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의혹’을 수사중인 서울중앙지검 특수3부가 김세호(구속) 전 건교부차관 자택 압수수색에서 왕영용(구속) 철도공사 사업개발본부장이 감사원 감사를 받은 문답서를 발견한 것이 뒤늦게 알려져 유출경위를 둘러싼 파문이 예상된다.
◆왜 문제인가 = 감사원의 문건유출은 곧바로 조직적 은폐 가능성으로 이어질 수 있다. 김 전차관이 감사원 감사를 받기 전에 앞서 조사를 받은 왕 본부장의 진술내용을 전부 알고 있었다는 것으로 해석되기 때문이다.
당연히 김 전 차관은 감사원 조사를 받으면서 감사원 조사 방향을 미리 알고 답변을 준비했고, 경우에 따라선 조직적 은폐나 축소조작까지 이뤄질 수 있는 대목이다. 설령 그렇지 않다 하더라도 감사내용이 감사를 받아야 할 피감 대상에게 전달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특히 지난 4월 당시 감사원 감사과정에서 가장 민감한 대목은 왕 본부장의 진술내용이었다.
이를 신광순(구속) 전 철도공사 사장과 김 전차관이 가장 궁금해 하던 차에 문답서를 확보한 것으로 보여 유전의혹 관련자들이 사전에 입을 맞췄을 가능성이 매우 커지는 셈이다.
◆누가 어떤 경로로 유출 했나 = 검찰에 따르면 이번 문건유출과정에는 철도청 직원 2명이 연루된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이들이 지난 3월 10일 감사원에서 철도청 서울본부에 감사본부를 꾸리고 감사를 할 당시 컴퓨터에서 문답서를 디스켓으로 복사해 김 전차관에게 전달한 것으로 보고 있다. 사실상 철도청 직원들에 의한 절취행위가 이뤄진 것이다.
검찰관계자는 “김세호 전차관이나 신광순 철도공사 사장의 지시가 있었는지를 확인했지만 본인들은 지시사실을 부인하고 있다”면서 “절취한 직원들도 독자적으로 한 것으로 진술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렇지만 윗선 지시 없이 자발적으로 했다는 점은 납득하기 힘든 대목이다.
또한 이번 사건에 대한 검찰 수사 초기에 이미 철도청은 각종 유전자료에 대한 조직적 파기시도가 곳곳에서 있었음이 드러난 바 있다.
이번 유출과정에 감사원이 개입된 정황은 아직 없는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감사원은 “지난 3월 10일 감사 당시 직원들이 잠시 자리를 비운 틈을 타서 철도청 직원들이 자료를 복사한 것 같다”고 설명했다. 감사원은 그 근거로 이번에 발견된 문답서 분량이 전체 60페이지 가운데 30여 페이지로 절반밖에 되지 않아 급하게 복사하는 과정에서 누락된 것으로 보고 있다.
그렇다하더라도 감사내용이 손쉽게 피감기관 관계자들 손으로 들어가도록 방치한 책임에 대해서는 감사원 또한 자유로울 수 없다.
◆김세호 리스트? = 이번 감사원 자료유출은 지난 9일 이뤄진 김세호 전차관 자택에 대한 2차 압수수색 과정에서 확보된 내용이다.
이 과정에서 검찰은 감사원 자료 외에 김 전 차관이 A4 용지에 작성해 놓은 ‘전화번호부’를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는 유전의혹에 연루된 다양한 관련자들의 연락처가 포함돼 있어 이들과 접촉하면서 대책을 강구했을 가능성까지 나오고 있다.
검찰관계자에 따르면 여기에는 정치인 등의 명단이 있고 이기명씨 연락처는 없지만 이광재 의원의 이름을 올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재철 기자jcjung@naeil.com
◆왜 문제인가 = 감사원의 문건유출은 곧바로 조직적 은폐 가능성으로 이어질 수 있다. 김 전차관이 감사원 감사를 받기 전에 앞서 조사를 받은 왕 본부장의 진술내용을 전부 알고 있었다는 것으로 해석되기 때문이다.
당연히 김 전 차관은 감사원 조사를 받으면서 감사원 조사 방향을 미리 알고 답변을 준비했고, 경우에 따라선 조직적 은폐나 축소조작까지 이뤄질 수 있는 대목이다. 설령 그렇지 않다 하더라도 감사내용이 감사를 받아야 할 피감 대상에게 전달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특히 지난 4월 당시 감사원 감사과정에서 가장 민감한 대목은 왕 본부장의 진술내용이었다.
이를 신광순(구속) 전 철도공사 사장과 김 전차관이 가장 궁금해 하던 차에 문답서를 확보한 것으로 보여 유전의혹 관련자들이 사전에 입을 맞췄을 가능성이 매우 커지는 셈이다.
◆누가 어떤 경로로 유출 했나 = 검찰에 따르면 이번 문건유출과정에는 철도청 직원 2명이 연루된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이들이 지난 3월 10일 감사원에서 철도청 서울본부에 감사본부를 꾸리고 감사를 할 당시 컴퓨터에서 문답서를 디스켓으로 복사해 김 전차관에게 전달한 것으로 보고 있다. 사실상 철도청 직원들에 의한 절취행위가 이뤄진 것이다.
검찰관계자는 “김세호 전차관이나 신광순 철도공사 사장의 지시가 있었는지를 확인했지만 본인들은 지시사실을 부인하고 있다”면서 “절취한 직원들도 독자적으로 한 것으로 진술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렇지만 윗선 지시 없이 자발적으로 했다는 점은 납득하기 힘든 대목이다.
또한 이번 사건에 대한 검찰 수사 초기에 이미 철도청은 각종 유전자료에 대한 조직적 파기시도가 곳곳에서 있었음이 드러난 바 있다.
이번 유출과정에 감사원이 개입된 정황은 아직 없는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감사원은 “지난 3월 10일 감사 당시 직원들이 잠시 자리를 비운 틈을 타서 철도청 직원들이 자료를 복사한 것 같다”고 설명했다. 감사원은 그 근거로 이번에 발견된 문답서 분량이 전체 60페이지 가운데 30여 페이지로 절반밖에 되지 않아 급하게 복사하는 과정에서 누락된 것으로 보고 있다.
그렇다하더라도 감사내용이 손쉽게 피감기관 관계자들 손으로 들어가도록 방치한 책임에 대해서는 감사원 또한 자유로울 수 없다.
◆김세호 리스트? = 이번 감사원 자료유출은 지난 9일 이뤄진 김세호 전차관 자택에 대한 2차 압수수색 과정에서 확보된 내용이다.
이 과정에서 검찰은 감사원 자료 외에 김 전 차관이 A4 용지에 작성해 놓은 ‘전화번호부’를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는 유전의혹에 연루된 다양한 관련자들의 연락처가 포함돼 있어 이들과 접촉하면서 대책을 강구했을 가능성까지 나오고 있다.
검찰관계자에 따르면 여기에는 정치인 등의 명단이 있고 이기명씨 연락처는 없지만 이광재 의원의 이름을 올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재철 기자jcjung@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