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패 : 부산지역 초선 국회의원들의 시국관
제목 : 경제문제가 최우선, 장외집회는 불가피
‘김대중정권 국정파탄 범국민 규탄대회’를 하루 앞둔 19일, 부산의 한나라당 초선의원 6
명에게 현 시국과 관련한 견해를 물어보았다. 질문은 두가지. 우선순위가 높은 국정현안 3가
지와 부산 대구에서 개최하는 장외집회를 비판적으로 보는 여론에 대한 견해는 무엇인가?
■ 권태망(연제구. 행정자치위원회) : 국정우선순위 3가지는 1.국회정상화 2.민생 개혁법안
처리 3.의혹사건에 대한 특검제 도입. 장외집회는 불가피하다. 여당이 야당을 대화파트너로
인정하는 안정장치가 있어야 국회에 들어갈 수 있다. 지금은 셋이 치는 고돌이 판에 둘이서
짜고 치는 형국 아닌가.
■ 도종이(부산진구을. 건설교통위원회) : 가장 시급한 것은 여야간 신뢰회복 통한 정치복
원. 두 번째는 경제문제 해결. 셋째 고위층의 권력형 부정부패 일소.
여당이 국회를 무시하니까 야당이 불가피하게 장외로 나올 수 밖에 없었다.
■ 손태인(해운대 기장갑. 농림해양수산위원회)
1.경제위기극복 2.국회에서 개혁입법을 처리하는 것 3.대통령이 정치력을 발휘해주면 좋겠다.
장외집회 불가피하다. 국가적 위기 극복을 위해서 대통령의 현실인식이 바뀌어야 한다.
■ 안경률(해운대 기장을. 건설교통위원회)
1.경제문제 2.정치가 바로되야 하고 3.환경문제에 대해 대처해야 한다.
오죽 하면 장외로 나왔겠느냐. 장외집회는 정치적인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수단이지 국회포
기 아니다. 싸우면서 건설하는 것 아니냐. 원내외전략을 병행해서 갈 것이다.
■ 엄호성(사하갑. 운영위원회) : 1.경제회생 2.권력구조의 민주화 3.지역 균형발전. 장외집회
는 불가피하다. 야당은 국회에서 쫓겨나왔다. 국민에게 직접 호소할 수 밖에 없다.
■ 허태열(북강서을. 농림해양수산위원회) : 1.붕괴직전의 경제문제 2.정국안정 정치안정 3.
남북문제. 장외집회는 정국을 풀기위해 필요하고 불가피한 조치다. 장외집회하니까 박지원
장관도 사퇴하고 실마리 풀리려 하지 않느냐. 대통령이 겸허하게 야당의 요구를 수용해야
정국이 안정된다. / 정연근 기자 ygjung@naeil.com
제목 : 경제문제가 최우선, 장외집회는 불가피
‘김대중정권 국정파탄 범국민 규탄대회’를 하루 앞둔 19일, 부산의 한나라당 초선의원 6
명에게 현 시국과 관련한 견해를 물어보았다. 질문은 두가지. 우선순위가 높은 국정현안 3가
지와 부산 대구에서 개최하는 장외집회를 비판적으로 보는 여론에 대한 견해는 무엇인가?
■ 권태망(연제구. 행정자치위원회) : 국정우선순위 3가지는 1.국회정상화 2.민생 개혁법안
처리 3.의혹사건에 대한 특검제 도입. 장외집회는 불가피하다. 여당이 야당을 대화파트너로
인정하는 안정장치가 있어야 국회에 들어갈 수 있다. 지금은 셋이 치는 고돌이 판에 둘이서
짜고 치는 형국 아닌가.
■ 도종이(부산진구을. 건설교통위원회) : 가장 시급한 것은 여야간 신뢰회복 통한 정치복
원. 두 번째는 경제문제 해결. 셋째 고위층의 권력형 부정부패 일소.
여당이 국회를 무시하니까 야당이 불가피하게 장외로 나올 수 밖에 없었다.
■ 손태인(해운대 기장갑. 농림해양수산위원회)
1.경제위기극복 2.국회에서 개혁입법을 처리하는 것 3.대통령이 정치력을 발휘해주면 좋겠다.
장외집회 불가피하다. 국가적 위기 극복을 위해서 대통령의 현실인식이 바뀌어야 한다.
■ 안경률(해운대 기장을. 건설교통위원회)
1.경제문제 2.정치가 바로되야 하고 3.환경문제에 대해 대처해야 한다.
오죽 하면 장외로 나왔겠느냐. 장외집회는 정치적인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수단이지 국회포
기 아니다. 싸우면서 건설하는 것 아니냐. 원내외전략을 병행해서 갈 것이다.
■ 엄호성(사하갑. 운영위원회) : 1.경제회생 2.권력구조의 민주화 3.지역 균형발전. 장외집회
는 불가피하다. 야당은 국회에서 쫓겨나왔다. 국민에게 직접 호소할 수 밖에 없다.
■ 허태열(북강서을. 농림해양수산위원회) : 1.붕괴직전의 경제문제 2.정국안정 정치안정 3.
남북문제. 장외집회는 정국을 풀기위해 필요하고 불가피한 조치다. 장외집회하니까 박지원
장관도 사퇴하고 실마리 풀리려 하지 않느냐. 대통령이 겸허하게 야당의 요구를 수용해야
정국이 안정된다. / 정연근 기자 ygjung@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