린우리당에서만도 문희상 당의장, 한명숙 상중위원에 이어 장영달 상중위원과 신기남 의원 등 거물급 인사들이 연거푸 ‘방북 ’을 추진하고 나선 것. 이 때문에 20명 내외로 정치권 방북 대상자를 조율해야 하는 공준위측은 여러모로 어려움을 겪게 됐다.
공준위 남측 실무대표를 맡고 있는 조성우 민화협 상임의장은 “(정치권에서) 가고 싶다는 사람이 많아 고민”이라며 “(방북단에) 각계 대표가 골고루 포함되도록 하려면 정치권에 더 많은 숫자를 배정할 수도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조 상임의장은 “아직 방북 대상자가 확정된 것은 아니다”며 “협의를 통해 조정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구자홍 기자 jhkoo@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