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회계연도(2005년 4월~2006년 3월) 보험시장이 외형상 성장세를 이어가겠지만 경영여건은 어려운 것으로 전망됐다.
보험개발원 보험연구소는 올 회계연도 국내 보험산업의 수입보험료(매출액)는 82조7000억원으로 작년(76조9000억원) 보다 7.5% 증가할 것으로 22일 전망했다.
이 증가율은 2003회계연도 3.0%, 2004 회계연도 7.2%를 웃도는 것이다. 지난해 11월 발표한 올 회계연도 보험산업의 성장률 예상치는 5.8%였으나 이보다 경영환경이 호전될 것으로 보고 예상 성장률을 이보다 높인 것이다.
지난 2003회계연도 3.0% 성장했지만 건강 및 연금 관련 수요의 꾸준한 확대와 변액보험 등 신상품의 판매호조로 2004회계연도에는 7.2%의 성장률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험연구소는 올 회계연도에는 보험산업 환경이 전체적으로 저성장과 저금리 기조를 벗어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고령화와 관련한 보험수요가 꾸준하게 늘고 퇴직보험이 도입되는 등 긍정적인 요인이 작용하면서 7.5%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또 경상 국내총생산(GDP) 대비 수입보험료 규모(보험료 침투도)는 10.0%로 작년보다 0.1%포인트 상승할 것으로 추산했다. 경제성장의 둔화에도 불구하고 수입보험료 성장이 꾸준하게 지속되면서 지난 97회계연도에 13.2%의 성장률을 기록한 이후 지속돼왔던 보험료침투도의 하락세가 10% 전후에서 횡보할 것으로 예상됐다.
생명보험시장의 수입보험료는 57조7000억원, 손해보험시장의 수입보험료는 25조원으로 각각 7.4%, 7.6% 늘어날 것으로 추정했다.
생명보험 수입보험료의 경우 개인보험에서는 연금을 비롯한 생존보험과 건강보험을 비롯한 사망보험이 성장을 주도하고, 단체보험에서는 퇴직연금의 도입이 기대되면서 7.4%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생명보험의 상품별 수입보험료는 개인보험이 사망보험의 꾸준한 성장과 변액보험의 호조로 7.7% 증가한 51조7099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손보산업은 자동차보험이 저성장을 지속하는 반면, 장기손해보험이 3년 연속 손보산업 성장을 주도하면서 시장 구조가 가계성 장기보험을 중심으로 재편되는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됐다. 이에 따라 올 회계연도에도 손해보험은 장기손해보험을 중심으로 7.6%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손해보험 상품의 경우 장기보험은 10조7530억원, 퇴직보험은 6595억원으로 각각 9.6%, 16.2%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자동차보험은 8조8361억원으로 3.7%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보험개발원은 “고령화와 관련한 보험 수요 증가 등에 따른 양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변액보험의 경우 자산운용 위탁 비중이 높은데다 금융시장 여건도 변해 수익률이 불확실하다”며 “퇴직보험은 타금융권과 경쟁 심화로 적절한 수익성을 내지 못할 가능성이 있는 등 경영여건 개선은 불투명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보험개발원은 지난해 11월에는 생보산업은 5.3%, 손보산업은 6.7% 성장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었다.
/김선일 기자 sikim@naeil.com
보험개발원 보험연구소는 올 회계연도 국내 보험산업의 수입보험료(매출액)는 82조7000억원으로 작년(76조9000억원) 보다 7.5% 증가할 것으로 22일 전망했다.
이 증가율은 2003회계연도 3.0%, 2004 회계연도 7.2%를 웃도는 것이다. 지난해 11월 발표한 올 회계연도 보험산업의 성장률 예상치는 5.8%였으나 이보다 경영환경이 호전될 것으로 보고 예상 성장률을 이보다 높인 것이다.
지난 2003회계연도 3.0% 성장했지만 건강 및 연금 관련 수요의 꾸준한 확대와 변액보험 등 신상품의 판매호조로 2004회계연도에는 7.2%의 성장률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험연구소는 올 회계연도에는 보험산업 환경이 전체적으로 저성장과 저금리 기조를 벗어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고령화와 관련한 보험수요가 꾸준하게 늘고 퇴직보험이 도입되는 등 긍정적인 요인이 작용하면서 7.5%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또 경상 국내총생산(GDP) 대비 수입보험료 규모(보험료 침투도)는 10.0%로 작년보다 0.1%포인트 상승할 것으로 추산했다. 경제성장의 둔화에도 불구하고 수입보험료 성장이 꾸준하게 지속되면서 지난 97회계연도에 13.2%의 성장률을 기록한 이후 지속돼왔던 보험료침투도의 하락세가 10% 전후에서 횡보할 것으로 예상됐다.
생명보험시장의 수입보험료는 57조7000억원, 손해보험시장의 수입보험료는 25조원으로 각각 7.4%, 7.6% 늘어날 것으로 추정했다.
생명보험 수입보험료의 경우 개인보험에서는 연금을 비롯한 생존보험과 건강보험을 비롯한 사망보험이 성장을 주도하고, 단체보험에서는 퇴직연금의 도입이 기대되면서 7.4%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생명보험의 상품별 수입보험료는 개인보험이 사망보험의 꾸준한 성장과 변액보험의 호조로 7.7% 증가한 51조7099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손보산업은 자동차보험이 저성장을 지속하는 반면, 장기손해보험이 3년 연속 손보산업 성장을 주도하면서 시장 구조가 가계성 장기보험을 중심으로 재편되는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됐다. 이에 따라 올 회계연도에도 손해보험은 장기손해보험을 중심으로 7.6%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손해보험 상품의 경우 장기보험은 10조7530억원, 퇴직보험은 6595억원으로 각각 9.6%, 16.2%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자동차보험은 8조8361억원으로 3.7%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보험개발원은 “고령화와 관련한 보험 수요 증가 등에 따른 양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변액보험의 경우 자산운용 위탁 비중이 높은데다 금융시장 여건도 변해 수익률이 불확실하다”며 “퇴직보험은 타금융권과 경쟁 심화로 적절한 수익성을 내지 못할 가능성이 있는 등 경영여건 개선은 불투명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보험개발원은 지난해 11월에는 생보산업은 5.3%, 손보산업은 6.7% 성장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었다.
/김선일 기자 sikim@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