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파업 막판협상, 금융 투쟁준비
한통 노사 20일 합의할 듯 … 국민·주택은행원 90% 이상 파업 지지
지역내일
2000-12-19
(수정 2000-12-20 오후 5:00:10)
지난 18일부터 시작된 한국통신 파업사태가 20일 오전 극적 합의에 도달, 일단락될 것으로 보인다.
한통 노·사는 지난 15일로 마감한 명예퇴직은 그대로 시행하되, 분할·분사키로 했던 당초 방침을
없던 일로 하기로 합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한국노총 소속 금융산업노조는 19일 국민·주택은행지부가 파업찬반투표를 마치는 등 22일로
예고된 6개 은행 파업을 준비중이다.
이에 따라 △114안내원, 선로유지보수, 잔화가설, 콜센타 등을 분사(아웃소싱)키로 했던 방침이 철
회됐고, △강제적 인원감축 수단으로 알려졌던 인력 풀제 역시 철회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한통 성영소 부사장이 분사 방침 철회 조항을 거부하면서 20일 오전 10시 현재 서명날인이
지체되고 있다.
이밖에 그동안갈등을 빚었던 보수제도(수당 인상 등) 개선에도 합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 한통 파업 유발 책임,사측에 있다 = 한통노조 파업이 일단락됐지만 “회사가 한통 파업 사태를
유도 내지는 방기했다”는 지적이 노동계 안팎에서 나오고 있다.
지난해 한통 노·사는 ‘인위적이고 강압적인 인원감축은 없다’는 데에 합의 서명했다. 하지만 한
통은 이를 어겼다. 최근 실시된 명예퇴직자 모집도 사측이 노조와 별다른 협의 없이 일방적으로 실
시했다.
명예퇴직 신청 건이 저조하자 부부사원들을 꼽아, 여성들에게 명예퇴직 신청을 강요했다는 것이 노
조 쪽의 주장이다. 뿐만 아니라 일정한 연령 이상인 자들을 대기발령시키고, 연고가 없는 곳으로 일
방적으로 전보시켜 명예퇴직을 하게끔 인위적으로 유도했다고 한다.
한통 쪽은 “명예퇴직 등이 국가적 정책사항으로 불가피하다”는 입장에서 한치도 물러서지 않으
려 했다. “노사합의를 존중하고 자율적으로 풀어가려고 노력한 흔적이 없다”는 것이 명동성당에
서 만난 파업 참여자들의 주장이었다.
사측이 무시한 노사합의사항은 또 있다. 노조 전 집행부 때 ‘인력감축을 전제로 한 분사(分社·
아웃소싱 포함) 때는 노사합의토록 한다’는 데에 합의해 놓고 나 몰라라 했다. 분사 때는 노사
‘협의’하자는 것이 한통 쪽의 최종안이었다.
합의서가 휴지조각으로 전락하자 노사 신뢰구도가 곧바로 무너졌다. 한통노조가 노동관계법을 아
예 무시하고 중앙노동위원회에 조정을 신청하지도 않고 바로 파업에 들어간 것도 이 때문이다.
한통 쪽은 파업 참여자가 5000여명 미만이라고 주장했던 반면 노조 쪽은 “18일 1만2000명까지
모였고, 1만명 이상의 대오를 항상 유지했었다”고 주장한 데서 알 수 있듯이 노·사간 상황인식
의 차이가 심각했다.
◇ 금융노조 22일 파업 준비 순항 = 노총 소속 금융산업노조의 ‘22일 파업’ 준비가 순조롭게 진행
중이다.
금융노조 국민은행지부(위원장 이경수)와 주택은행지부(위원장 김철홍)는 19일 각각 파업찬반투
표를 가졌다. 국민지부의 파업 지지율은 95.2%(8307명), 주택지부는 89.8%(5848명)로 10명 중
9명 이상이 파업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노조 박희민 홍보부장은 “이런 결과는 국민·주택은행의 강제합병을 반대하는 여론이 압도
적이라는 것을 뜻하는 동시에 6개 은행 선도파업이 성공적으로 이뤄질 수 있음을 드러내고 있다”
고 말했다.
국민지부는 19일 차장·팀장급 직원들이 합병에 반발, 전원 사직서를 제출했고 주택지부는 이날부
터 전직원 사복착용 투쟁에 들어갔다.
“기획예산처 정보통신부 등이 노사자율교섭을 망치고 있다”고 보는 한통노조와 “7·11 노정
합의를 금융당국이 어기고 있다”고 보는 금융노조의 주장에 대해 정부가 어떤 식으로 대응할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이강연 기자 lkyym@naeil.com
한통 노·사는 지난 15일로 마감한 명예퇴직은 그대로 시행하되, 분할·분사키로 했던 당초 방침을
없던 일로 하기로 합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한국노총 소속 금융산업노조는 19일 국민·주택은행지부가 파업찬반투표를 마치는 등 22일로
예고된 6개 은행 파업을 준비중이다.
이에 따라 △114안내원, 선로유지보수, 잔화가설, 콜센타 등을 분사(아웃소싱)키로 했던 방침이 철
회됐고, △강제적 인원감축 수단으로 알려졌던 인력 풀제 역시 철회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한통 성영소 부사장이 분사 방침 철회 조항을 거부하면서 20일 오전 10시 현재 서명날인이
지체되고 있다.
이밖에 그동안갈등을 빚었던 보수제도(수당 인상 등) 개선에도 합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 한통 파업 유발 책임,사측에 있다 = 한통노조 파업이 일단락됐지만 “회사가 한통 파업 사태를
유도 내지는 방기했다”는 지적이 노동계 안팎에서 나오고 있다.
지난해 한통 노·사는 ‘인위적이고 강압적인 인원감축은 없다’는 데에 합의 서명했다. 하지만 한
통은 이를 어겼다. 최근 실시된 명예퇴직자 모집도 사측이 노조와 별다른 협의 없이 일방적으로 실
시했다.
명예퇴직 신청 건이 저조하자 부부사원들을 꼽아, 여성들에게 명예퇴직 신청을 강요했다는 것이 노
조 쪽의 주장이다. 뿐만 아니라 일정한 연령 이상인 자들을 대기발령시키고, 연고가 없는 곳으로 일
방적으로 전보시켜 명예퇴직을 하게끔 인위적으로 유도했다고 한다.
한통 쪽은 “명예퇴직 등이 국가적 정책사항으로 불가피하다”는 입장에서 한치도 물러서지 않으
려 했다. “노사합의를 존중하고 자율적으로 풀어가려고 노력한 흔적이 없다”는 것이 명동성당에
서 만난 파업 참여자들의 주장이었다.
사측이 무시한 노사합의사항은 또 있다. 노조 전 집행부 때 ‘인력감축을 전제로 한 분사(分社·
아웃소싱 포함) 때는 노사합의토록 한다’는 데에 합의해 놓고 나 몰라라 했다. 분사 때는 노사
‘협의’하자는 것이 한통 쪽의 최종안이었다.
합의서가 휴지조각으로 전락하자 노사 신뢰구도가 곧바로 무너졌다. 한통노조가 노동관계법을 아
예 무시하고 중앙노동위원회에 조정을 신청하지도 않고 바로 파업에 들어간 것도 이 때문이다.
한통 쪽은 파업 참여자가 5000여명 미만이라고 주장했던 반면 노조 쪽은 “18일 1만2000명까지
모였고, 1만명 이상의 대오를 항상 유지했었다”고 주장한 데서 알 수 있듯이 노·사간 상황인식
의 차이가 심각했다.
◇ 금융노조 22일 파업 준비 순항 = 노총 소속 금융산업노조의 ‘22일 파업’ 준비가 순조롭게 진행
중이다.
금융노조 국민은행지부(위원장 이경수)와 주택은행지부(위원장 김철홍)는 19일 각각 파업찬반투
표를 가졌다. 국민지부의 파업 지지율은 95.2%(8307명), 주택지부는 89.8%(5848명)로 10명 중
9명 이상이 파업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노조 박희민 홍보부장은 “이런 결과는 국민·주택은행의 강제합병을 반대하는 여론이 압도
적이라는 것을 뜻하는 동시에 6개 은행 선도파업이 성공적으로 이뤄질 수 있음을 드러내고 있다”
고 말했다.
국민지부는 19일 차장·팀장급 직원들이 합병에 반발, 전원 사직서를 제출했고 주택지부는 이날부
터 전직원 사복착용 투쟁에 들어갔다.
“기획예산처 정보통신부 등이 노사자율교섭을 망치고 있다”고 보는 한통노조와 “7·11 노정
합의를 금융당국이 어기고 있다”고 보는 금융노조의 주장에 대해 정부가 어떤 식으로 대응할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이강연 기자 lkyym@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