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당 혁신위, 개혁 실용 ‘불협화음’
‘불법대선자금 국고 환납’ 둘러싸고 개혁파 실용파 혁신위원 ‘설전’
지역내일
2005-05-19
(수정 2005-05-19 오전 11:26:08)
4·30 재보선 참패 이후 당의 면모를 일신하기 위해 구성된 열린우리당 ‘혁신위’가 출발부터 난항을 겪고 있다.
‘혁신’의 첫 단추를 어디서 어떻게 끼울 것인가를 두고 위원들간 이견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17일 광주 무등 파크 호텔에서 6시간 이상 계속된 혁신위 전체회의에서는 ‘불법대선자금 국고 환수’ 문제로 위원들간 치열한 설전이 오갔다.
참석자들에 따르면, 실용 진영의 한 혁신위원이 ‘혁신은 철저한 자기반성에서부터 출발해야 한다. 또 국민과의 약속을 이행하는 가운데 혁신을 이룰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며 ‘불법대선자금 국고 환납’ 문제를 ‘혁신’의 선결과제로 제시한 것이 도화선이 됐다.
지난해 2월 정동영 당시 열린우리당 의장은 국회 대표연설을 통해 “우리당도 불법대선자금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불법자금으로 각 지구당에 내려 보낸 돈은 정당보조금을 삭감해서라도 국고에 환납하겠다”고 대국민 약속을 한 바 있다. 정 의장은 국회 연설 직후 ‘대선자금 국고 환납’을 위해 2002년 대선 때 정 의장 지역구 지구당에 지급됐던 ‘1500만원’을 중앙당에 기탁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열린우리당은 정 의장의 국회 연설 직후부터 올해 초까지 ‘불법정치자금 국고환수’를 위한 입법을 추진했다. 그러나 ‘소급 적용’에 따른 위헌 소지가 있다는 점 때문에 지난 3월 입법을 포기한 바 있다.
개혁파 혁신위원들은 실용파 혁신위원의 ‘대선자금 국고 환납’ 주장에 대해 ‘현실적 여건’을 이유로 거부하고 나섰다.
한 개혁파 혁신위원은 ‘자금 모금을 위해 의원들이 갹출한다고 하지만, 그것도 해결책은 못된다. 정 의장 발언이 총선 이전이었기 때문에 총선 이후 의원이 된 대다수 초선들이 선뜻 동의하지 않는 분위기’라고 반박했다는 것.
개혁파와 실용파 혁신위원간 몇차례 공방이 오간 끝에 중도 성향의 한 혁신위원이 ‘(대선자금 국고 환납은) 원칙적으로 당의장의 대국민 약속이었던 만큼 지켜야겠지만, 지금 실현가능한 마땅한 방법이 없지 않느냐’며 ‘지금은 합의가 가능한 것 먼저 논의하고 (국고 환납 문제는) 나중에 다시 논의하자’고 절충안을 제시함으로써 논란은 일단락됐다.
당시 회의에 참석했던 한 혁신위원은 내일신문과 통화에서 “특별히 의제를 설정하지 않고 자유롭게 위원들간 토론을 벌이다보니 이런 저런 얘기가 나왔던 것”이라며 “대선자금 환수 문제도 논의 됐지만 합의가 쉽지 않아 다음 기회로 미뤘고, 합의가 용의한 다른 안건에 대해 더 많이 토론해 상당부분 합의에 이르렀다”고 말했다.
이 위원은 “무엇보다 재보선 공천과정에 드러났던 문제점에 대해서는 분명한 책임이 뒤따를 것”이라며 “특히 충남 아산에서 이명수 후보가 이중당적 문제로 후보등록을 하지 못하게 된 과정에 있었던 관련자들에게는 엄중한 책임을 묻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논쟁의 당사자였던 개혁파 혁신위원은 “전반적으로 화기애애한 분위기 속에 회의가 진행됐다”며 구체적인 언급을 피했다. ‘대선자금 국고 환납’ 문제를 언급한 실용파 혁신위원은 18일부터 19일까지 몇차례 통화를 시도했지만 연락이 닿지 않았다.
다만 한 측근은 “불법대선자금 국고 환납 문제는 몇차례 언론 인터뷰를 통해 입장을 밝혀 왔다”며 “혁신의 계기를 과거 잘못에 대한 반성에서 출발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것 아니겠느냐”고 배경을 설명했다.
/광주=구자홍 기자 jhkoo@naeil.com
‘혁신’의 첫 단추를 어디서 어떻게 끼울 것인가를 두고 위원들간 이견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17일 광주 무등 파크 호텔에서 6시간 이상 계속된 혁신위 전체회의에서는 ‘불법대선자금 국고 환수’ 문제로 위원들간 치열한 설전이 오갔다.
참석자들에 따르면, 실용 진영의 한 혁신위원이 ‘혁신은 철저한 자기반성에서부터 출발해야 한다. 또 국민과의 약속을 이행하는 가운데 혁신을 이룰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며 ‘불법대선자금 국고 환납’ 문제를 ‘혁신’의 선결과제로 제시한 것이 도화선이 됐다.
지난해 2월 정동영 당시 열린우리당 의장은 국회 대표연설을 통해 “우리당도 불법대선자금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불법자금으로 각 지구당에 내려 보낸 돈은 정당보조금을 삭감해서라도 국고에 환납하겠다”고 대국민 약속을 한 바 있다. 정 의장은 국회 연설 직후 ‘대선자금 국고 환납’을 위해 2002년 대선 때 정 의장 지역구 지구당에 지급됐던 ‘1500만원’을 중앙당에 기탁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열린우리당은 정 의장의 국회 연설 직후부터 올해 초까지 ‘불법정치자금 국고환수’를 위한 입법을 추진했다. 그러나 ‘소급 적용’에 따른 위헌 소지가 있다는 점 때문에 지난 3월 입법을 포기한 바 있다.
개혁파 혁신위원들은 실용파 혁신위원의 ‘대선자금 국고 환납’ 주장에 대해 ‘현실적 여건’을 이유로 거부하고 나섰다.
한 개혁파 혁신위원은 ‘자금 모금을 위해 의원들이 갹출한다고 하지만, 그것도 해결책은 못된다. 정 의장 발언이 총선 이전이었기 때문에 총선 이후 의원이 된 대다수 초선들이 선뜻 동의하지 않는 분위기’라고 반박했다는 것.
개혁파와 실용파 혁신위원간 몇차례 공방이 오간 끝에 중도 성향의 한 혁신위원이 ‘(대선자금 국고 환납은) 원칙적으로 당의장의 대국민 약속이었던 만큼 지켜야겠지만, 지금 실현가능한 마땅한 방법이 없지 않느냐’며 ‘지금은 합의가 가능한 것 먼저 논의하고 (국고 환납 문제는) 나중에 다시 논의하자’고 절충안을 제시함으로써 논란은 일단락됐다.
당시 회의에 참석했던 한 혁신위원은 내일신문과 통화에서 “특별히 의제를 설정하지 않고 자유롭게 위원들간 토론을 벌이다보니 이런 저런 얘기가 나왔던 것”이라며 “대선자금 환수 문제도 논의 됐지만 합의가 쉽지 않아 다음 기회로 미뤘고, 합의가 용의한 다른 안건에 대해 더 많이 토론해 상당부분 합의에 이르렀다”고 말했다.
이 위원은 “무엇보다 재보선 공천과정에 드러났던 문제점에 대해서는 분명한 책임이 뒤따를 것”이라며 “특히 충남 아산에서 이명수 후보가 이중당적 문제로 후보등록을 하지 못하게 된 과정에 있었던 관련자들에게는 엄중한 책임을 묻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논쟁의 당사자였던 개혁파 혁신위원은 “전반적으로 화기애애한 분위기 속에 회의가 진행됐다”며 구체적인 언급을 피했다. ‘대선자금 국고 환납’ 문제를 언급한 실용파 혁신위원은 18일부터 19일까지 몇차례 통화를 시도했지만 연락이 닿지 않았다.
다만 한 측근은 “불법대선자금 국고 환납 문제는 몇차례 언론 인터뷰를 통해 입장을 밝혀 왔다”며 “혁신의 계기를 과거 잘못에 대한 반성에서 출발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것 아니겠느냐”고 배경을 설명했다.
/광주=구자홍 기자 jhkoo@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