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구역 31%는 토지투기 지역
재경부, 강북구 등 5곳 추가 77곳으로 확대…구로구 등 4곳은 주택투기지역에 편입
지역내일
2005-08-17
(수정 2005-08-17 오후 12:02:43)
서울 구로구와 경기도 이천 등 4개 지역이 주택투기지역으로 새로 지정됐다. 또 서울 강북구와 부산 기장군 충남 보령시 등 5개 지역은 토지투기지역에 선정됐다.
재정경제부는 지난 16일 부동산가격안정심의회를 개최, 이들 9개 지역을 주택·토기투기지역으로 추가 지정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로써 주택투기지역은 모두 53곳으로 늘어났고 토지투기지역도 77곳으로 확대됐다. 특히 248개 행정구역 가운데 31%가 토지투기지역으로, 21.4%는 주택투기지역으로 지정된 셈이다.
이번에 새로 주택투기지역에 지정된 곳은 구로구, 경기도 이천시와 광주시, 대구 중구 등 4개 지역이다. 이중 대구 중구와 경기 이천시는 지난 5월 한차례 지정이 유보된 바 있다.이들 지역의 경우 개발기대심리 등이 작용하며 불안한 모습을 보였다고 재경부는 설명했다. 구로구의 경우 일부지역에서 재건축이 추진 중이고 신규분양물량이 없어 공급위축에 따른 주택가격 상승세가 나타났다.
이천시와 광주시의 경우 분당과 용인 등 인근지역개발 등에 따른 기대심리로 가격이 상승했다. 대구 중구도 노후·불량 주택지에 대한 개발기대심리, 6개단지 2700세대 재건축 추진 등으로 주택가격이 상승했다.
토지투기지역의 경우 서울 강북구, 부산 기장군, 충남 보령시, 전남 무안군, 제주 남제주군 등 5 곳이 지정됐다. 부산 기장군과 제주 남제주군은 지난 2월과 3월 두차례 지정이 유보됐었다.
이들 지역은 대부분 각종 개발사업의 영향 등으로 지속적인 지가상승이 우려됐다고 재경부는 설명했다.
서울 강북구의 경우 미아뉴타운 개발, 미아균형발전촉진지구, 경전철 건설계획 등으로 토지가격이 상승세를 보였고 부산 기장군도 정관면일대 신시가지·지방산업단지 조성사업, 개발제한구역 해제 등으로 토지가격이 상승했다. 충남 보령시는 대천 역세권 개발사업, 행정복합도시 토지보상에 따른 대토수요 등의 영향으로 지가가 상승했으며 전남 무안군은 기업도시 시범사업지역 선정, 남악신도시 개발사업 등의 영향이 반영됐다. 남제주의 경우도 각종 관광단지·지구 개발사업으로 지가가 상승했다.
이날 결정으로 토지투기지역은 지난달 17일 72곳에서 77곳으로 늘었고 주택투기지역은 49곳에서 53곳으로 늘었다.
/고병수 기자 byng8@naeil.com
재정경제부는 지난 16일 부동산가격안정심의회를 개최, 이들 9개 지역을 주택·토기투기지역으로 추가 지정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로써 주택투기지역은 모두 53곳으로 늘어났고 토지투기지역도 77곳으로 확대됐다. 특히 248개 행정구역 가운데 31%가 토지투기지역으로, 21.4%는 주택투기지역으로 지정된 셈이다.
이번에 새로 주택투기지역에 지정된 곳은 구로구, 경기도 이천시와 광주시, 대구 중구 등 4개 지역이다. 이중 대구 중구와 경기 이천시는 지난 5월 한차례 지정이 유보된 바 있다.이들 지역의 경우 개발기대심리 등이 작용하며 불안한 모습을 보였다고 재경부는 설명했다. 구로구의 경우 일부지역에서 재건축이 추진 중이고 신규분양물량이 없어 공급위축에 따른 주택가격 상승세가 나타났다.
이천시와 광주시의 경우 분당과 용인 등 인근지역개발 등에 따른 기대심리로 가격이 상승했다. 대구 중구도 노후·불량 주택지에 대한 개발기대심리, 6개단지 2700세대 재건축 추진 등으로 주택가격이 상승했다.
토지투기지역의 경우 서울 강북구, 부산 기장군, 충남 보령시, 전남 무안군, 제주 남제주군 등 5 곳이 지정됐다. 부산 기장군과 제주 남제주군은 지난 2월과 3월 두차례 지정이 유보됐었다.
이들 지역은 대부분 각종 개발사업의 영향 등으로 지속적인 지가상승이 우려됐다고 재경부는 설명했다.
서울 강북구의 경우 미아뉴타운 개발, 미아균형발전촉진지구, 경전철 건설계획 등으로 토지가격이 상승세를 보였고 부산 기장군도 정관면일대 신시가지·지방산업단지 조성사업, 개발제한구역 해제 등으로 토지가격이 상승했다. 충남 보령시는 대천 역세권 개발사업, 행정복합도시 토지보상에 따른 대토수요 등의 영향으로 지가가 상승했으며 전남 무안군은 기업도시 시범사업지역 선정, 남악신도시 개발사업 등의 영향이 반영됐다. 남제주의 경우도 각종 관광단지·지구 개발사업으로 지가가 상승했다.
이날 결정으로 토지투기지역은 지난달 17일 72곳에서 77곳으로 늘었고 주택투기지역은 49곳에서 53곳으로 늘었다.
/고병수 기자 byng8@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