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월 의약분업 실시 이후 경기지역 의료소비자들의 불편과 불만이 가중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또 의약분업의 구체적인 시행방법에 대한 대국민 교육과 홍보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나 소비자를 위
한 충분한 정보제공 등 제도의 보완대책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수원YWCA를 비롯 안양 안산 의정부 등 경기지역 10개 단체는 최근 이 지역 병·의원 및 약국과 약국이
용 제조환자 447명을 대상으로 ‘경기지역 의료서비스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2000의약분업 시행
에 따른 의료소비자운동 평가 보고회’를 개최했다.
조사결과 의약분업 전후 본인부담금의 상승에 대한 소비자 불만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의약
분업 전후 동일한 질환으로 투약받은 환자중 비용이 증가됐다고 응답한 환자는 모두 51.2%에 이르고
있다. 이들 중에는 오후 6시 이후에는 비용이 가산된다는 사실을 몰라 처방전을 미리 받고도 저녁시
간에 약국을 방문해 비용이 추가된 경우도 상당수에 이르고 있다.
진료명세서 및 약제비명세서 발행은 보건소와 병원급 이상 대형의료기관에서는 80% 이상의 발행률을
보이고 있는 반면 의원이나 치과의원에서는 평균 23%정도로 현저히 낮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다.
의약간 담합에 관해 묻는 질의에서 의료기관 이용시 약처방전을 주면서 특정약국을 이용하도록 권유
받은 경우는 총 응답자의 11.9%에 해당하는 53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정약국에 가지말도록 권유한
경우도 1.3%였다.
그러나 모니터 조사결과 같은 건물의 복도를 함께 사용하는 병원과 약국이나 같은 건물내의 병원과
약국이 많은 것으로 조사돼 의약담합이 자연스럽게 이루어 질 수 있는 경우에 대한 구체적인 조사가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대체조제에 대해서는 총 응답자 447명중 4.7%에 해당하는 21명이 대체조제에 대한 권유를 받았으며 이
중 57.1%에 이르는 12명이 대체조제에 응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조제한 약의 종류로는 전문의약품
이 33.3%, 일반의약품 16.7%로 나타났다.
이에비해 약국에서 처방된 약 이외의 약을 권유했는지에 대한 조사에서는 1.3%만이 그렇다고 응답해
끼워팔기 행태는 미비한 것으로 조사됐다.
약처방전을 2장 발행하는 경우는 경기도 전지역이 46.5%로 나타났으나 고양은 85.4%, 남양주 10.4%로 나
타나는 등 지역간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소비자들의 알권리에 대한 지역간 인식의 차이
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YWCA관계자는 “의료소비자의 권리찾기 운동으로 시행된 이번 조사에서 많은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제
시됐다”고 밝히고”특히 의료소비자 권리증진을 위한 교육 및 홍보, 담합규제를 위한 제도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수원 정흥모 기자 hmchung@naeil.com
다.
또 의약분업의 구체적인 시행방법에 대한 대국민 교육과 홍보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나 소비자를 위
한 충분한 정보제공 등 제도의 보완대책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수원YWCA를 비롯 안양 안산 의정부 등 경기지역 10개 단체는 최근 이 지역 병·의원 및 약국과 약국이
용 제조환자 447명을 대상으로 ‘경기지역 의료서비스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2000의약분업 시행
에 따른 의료소비자운동 평가 보고회’를 개최했다.
조사결과 의약분업 전후 본인부담금의 상승에 대한 소비자 불만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의약
분업 전후 동일한 질환으로 투약받은 환자중 비용이 증가됐다고 응답한 환자는 모두 51.2%에 이르고
있다. 이들 중에는 오후 6시 이후에는 비용이 가산된다는 사실을 몰라 처방전을 미리 받고도 저녁시
간에 약국을 방문해 비용이 추가된 경우도 상당수에 이르고 있다.
진료명세서 및 약제비명세서 발행은 보건소와 병원급 이상 대형의료기관에서는 80% 이상의 발행률을
보이고 있는 반면 의원이나 치과의원에서는 평균 23%정도로 현저히 낮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다.
의약간 담합에 관해 묻는 질의에서 의료기관 이용시 약처방전을 주면서 특정약국을 이용하도록 권유
받은 경우는 총 응답자의 11.9%에 해당하는 53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정약국에 가지말도록 권유한
경우도 1.3%였다.
그러나 모니터 조사결과 같은 건물의 복도를 함께 사용하는 병원과 약국이나 같은 건물내의 병원과
약국이 많은 것으로 조사돼 의약담합이 자연스럽게 이루어 질 수 있는 경우에 대한 구체적인 조사가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대체조제에 대해서는 총 응답자 447명중 4.7%에 해당하는 21명이 대체조제에 대한 권유를 받았으며 이
중 57.1%에 이르는 12명이 대체조제에 응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조제한 약의 종류로는 전문의약품
이 33.3%, 일반의약품 16.7%로 나타났다.
이에비해 약국에서 처방된 약 이외의 약을 권유했는지에 대한 조사에서는 1.3%만이 그렇다고 응답해
끼워팔기 행태는 미비한 것으로 조사됐다.
약처방전을 2장 발행하는 경우는 경기도 전지역이 46.5%로 나타났으나 고양은 85.4%, 남양주 10.4%로 나
타나는 등 지역간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소비자들의 알권리에 대한 지역간 인식의 차이
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YWCA관계자는 “의료소비자의 권리찾기 운동으로 시행된 이번 조사에서 많은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제
시됐다”고 밝히고”특히 의료소비자 권리증진을 위한 교육 및 홍보, 담합규제를 위한 제도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수원 정흥모 기자 hmchung@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