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은 국정원의 ‘국민의 정부시절 도청’ 발표를 ‘노 대통령의 김대중(DJ) 전 대통령 죽이기’로 규정하고 정면 돌파한다는 입장을 세웠다. ‘도청정국’으로 형성된 위기를 정치기반을 다지는 기회로 전환하려는 의지도 보인다.
민주당은 노 대통령이 ‘도청정국’으로 정치적 승부수를 띄웠으며, 그 끝이 DJ 죽이기(3김 청산)로 향해 있다며 ‘음모론’을 제기하고 있다. 유종필 대변인은 “노 대통령은 취임직후(2003년 3월17일) 국정원 도청 의혹에 대한 규명을 지시했기 때문에 이미 도청 사실을 알고 있었을 것”이라며, “굳이 지금에 와서 공개한 이유를 모르겠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유 대변인은 이번 발표가 형식은 국정원의 자기고백이지만 내용은 참여정부의 국민의 정부에 대한 공격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또한 이번 국정원 발표를 노 대통령이 취임 초 김대중 전 대통령과 국민의 정부를 곤혹스럽게 만들었던 대북송금 특검에 비유하기도 했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민주당이 노 대통령의 음모론을 제기한 것에 대해 2가지 노림수에 주목하고 있다. 도청정국 전환과 호남민심 자극이라는 양수겸장이 그것이다.
‘X-파일 속 DJ 등장’과 ‘국민의정부 시절 도청’ 발표는 DJ와 국민의 정부 적통임을 자임하는 민주당의 정치적 입지를 약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그래서 민주당은 ‘DJ 죽이기’로 받아치면서 호남민심을 자극해 지지기반을 강화한다는 계산이 깔려 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유 대변인은 “호남민심을 자극하는 것이 아니라, 민주당은 어떤 손해를 보더라도 DJ와 국민의 정부를 보호하고 옹호하고 껴안고 갈 수밖에 없는 숙명을 안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DJ가 폭발하면 민주당도 함께 폭발하는 공동운명체”고 덧붙였다. 호남민심을 자극하는 것은 민주당이 아니라, 오히려 노 대통령이란 주장이다.
한편 민주당은 열린우리당이 제기한 특별법에 대해 반대하고, 야4당이 공조해 추진하고 있는 특검법에 대해서는 찬성하기로 입장을 정리했다. 백왕순 기자 wspaik@naeil.com
민주당은 노 대통령이 ‘도청정국’으로 정치적 승부수를 띄웠으며, 그 끝이 DJ 죽이기(3김 청산)로 향해 있다며 ‘음모론’을 제기하고 있다. 유종필 대변인은 “노 대통령은 취임직후(2003년 3월17일) 국정원 도청 의혹에 대한 규명을 지시했기 때문에 이미 도청 사실을 알고 있었을 것”이라며, “굳이 지금에 와서 공개한 이유를 모르겠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유 대변인은 이번 발표가 형식은 국정원의 자기고백이지만 내용은 참여정부의 국민의 정부에 대한 공격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또한 이번 국정원 발표를 노 대통령이 취임 초 김대중 전 대통령과 국민의 정부를 곤혹스럽게 만들었던 대북송금 특검에 비유하기도 했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민주당이 노 대통령의 음모론을 제기한 것에 대해 2가지 노림수에 주목하고 있다. 도청정국 전환과 호남민심 자극이라는 양수겸장이 그것이다.
‘X-파일 속 DJ 등장’과 ‘국민의정부 시절 도청’ 발표는 DJ와 국민의 정부 적통임을 자임하는 민주당의 정치적 입지를 약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그래서 민주당은 ‘DJ 죽이기’로 받아치면서 호남민심을 자극해 지지기반을 강화한다는 계산이 깔려 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유 대변인은 “호남민심을 자극하는 것이 아니라, 민주당은 어떤 손해를 보더라도 DJ와 국민의 정부를 보호하고 옹호하고 껴안고 갈 수밖에 없는 숙명을 안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DJ가 폭발하면 민주당도 함께 폭발하는 공동운명체”고 덧붙였다. 호남민심을 자극하는 것은 민주당이 아니라, 오히려 노 대통령이란 주장이다.
한편 민주당은 열린우리당이 제기한 특별법에 대해 반대하고, 야4당이 공조해 추진하고 있는 특검법에 대해서는 찬성하기로 입장을 정리했다. 백왕순 기자 wspaik@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