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은 지난 5일 국정원의 도청 고백 후 공세의 칼끝을 현 정부로 고정하고 나섰다. 2002년 3월까지만 도청하고 그 이후에는 하지 않았다는 국정원의 고백의 진실성을 누가 믿겠느냐는 것이다. 한나라당은 현재까지 도청이 진행되고 있지 않다는 것을 국민들에게 납득시킬 것과 당시 국정원 간부를 역임했던 열린우리당 문희상 의장 등의 솔직한 해명 등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DJ 정권 이전의 도청 문제에 대해서는 국정조사를 요구하고 나섰다. YS 때의 도청테이프인 274개 테이프에 대해서는 내용이 있는 만큼 특검에서 수사하는 것이 마땅하고, DJ 정권 이후의 도청에 대해서는 국정조사를 해서 국가권력의 불법도청 문제를 짚겠다는 것이다. 참여정부의 전신인 DJ 정부와 현 정부에 대한 정치공세를 정기국회 때까지 이어가려는 의도도 있다.
8일 한나라당 전여옥 대변인은 “지금 본질은 국가권력에 의한 도청인데 본질은 뒤로 가고 새판짜기니 이런 식으로 가는데 이는 굉장히 큰 문제”라면서 “현 정부는 지금은 (도청을) 안 하고 있다는 것을 국민들에게 확실히 납득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임태희 원내 수석부대표도 “정기국회 국정감사에서 국정원이 투명하게 밝히지 않으면 국정조사권을 발동해 전임 정부와 현 정부의 도청 의혹을 규명할 것”이라고 말했다.
물론 일각에서는 한나라당이 너무 맘편한 공세를 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시각도 있다. DJ 시절 도청의 방향은 당시 야당이었던 한나라당에 더 쏠려있을 거라는 유추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국정원은 모든 도청 내용이 폐기됐다고 했지만 만에 하나라도 내용이 남아있어서 유출되기라도 한다면 한나라당이 덤터기를 쓸 수 있다는 불안감이 한 켠에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해서도 전 대변인은 “도청한 사람이 나쁜 것이지 도청 당한 사람이 나쁜 것이 아니지 않느냐”면서 “설사 한나라당에 불리한 내용이 나오더라도 그동안 한나라당이 쌓아온 것이 있다”고 말했다.
김형선 기자 egoh@naeil.com
이에 따라 DJ 정권 이전의 도청 문제에 대해서는 국정조사를 요구하고 나섰다. YS 때의 도청테이프인 274개 테이프에 대해서는 내용이 있는 만큼 특검에서 수사하는 것이 마땅하고, DJ 정권 이후의 도청에 대해서는 국정조사를 해서 국가권력의 불법도청 문제를 짚겠다는 것이다. 참여정부의 전신인 DJ 정부와 현 정부에 대한 정치공세를 정기국회 때까지 이어가려는 의도도 있다.
8일 한나라당 전여옥 대변인은 “지금 본질은 국가권력에 의한 도청인데 본질은 뒤로 가고 새판짜기니 이런 식으로 가는데 이는 굉장히 큰 문제”라면서 “현 정부는 지금은 (도청을) 안 하고 있다는 것을 국민들에게 확실히 납득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임태희 원내 수석부대표도 “정기국회 국정감사에서 국정원이 투명하게 밝히지 않으면 국정조사권을 발동해 전임 정부와 현 정부의 도청 의혹을 규명할 것”이라고 말했다.
물론 일각에서는 한나라당이 너무 맘편한 공세를 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시각도 있다. DJ 시절 도청의 방향은 당시 야당이었던 한나라당에 더 쏠려있을 거라는 유추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국정원은 모든 도청 내용이 폐기됐다고 했지만 만에 하나라도 내용이 남아있어서 유출되기라도 한다면 한나라당이 덤터기를 쓸 수 있다는 불안감이 한 켠에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해서도 전 대변인은 “도청한 사람이 나쁜 것이지 도청 당한 사람이 나쁜 것이 아니지 않느냐”면서 “설사 한나라당에 불리한 내용이 나오더라도 그동안 한나라당이 쌓아온 것이 있다”고 말했다.
김형선 기자 egoh@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