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참여자치연대 등 10개 시민사회단체들은 22일 인천시청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저소득층의 실질적인 주거안정을 위해 임대주택 정책을 적극 개선하라고 인천시에 요구했다.
이들은 기자회견을 통해 “지속적인 주택공급에도 불구, 인천 동춘동 재개발지역, 만수향촌지구 등의 저소득층 주거문제는 여전히 불안정한 상태”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인천시의 임대주택 정책을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인천의 5개 재개발지역에 4700여가구의 아파트를 건설하고 있지만 임대아파트는 주공에서 건설하는 300여 가구 뿐”이라며 “재건축.재개발사업시 일정 비율의 임대주택을 의무적으로 건설하도록 조례를 개정하라”고 촉구했다.
또 영구 임대아파트, 쪽방 등 특정지역을 대상으로 한 최저주거기준 실태조사를 포함, 전 가구에 대한 주거실태조사를 시급히 실시하라고 요구했다.
이와 함께 △다가구 주택 매립규모 확대 △입주자격 완화 △임대아파트 평형 다양화 △소득수준에 따른 임대료 차등부과 △적정 임대료 인상율 제시 △주거복지지원센터운영 등 10대 개선과제를 제시했다.
이들 단체들은 “앞으로 주거권리 찾기위한 활동을 전개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인천 곽태영 기자 tykwak@naeil.com
이들은 기자회견을 통해 “지속적인 주택공급에도 불구, 인천 동춘동 재개발지역, 만수향촌지구 등의 저소득층 주거문제는 여전히 불안정한 상태”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인천시의 임대주택 정책을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인천의 5개 재개발지역에 4700여가구의 아파트를 건설하고 있지만 임대아파트는 주공에서 건설하는 300여 가구 뿐”이라며 “재건축.재개발사업시 일정 비율의 임대주택을 의무적으로 건설하도록 조례를 개정하라”고 촉구했다.
또 영구 임대아파트, 쪽방 등 특정지역을 대상으로 한 최저주거기준 실태조사를 포함, 전 가구에 대한 주거실태조사를 시급히 실시하라고 요구했다.
이와 함께 △다가구 주택 매립규모 확대 △입주자격 완화 △임대아파트 평형 다양화 △소득수준에 따른 임대료 차등부과 △적정 임대료 인상율 제시 △주거복지지원센터운영 등 10대 개선과제를 제시했다.
이들 단체들은 “앞으로 주거권리 찾기위한 활동을 전개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인천 곽태영 기자 tykwak@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