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과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은 내달 11일 오전(미국 현지시간 10일 낮) 워싱턴에서 정상회담을 갖는다.
24일 서울 외교소식통에 따르면 노 대통령은 오는 9일 저녁 출국, 백악관에서 정상회담 및 오찬을 가진 후 곧바로 귀국길에 오를 예정이어서 이번 방미는 1박3일 일정의 초미니 실무방문 성격을 띨 것으로 전해졌다.
회담에서는 북핵문제와 한미동맹 발전문제가 주로 거론될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회담이 지난 3월 미국측 요청으로 이뤄졌고 회담형식도 예전에 없던 초 단기 실무회담이어서 일각에서는 ‘대북제재와 관련된 미국측 강경입장을 전달하는 자리가 아니냐’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 외교소식통은 “6자회담 재개여부가 정상회담에 일정한 영향을 줄 것”이라며 “북핵문제의 평화적 해결이라는 원칙적 입장을 강조하겠지만 열려있는 여러 상황을 의논하지 않겠냐”고 말했다.
또 이 소식통은 “실무회담 형식은 우리측이 요구한 것”이라며 “참여정부가 새롭게 시도하는 실사구시형 정상외교로 봐 달라”고 말했다.
노 대통령과 부시 대통령의 정상회담은 지난해 11월 칠레 산티아고 아시아ㆍ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후 7개월만이며, 참여정부 출범 들어서는 4번째이다. 양 정상은 정상회담 외에 그동안 11차례 전화통화를 가진 바 있다.
부시 대통령은 오는 11월 부산 APEC 정상회의때 방한할 예정이었으나, 양 정상이 가능하면 그 이전에 만나 북핵문제 등 현안을 깊숙이 논의할 필요가 있다는데 공감해 이번에 정상회담이 조기 개최된 것으로 알려졌다.
차염진 기자 yjcha@naeil.com
24일 서울 외교소식통에 따르면 노 대통령은 오는 9일 저녁 출국, 백악관에서 정상회담 및 오찬을 가진 후 곧바로 귀국길에 오를 예정이어서 이번 방미는 1박3일 일정의 초미니 실무방문 성격을 띨 것으로 전해졌다.
회담에서는 북핵문제와 한미동맹 발전문제가 주로 거론될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회담이 지난 3월 미국측 요청으로 이뤄졌고 회담형식도 예전에 없던 초 단기 실무회담이어서 일각에서는 ‘대북제재와 관련된 미국측 강경입장을 전달하는 자리가 아니냐’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 외교소식통은 “6자회담 재개여부가 정상회담에 일정한 영향을 줄 것”이라며 “북핵문제의 평화적 해결이라는 원칙적 입장을 강조하겠지만 열려있는 여러 상황을 의논하지 않겠냐”고 말했다.
또 이 소식통은 “실무회담 형식은 우리측이 요구한 것”이라며 “참여정부가 새롭게 시도하는 실사구시형 정상외교로 봐 달라”고 말했다.
노 대통령과 부시 대통령의 정상회담은 지난해 11월 칠레 산티아고 아시아ㆍ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후 7개월만이며, 참여정부 출범 들어서는 4번째이다. 양 정상은 정상회담 외에 그동안 11차례 전화통화를 가진 바 있다.
부시 대통령은 오는 11월 부산 APEC 정상회의때 방한할 예정이었으나, 양 정상이 가능하면 그 이전에 만나 북핵문제 등 현안을 깊숙이 논의할 필요가 있다는데 공감해 이번에 정상회담이 조기 개최된 것으로 알려졌다.
차염진 기자 yjcha@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