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자치부 공무원들이 독도 지키기 대열에 합류해 화제다. 사회문제 참여를 금기시하는 공직사회 내부 분위기를 감안하면 뜻밖의 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행자부 공직윤리팀에 근무하는 조재운씨는 독도영유권을 놓고 한일간 갈등이 최고조에 달했던 올해 3월 동료 15명과 함께 ‘독도사랑 국토사랑’이란 동호회를 결성했다.
창립모임에서 회장으로 추대된 조씨는 “공직자 이전에 국민의 의무가 있다고 생각했다”면서 “정부입장에서 하기 어려운 일을 공무원들이 나서면 도움도 되고 보람도 있을 것”이라고 모임 결성의 계기를 설명했다.
이 모임의 회원은 현재 28명. 조 회장과 회원들은 8·15광복절을 앞두고 첫 나들이를 준비하고 있다.
이들은 8월12일부터 14일까지 2박3일 일정으로 울릉도와 독도를 방문한 뒤 독도의 아름다운 풍광과 회원들의 여행수기를 엮어 조그만 책자를 낼 계획이다.
조 회장은 공무원들이 자신의 지식을 등록할 수 있는 e-집현전에 ‘독도영유권 분쟁에 대한 올바른 대응방향’이라는 제목의 글을 올려놓기도 할 정도로 독도를 포함한 역사문제에 관심이 많다.
그는 e-집현전에 올린 글에서 “정부의 독도에 대한 정책기조를 바꿔야 한다”고 지적했다. 독도의 분쟁지역화를 막기 위해 지나치게 침묵을 지켜온 정부의 정책이 오히려 올바른 해결방안을 마련하는데 장애가 됐다는 것이다. 그는 또 “일본의 계획된 침탈에 대해 일회성 대응을 피하기 위해서는 정부 내에 독도 전담기구가 설치되어야 한다”는 제안을 내놓기도 했다.
조 회장과 회원들은 앞으로 독도 뿐 아니라 앞으로 백두산, 상해임시정부, 길림, 마라도 등 우리나라 영토경계에 있는 곳을 찾아다닐 생각이다. 이 같은 활동을 통해 공무원 사회에 역사의식을 전파하는 ‘전파자’의 노릇을 마다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조 회장은 “공직사회가 사회문제에 대해 과거처럼 냉소적 태도로 대하면 시대의 흐름에 뒤떨어지는 것”이라며 “다른 정부 부처에서 비슷한 모임이 만들어지면 통합모임을 만들 계획”이라고 말했다.
/홍범택 기자 durumi@naeil.com
행자부 공직윤리팀에 근무하는 조재운씨는 독도영유권을 놓고 한일간 갈등이 최고조에 달했던 올해 3월 동료 15명과 함께 ‘독도사랑 국토사랑’이란 동호회를 결성했다.
창립모임에서 회장으로 추대된 조씨는 “공직자 이전에 국민의 의무가 있다고 생각했다”면서 “정부입장에서 하기 어려운 일을 공무원들이 나서면 도움도 되고 보람도 있을 것”이라고 모임 결성의 계기를 설명했다.
이 모임의 회원은 현재 28명. 조 회장과 회원들은 8·15광복절을 앞두고 첫 나들이를 준비하고 있다.
이들은 8월12일부터 14일까지 2박3일 일정으로 울릉도와 독도를 방문한 뒤 독도의 아름다운 풍광과 회원들의 여행수기를 엮어 조그만 책자를 낼 계획이다.
조 회장은 공무원들이 자신의 지식을 등록할 수 있는 e-집현전에 ‘독도영유권 분쟁에 대한 올바른 대응방향’이라는 제목의 글을 올려놓기도 할 정도로 독도를 포함한 역사문제에 관심이 많다.
그는 e-집현전에 올린 글에서 “정부의 독도에 대한 정책기조를 바꿔야 한다”고 지적했다. 독도의 분쟁지역화를 막기 위해 지나치게 침묵을 지켜온 정부의 정책이 오히려 올바른 해결방안을 마련하는데 장애가 됐다는 것이다. 그는 또 “일본의 계획된 침탈에 대해 일회성 대응을 피하기 위해서는 정부 내에 독도 전담기구가 설치되어야 한다”는 제안을 내놓기도 했다.
조 회장과 회원들은 앞으로 독도 뿐 아니라 앞으로 백두산, 상해임시정부, 길림, 마라도 등 우리나라 영토경계에 있는 곳을 찾아다닐 생각이다. 이 같은 활동을 통해 공무원 사회에 역사의식을 전파하는 ‘전파자’의 노릇을 마다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조 회장은 “공직사회가 사회문제에 대해 과거처럼 냉소적 태도로 대하면 시대의 흐름에 뒤떨어지는 것”이라며 “다른 정부 부처에서 비슷한 모임이 만들어지면 통합모임을 만들 계획”이라고 말했다.
/홍범택 기자 durumi@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