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1년 한국전쟁 중 미 공군 전투기 폭격연습장으로 공여
1988년 6월 14일 매향리 미공군 국제폭격장 피해주민 대책위원회 결성
1988년 7월 4일 매향리 주민 614명 청와대·국방부·경기도에 피해대책 진정
1989년 3월 팀스프리트 훈련 중 주민 700여명 3주간 매향리 육해상 폭격장 점거농성
1989년 6월 국방부와 미군, 육상 폭탄투하장 폐쇄
1994년 12월 14일 불발탄 폭발사건으로 피해 입은 198채 가옥에 대한 배상을 요구하며 미군기지 앞 3개월 천막농성, 한미 배상심의위원회 3억5천만원 배상(청구액 28억원)
1998년 2월 27일 주민대표 전만규 외 14인 국가상대로 폭격소음 손해배상소송 제기
2000년 5월 8일 일명 ‘매향리 오폭사건’ 발생(주민 7명부상)
2000년 6월 2일 폭격훈련을 알리는 황색 깃발을 찢은 전만규 주민대책위원장 군사시설보호법위반 및 기물손괴 혐의로 구속
2000년 8월 18일 국방부와 미군, 육상 기총사격장 폐쇄
2001년 4월 11일 1심 재판에서 전만규 외 13인 원고 일부 승소판결
2001년 8월 13일 주민 2222명 국가 상대로 추가 손해배상 소송 제기
2002년 1월 9일 전만규 외 13인에 대한 항소심 원고일부 승소판결
2004년 3월 12일 대법원 확정판결(원심 그대로 인정)
2004년 4월 국방부와 미군, 매향리 사격장 2005년 8월 폐쇄 발표
2005년 1월 13일 주민 강태복 외 1889명 손해배상 소송 승소(위자료 81억5467만원)
2005년 8월 12일 국방부와 미군, 마지막까지 남아 있던 해상 농섬 사격장 폐쇄
1988년 6월 14일 매향리 미공군 국제폭격장 피해주민 대책위원회 결성
1988년 7월 4일 매향리 주민 614명 청와대·국방부·경기도에 피해대책 진정
1989년 3월 팀스프리트 훈련 중 주민 700여명 3주간 매향리 육해상 폭격장 점거농성
1989년 6월 국방부와 미군, 육상 폭탄투하장 폐쇄
1994년 12월 14일 불발탄 폭발사건으로 피해 입은 198채 가옥에 대한 배상을 요구하며 미군기지 앞 3개월 천막농성, 한미 배상심의위원회 3억5천만원 배상(청구액 28억원)
1998년 2월 27일 주민대표 전만규 외 14인 국가상대로 폭격소음 손해배상소송 제기
2000년 5월 8일 일명 ‘매향리 오폭사건’ 발생(주민 7명부상)
2000년 6월 2일 폭격훈련을 알리는 황색 깃발을 찢은 전만규 주민대책위원장 군사시설보호법위반 및 기물손괴 혐의로 구속
2000년 8월 18일 국방부와 미군, 육상 기총사격장 폐쇄
2001년 4월 11일 1심 재판에서 전만규 외 13인 원고 일부 승소판결
2001년 8월 13일 주민 2222명 국가 상대로 추가 손해배상 소송 제기
2002년 1월 9일 전만규 외 13인에 대한 항소심 원고일부 승소판결
2004년 3월 12일 대법원 확정판결(원심 그대로 인정)
2004년 4월 국방부와 미군, 매향리 사격장 2005년 8월 폐쇄 발표
2005년 1월 13일 주민 강태복 외 1889명 손해배상 소송 승소(위자료 81억5467만원)
2005년 8월 12일 국방부와 미군, 마지막까지 남아 있던 해상 농섬 사격장 폐쇄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