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REA 정책집단을 찾아서-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IFES)

지역내일 2005-10-06 (수정 2005-10-07 오후 1:53:18)
북한·통일문제 외길 30년
국내 최고명문 자부심 ... ‘통일이후’ 준비 중


1972년.
숫자만 봐도 깜깜하다. 단지 30년여 전이라는 물리적인 시간 외에도 ‘북한’ 혹은 ‘통일’이라는 단어를 대놓고 거론하기엔 너무도 척박한 시절이었음이 틀림없다.
하지만 어느 시대건 그 어둠 속에서 새로운 시대를 꿈꾸는 사람들은 반드시 있는 법. 경남대학교 부설 극동문제연구소(IFES)는 이런 어둠 속에서 태어나 30여년을 오适?북한·통일문제 연구에만 매진, 이 분야 최고 명문이라는 자부심을 갖고 있다.

◆‘7·4남북공동성명’ 기운타고 연구소 개설 =
극동문제연구소는 냉전시대에 통일을 준비하고 북한과 공산권에 대한 체계적 연구의 필요성으로 출발하게 됐다. 그리고 그 출발은 박재규 전 통일부 장관의 강력한 프熾?노력이 없었으면 사실상 불가능했다.
박 전 장관은 ‘7·4남북공동성명’으로 이산가족상봉 등 남북화해의 움직임이 있던 지난 1972년 서울 태평로 광학빌딩 조금만 사무실서 ‘통한문제연구소’라는 이름으로 연구활동을 시작한다. 이후 극동문제연구소라고 이름을 바꾸고, 1979년 현재 위치한 삼청동으로 이사하며 북한·통일문제 및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평화와 안정에 관한 연구에 몰두해왔다.
연구소은 소수의 상근연구위원 및 사회과학 분야의 경남대학교 교수들로 구성된 비상임연구위원들로 구성돼있다. 이와 별도로 국내외 대학 및 연구기관의 관계 전문가들로 위촉된 초빙연구위원을 통해서 연구활동의 폭과 깊이를 넓혀나가고 있다.
지난 1998년에는 연구소와 연계 운영되는 북한대학원 개원을 계기로 연구기능과 대학원의 교육기능을 결합시켜 시너지 효과를 누리고 있다. 북한대학원에서 관련부처 공무원들을 비롯해 정치인, 언론인, 교수, 일반학생 등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을 교육시켜 그동안의 연구실적과 노하우 등을 사회에 간접 환원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연구소가 점차 발전하고 국내외에서 각광을 받는 데에는 지난 30년간 꾸준히 단일한 분야에 천착해온 연구진들의 노력도 있지만, 노태우정권의 기본합의서(92년)와 북방정책 추진·김대중정권의 햇볕정책 및 정상회담(2000) 등 제반 환경들의 변화도 한 몫을 한 것이 사실이다.

◆“북한 연구, 왜 외국에 의존하나?” =
극동문제연구소는 기본적으로 북한·통일 연구에 대해, 당사자인 한국 정부 그리고 한국 내 전문가들이 주도해야 한다는 입장을 갖고 있다. 통일된 언어, 한국인들만이 파악할 수 있는 상호간의 정서는 기본이고 직간접적인 교류·협력을 통해 얻은 정확한 정보와 연구성과를 우리가 만들어 외부에 전파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북한의 문제를 오히려 외국에 의존하는 ‘어색하고 이상한’ 풍토를 지적한 것이다.
이 때문인지 연구소의 활동은 무척 다양하고 왕성하다.
북한·통일문제에 관한 연구프로젝트 수행은 기본이고 국제학술회의를 비롯해 각종 세미나· 워크숍·포럼을 진행해오고 있다. 특히 해외학자 초정세미나는 이미 100회 정도를 기록했으며 통일문제세미나 30여회, 통일전략포럼 30여회 등 왕성한 활동을 자랑하고 있다.
정기간행물로는 ‘Asian perspective’, ‘한국과 국제정치’, ‘동북아연구’, ‘사회과학 논문색인’ 등이 있으며, 연구보고서 및 자료집도 매년 수차례 발간하고 있다.
또 점차 국제화 되고 있는 북한 관련 연구활동과 정확한 정보제공을 위해 외국인들을 위한 영문사이트(http://ifes.kyungnam.ac.kr/eng)를 지난 2002년부터 열어놓고 있다. 북한 문제에 유독 부정적인 정보만을 확산하는 일부 매체들에 대한 외국인들의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목적도 숨기지 않는다.
극동문제연구소가 일궈온 그간의 성과는 여러가지 객관적인 지표가 설명해주고 있다. 1981년 문교부 선정 사회과학분야 최우수 연구소, 1993년 병역특례연구기관으로 지정됐다. 또 1977년 창간 이후 매년 4회 발간되는 영문 정기간행물 Asian Perspective는 지난 1996년부터 5년 연속 한국학술진흥재단 선정 사회과학분야 우수 국제학술지로 이름을 빛내고 있다. 규모나 실적 면에서 공히 국내 제1의 대학부설 연구소로 자리잡고 있는 것이다.

◆준비된 통일 필요 =
극동문제연구소는 과거와 현재에만 머물지 않는다. 이미 1972년 통일을 내다봤던 통 큰(?) 이들이기에 지금은 그 누구보다도 가깝게 ‘통일’을 느끼고 준비하고 있다. ‘북한개발국제협력센터’가 만들어진 것도 바로 이 때문.
센터는 핵 문제 이후 북한 개발을 위해 국내외 싱크탱크들의 노력으로 만들어졌다. 지난해 11월에 문을 연 센터는 국제협력을 통해 북한의 빈곤탈출과 경제적 도약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한국의 과거 경제개발 경험과 국제기구 특히 국제금융기구들의 풍부한 개발도상국 지원 경험과 노하우를 북한경제재건과 발전에 접목시키고 있다.
한편 극동문제연구소는 연구성과의 사회환원을 위한 연구·교육프로그램을 비롯해 연구소의 자료를 일반에게 공개하고 있다.
신진학자 연구과제 공모, 경남대 재학생을 위한 단기연수교육, 해외학자와의 교육을 촉진하기 위한 해외학자 초빙연구프로그램(SSPK), 남북경제교류에 관심 있는 사람들을 위한 남북경협아카데미 많은 호응을 얻고 있다.
연구실 자료 개방도 멀기만 해 보이는 ‘통일’ ‘북한’ 문제에 대해 일반인들의 관심을 끌기 위한 목적의 일환이다. 연구소는 지난 1985년부터 자료회원제를 두고 연구소가 소장하고 있는 470여종의 사회과학 관련 정기간행물과 10.000여 권의 단행본, 기타 연구논문집과 보고서들을 개방해 이용이 가능하게 해놓았다. 연구소 소장자료를 실비로 복사해 우송도 해주는 ‘친절서비스’도 하고 있다. (연락처 : 02-3700-0700)
이숙현 기자 shlee@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닫기
(주)내일엘엠씨(이하 '회사'라 함)은 개인정보보호법을 준수하고 있으며, 지역내일 미디어 사이트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수집∙이용(제공)에 대한 귀하의 동의를 받고자 합니다. 내용을 자세히 읽으신 후 동의 여부를 결정하여 주십시오. [관련법령 개인정보보호법 제15조, 제17조, 제22조, 제23조, 제24조] 회사는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중요시하며,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개인정보보호법」을 준수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하여 회사가 이용자로부터 제공받은 개인정보를 어떠한 용도와 방식으로 이용하고 있으며,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어떠한 조치를 취하고 있는지 알려드립니다.


1) 수집 방법
지역내일 미디어 기사제보

2)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이용 목적
기사 제보 확인 및 운영

3) 수집 항목
필수 : 이름, 이메일 / 제보내용
선택 : 휴대폰
※인터넷 서비스 이용과정에서 아래 개인정보 항목이 자동으로 생성되어 수집될 수 있습니다. (IP 주소, 쿠키, MAC 주소, 서비스 이용 기록, 방문 기록, 불량 이용 기록 등)

4) 보유 및 이용기간
① 회사는 정보주체에게 동의 받은 개인정보 보유기간이 경과하거나 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이 달성된 경우 지체 없이 개인정보를 복구·재생 할 수 없도록 파기합니다. 다만, 다른 법률에 따라 개인정보를 보존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해당 기간 동안 개인정보를 보존합니다.
② 처리목적에 따른 개인정보의 보유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 문의 등록일로부터 3개월

※ 관계 법령
이용자의 인터넷 로그 등 로그 기록 / 이용자의 접속자 추적 자료 : 3개월 (통신비밀보호법)

5) 수집 거부의 권리
귀하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하지 않으실 수 있습니다. 다만, 수집 거부 시 문의하기 기능이 제한됩니다.
이름*
휴대폰
이메일*
제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