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J 발언 누락 부분 공개 계기로 한나라당 공세 전환
‘한나라당 관련 4대의혹’ 공세 취하던 우리당 ‘주춤’
안기부 불법도청 테이프의 녹취록 공개 과정에 김대중 전대통령의 기아차 관련 언급이 누락된 것으로 밝혀져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그동안 이회창 전한나라당 총재에게 집중됐던 비판이 김대중 전대통령으로 옮아가고 있기 때문이다.
◆한나라 “표적공개 증거 드러났다” = X-파일 문건 공개 이후 이회창 전총재와 소속 의원들의 관련 의혹 등으로 줄곧 수세적 입장을 취해왔던 한나라당은 김대중 전대통령의 재벌 관련 언급이 누락된 것으로 알려진 뒤 공세적 입장으로 태도를 바꿨다.
한나라당 이정현 부대변인은 27일 논평을 통해 “표적 공개의 증거가 드러났다”며 불법도청문건의 날조와 변조 의혹까지 제기하고 나섰다. 당초 기아차 문제와 관련한 김대중 전 대통령의 발언이 이회창 전 총재의 발언으로 둔갑했었다는 점에서다.
특히, 한나라당은 김대중 정권 당시 실세였던 천용택 전 국정원장과 박지원 전 비서실장 등이 이미 99년도에 테이프의 존재 사실을 알고 있었다는 점을 집중 부각시키고 있다.
한나라당은 또 ‘불법도청을 근절시키기 위한 특검’ 도입을 주장하고 나섰다. 특검 도입에 부정적인 열린우리당을 겨냥, “현 정권에서도 진행중인 도청을 숨기겠다는 의도가 아니냐”며 공세의 고삐를 바짝 죄고 있다.
한나라당이 이처럼 수세적 태도에서 공세로 돌아선 데에는 ‘뇌물죄’ 등이 성립할 수 있는 기아차 관련 언급이 김대중 전 대통령에게서도 이뤄졌다는 점에서다. 처음 테이프 내용이 공개됐을 때에는 이회창 전 총재측에 제공된 정치자금 언급 부분이 집중 부각돼, ‘차떼기당’이란 오명이 되살아날 것을 우려했다. 그러나 김대중 전 대통령 관련 부분이 새롭게 드러나면서 여야 모두 테이프 내용 자체에 대해서는 껄끄러운 입장이 됐다는 판단을 하고 있다.
한편 한나라당은 ‘특검’을 요구하는 동시에 X-파일에 대한 날조와 변조 의혹, 그리고 X-파일 공개과정에 ‘보이지 않는 손’이 작용했는지에 대해서도 적극적인 공세를 펼 예정이다.
한나라당 한 고위 당직자는 “왜 지금 시점에 X-파일이 공개됐는지 의구심을 갖지 않을 수 없다”며 “김대중 정권 실세들은 이미 99년부터 테이프의 존재를 알고 있지 않았느냐”고 말했다. 이 인사는 또 “X-파일이 정치적 의도를 갖고 날조되거나 변조됐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며 “특검을 통해 이 부분도 규명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DJ문제 놓고 여권 내부도 미묘한 기류 = X-파일 공개 이후 한나라당을 ‘차떼기당의 과거 행적이 또 드러났다’며 한나라당에 공세를 취하던 열린우리당은 다소 혼란에 빠진 모습이다. X-파일에 등장하는 홍석현 주미대사 외에는 현 정권에 큰 부담이 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했던 여권에 DJ라는 새 변수가 등장했기 때문이다.
홍 대사 거취문제가 ‘자진 사퇴’로 정리된 뒤 여권은 △정형근 의원의 미림팀 재건 의혹 △불법도청 자료의 전달 및 사용 여부 △고흥길 의원 등의 불법대선자금 전달 의혹 △전직 안기부 퇴직직원의 국사모와 한나라당 유착 등 ‘4대 의혹’을 제기하며 한나라당에 대한 압박을 강화했다. 그러나 DJ 관련 부분이 부각되면서 여당이 제기한 ‘4대 의혹’은 빛이 바랬다.
또 X-파일에 대한 당내 입장차가 향후 대응방안을 둘러싸고 갈등이 재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김대중 전 대통령과 연이 깊은 문희상 당의장 등은 ‘X-파일’ 파문이 DJ와 DJ 정권의 문제로 확대되는 것을 원치 않는다. 이 때문에 ‘테이프의 내용’에 대한 공세에는 조심스런 입장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일부 당내 인사들은 ‘불법도청’ 문제는 과거 정권의 문제일 뿐, 노무현 정권이 자유롭다는 전제하에, X-파일 내용에 대한 공세에 주력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여야가 ‘X-파일’을 둘러싸고 일진일퇴를 거듭하는 과정에 잠복했던 여권 내부 갈등이 재연될 가능성도 점점 커지고 있다.
/구자홍 기자 jhkoo@naeil.com
‘한나라당 관련 4대의혹’ 공세 취하던 우리당 ‘주춤’
안기부 불법도청 테이프의 녹취록 공개 과정에 김대중 전대통령의 기아차 관련 언급이 누락된 것으로 밝혀져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그동안 이회창 전한나라당 총재에게 집중됐던 비판이 김대중 전대통령으로 옮아가고 있기 때문이다.
◆한나라 “표적공개 증거 드러났다” = X-파일 문건 공개 이후 이회창 전총재와 소속 의원들의 관련 의혹 등으로 줄곧 수세적 입장을 취해왔던 한나라당은 김대중 전대통령의 재벌 관련 언급이 누락된 것으로 알려진 뒤 공세적 입장으로 태도를 바꿨다.
한나라당 이정현 부대변인은 27일 논평을 통해 “표적 공개의 증거가 드러났다”며 불법도청문건의 날조와 변조 의혹까지 제기하고 나섰다. 당초 기아차 문제와 관련한 김대중 전 대통령의 발언이 이회창 전 총재의 발언으로 둔갑했었다는 점에서다.
특히, 한나라당은 김대중 정권 당시 실세였던 천용택 전 국정원장과 박지원 전 비서실장 등이 이미 99년도에 테이프의 존재 사실을 알고 있었다는 점을 집중 부각시키고 있다.
한나라당은 또 ‘불법도청을 근절시키기 위한 특검’ 도입을 주장하고 나섰다. 특검 도입에 부정적인 열린우리당을 겨냥, “현 정권에서도 진행중인 도청을 숨기겠다는 의도가 아니냐”며 공세의 고삐를 바짝 죄고 있다.
한나라당이 이처럼 수세적 태도에서 공세로 돌아선 데에는 ‘뇌물죄’ 등이 성립할 수 있는 기아차 관련 언급이 김대중 전 대통령에게서도 이뤄졌다는 점에서다. 처음 테이프 내용이 공개됐을 때에는 이회창 전 총재측에 제공된 정치자금 언급 부분이 집중 부각돼, ‘차떼기당’이란 오명이 되살아날 것을 우려했다. 그러나 김대중 전 대통령 관련 부분이 새롭게 드러나면서 여야 모두 테이프 내용 자체에 대해서는 껄끄러운 입장이 됐다는 판단을 하고 있다.
한편 한나라당은 ‘특검’을 요구하는 동시에 X-파일에 대한 날조와 변조 의혹, 그리고 X-파일 공개과정에 ‘보이지 않는 손’이 작용했는지에 대해서도 적극적인 공세를 펼 예정이다.
한나라당 한 고위 당직자는 “왜 지금 시점에 X-파일이 공개됐는지 의구심을 갖지 않을 수 없다”며 “김대중 정권 실세들은 이미 99년부터 테이프의 존재를 알고 있지 않았느냐”고 말했다. 이 인사는 또 “X-파일이 정치적 의도를 갖고 날조되거나 변조됐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며 “특검을 통해 이 부분도 규명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DJ문제 놓고 여권 내부도 미묘한 기류 = X-파일 공개 이후 한나라당을 ‘차떼기당의 과거 행적이 또 드러났다’며 한나라당에 공세를 취하던 열린우리당은 다소 혼란에 빠진 모습이다. X-파일에 등장하는 홍석현 주미대사 외에는 현 정권에 큰 부담이 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했던 여권에 DJ라는 새 변수가 등장했기 때문이다.
홍 대사 거취문제가 ‘자진 사퇴’로 정리된 뒤 여권은 △정형근 의원의 미림팀 재건 의혹 △불법도청 자료의 전달 및 사용 여부 △고흥길 의원 등의 불법대선자금 전달 의혹 △전직 안기부 퇴직직원의 국사모와 한나라당 유착 등 ‘4대 의혹’을 제기하며 한나라당에 대한 압박을 강화했다. 그러나 DJ 관련 부분이 부각되면서 여당이 제기한 ‘4대 의혹’은 빛이 바랬다.
또 X-파일에 대한 당내 입장차가 향후 대응방안을 둘러싸고 갈등이 재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김대중 전 대통령과 연이 깊은 문희상 당의장 등은 ‘X-파일’ 파문이 DJ와 DJ 정권의 문제로 확대되는 것을 원치 않는다. 이 때문에 ‘테이프의 내용’에 대한 공세에는 조심스런 입장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일부 당내 인사들은 ‘불법도청’ 문제는 과거 정권의 문제일 뿐, 노무현 정권이 자유롭다는 전제하에, X-파일 내용에 대한 공세에 주력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여야가 ‘X-파일’을 둘러싸고 일진일퇴를 거듭하는 과정에 잠복했던 여권 내부 갈등이 재연될 가능성도 점점 커지고 있다.
/구자홍 기자 jhkoo@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