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청이 '원주시 철도시설 정비계획(원주역 이전 사안)'과 관련해 아무런 대책없이 묵묵부답(默默不答)으로 일관, 빈축을 사고 있다.
철도청은 원주시와 공동으로 지난 98년 6월 연구용역을 실시한 이래 2000년 3월 최종보고서가 납품됐으나 "행정절차상 복잡하다"는 이유를 들어 시민공청회조차 개최하지 않고 있다.
특히 원주시는 지난 8월 28일 개최된 철도노선검토위원회에서 '관계전문가들이 참여하는 토론회를 개최하자'고 결정함에 따라 철도청에 이같은 사실을 제의하는 등 수차례 공문을 발송했으나, 아무런 답변도 없다.
철도청은 원주 철도의 고가화 입장을 고수하는 반면 원주지역에서는 외곽으로의 이전을 요구하고 있어 공청회를 개최해도 유리할 게 없다는 입장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와 관련 지역의 한 인사는 "철도청을 배제하고라도 우선 원주시 자체적으로 공청회를 개최해 원주시 안을 확정한 뒤 범시민적 대응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철도청은 원주시와 공동으로 지난 98년 6월 연구용역을 실시한 이래 2000년 3월 최종보고서가 납품됐으나 "행정절차상 복잡하다"는 이유를 들어 시민공청회조차 개최하지 않고 있다.
특히 원주시는 지난 8월 28일 개최된 철도노선검토위원회에서 '관계전문가들이 참여하는 토론회를 개최하자'고 결정함에 따라 철도청에 이같은 사실을 제의하는 등 수차례 공문을 발송했으나, 아무런 답변도 없다.
철도청은 원주 철도의 고가화 입장을 고수하는 반면 원주지역에서는 외곽으로의 이전을 요구하고 있어 공청회를 개최해도 유리할 게 없다는 입장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와 관련 지역의 한 인사는 "철도청을 배제하고라도 우선 원주시 자체적으로 공청회를 개최해 원주시 안을 확정한 뒤 범시민적 대응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