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소 지어줄 테니 광구개발권 달라”

지역내일 2005-07-15
한전·석유공사·광진공·코트라, 고유가시대 해외자원개발 공동 추진

지난 2002년 3월 인도네시아 대통령이 한국을 방문해, 당시 김대중 대통령에게 경제협력을 요청했다. 주요내용은 ‘한국이 발전소를 지어주면, 인도네시아에 있는 가스채굴권을 주겠다’는 것이었다.
그해 12월 인도네시아 전력공사(PLN) 사장이 강동석 전 한전 사장과 만나 구체적인 논의를 시작한 이후 2003년 2월 양국간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기에 이른다. 빠르게 진행될 것 같던 이 사업은 발전소 및 가스전 규모 등에 대한 이견으로 진전을 보이지 않다가 올해 들어 급물살을 탔다.
국제유가가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에너지 해외의존도가 97%에 달하는 우리나라로서는 해외자원개발이라는 근본적인 대안이 절실하게 대두되는 상황에서다. 이해찬 국무총리도 14일 상공회의소 주최 간담회에서 “외국에서 연간 600억달러의 에너지를 수입하는 우리나라는 해외유전 개발 등 에너지확보가 1차적으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오는 22일 오후 12시에는 한준호 한전 사장, 이억수 석유공사 사장, 박양수 광진공 사장, 홍기화 코트라 사장이 한자리에 모여 해외자원개발 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하자는 MOU를 체결한다. 이 자리에는 이희범 산업자원부 장관도 참석한다.
‘발전소 등 사회간접자본을 건립해 주면 광구개발권을 주겠다’는 자원보유국의 제의를 최대한 활용하자는 것.
MOU 내용에 따르면 4개 기관이 협력해 입찰정보 교환에서부터, 플랜트 수출 및 자원개발 역할분담 등에 이르기까지 공동 대처키로 했다. 특히 코트라는 105개 해외무역관을 활용해 세계 각국의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4개 기관은 그 첫 사업으로 인도네시아 ‘보조네가라’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가스터빈 750MW 복합화력 발전소를 지어주고, 이를 LNG로 상환받는 것. 복합화력발전소 규모는 국내 원자력발전소 1기가 1000MW인 점을 감안하면 4분의 3 수준으로, 사업비는 5억8000만달러에 이른다.
이같은 패키지 자원개발 사업은 이번 MOU 체결로 더욱 활기를 띨 전망이다. 경제개발이 낙후돼 있는 자원보유국 입장에서도 발전소 건립 등에 대한 대가를 현금으로 상환하는 것 보다 자원으로 보상하는 것이 더 유리하기 때문.
실례로 나이지리아 정부는 최근 75개 광구 입찰을 추진 중인데, 석유공사측에 ‘발전소 건설과 사회간접시설 건립에 참여할 경우 입찰시 혜택을 주겠다’는 제안을 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석유공사·한전·포스코·GS칼텍스 등 국내 8개 기업이 컨소시엄을 구성, 내달 1일 열리는 입찰에 참여할 계획이다. 이 외에도 카자흐스탄, 호주 등에서 발전소 건립과 광구개발권을 맞바꾸는 방식의 제의를 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산자부 관계자는 “에너지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로서는, 에너지 자주개발율을 높이는 게 근본적인 과제”라며 “관계기관끼리 협력해 우리가 가진 기술을 주고, 에너지를 확보하려고 하면 몇 배 이상의 시너지효과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현재 3.8%에 불과한 원유 자주개발율을 2008년 10%, 2013년 15%로 확대한다는 계획을 수립했다.
이재호 기자 jhlee@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닫기
(주)내일엘엠씨(이하 '회사'라 함)은 개인정보보호법을 준수하고 있으며, 지역내일 미디어 사이트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수집∙이용(제공)에 대한 귀하의 동의를 받고자 합니다. 내용을 자세히 읽으신 후 동의 여부를 결정하여 주십시오. [관련법령 개인정보보호법 제15조, 제17조, 제22조, 제23조, 제24조] 회사는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중요시하며,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개인정보보호법」을 준수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하여 회사가 이용자로부터 제공받은 개인정보를 어떠한 용도와 방식으로 이용하고 있으며,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어떠한 조치를 취하고 있는지 알려드립니다.


1) 수집 방법
지역내일 미디어 기사제보

2)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이용 목적
기사 제보 확인 및 운영

3) 수집 항목
필수 : 이름, 이메일 / 제보내용
선택 : 휴대폰
※인터넷 서비스 이용과정에서 아래 개인정보 항목이 자동으로 생성되어 수집될 수 있습니다. (IP 주소, 쿠키, MAC 주소, 서비스 이용 기록, 방문 기록, 불량 이용 기록 등)

4) 보유 및 이용기간
① 회사는 정보주체에게 동의 받은 개인정보 보유기간이 경과하거나 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이 달성된 경우 지체 없이 개인정보를 복구·재생 할 수 없도록 파기합니다. 다만, 다른 법률에 따라 개인정보를 보존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해당 기간 동안 개인정보를 보존합니다.
② 처리목적에 따른 개인정보의 보유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 문의 등록일로부터 3개월

※ 관계 법령
이용자의 인터넷 로그 등 로그 기록 / 이용자의 접속자 추적 자료 : 3개월 (통신비밀보호법)

5) 수집 거부의 권리
귀하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하지 않으실 수 있습니다. 다만, 수집 거부 시 문의하기 기능이 제한됩니다.
이름*
휴대폰
이메일*
제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