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6개월 후의 경기·생활형편·소비지출 등에 대한 소비자들의 심리를 보여주는 소비자기대지수가 6개월 만에 상승세로 돌아섰다.
통계청이 10일 발표한 9월 소비자전망 조사에 따르면 소비자 기대지수는 96.7로 전달보다 1.9포인트 올라갔다. 3월 102.2를 기록한 이후 4월 101.3, 5월 99.2, 6월 95.4, 7월 95.2, 8월 94.8 등으로 계속 하락하다 6개월만에 다시 상승세로 반전된 것.
소비자기대지수는 전 연령과 전 소득계층에서 전달보다 상승했지만, 월평균 300만원 이상의 고소득층과 20∼30대 젊은층의 기대지수만 기준치인 100을 넘었을 뿐 여전히 부정적인 견해가 많았다.
소비자기대지수가 기준치인 100보다 낮으면 6개월 후의 경기나 생활형편 등이 현재보다 나빠질 것으로 보는 소비자가 좋아질 것으로 예상하는 소비자에 비해 많다는 것을 의미하고 100보다 높으면 반대의 경우를 의미한다.
항목별로는 경기에 대한 기대지수(93.9)가 전달보다 3.9포인트, 생활형편에 대한 기대지수(98.1)는 2.2포인트씩 상승해 다소 좋아졌으나 여전히 100이하에 밑돌았고, 반면 소비지출에 관한 기대지수(105.4)는 전달보다 1.1포인트 상승해 8개월 연속 기준치를 넘어섰다.
내구소비재구매 기대지수(89.6)와 외식·오락·문화 기대지수(89.8)도 전달보다 각각 0.5포인트, 0.3포인트씩 소폭 상승했으나 여전히 기대치에 못미쳤다.
소득수준별 소비자기대지수 모든 계층에서 전달에 비해 소 폭 상승했으나 계층간 ‘빈익빈 부익부’현상은 여전했다.
월평균 400만원 이상이 전달보다 2.0포인트 오른 104.3으로 8개월 연속 기준치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했고, 월평균 300만∼399만원은 전달보다 2.1포인트 올라 4개월만에 다시 기준치를 넘어섰다. 또 중산층인 200만∼299만원은 98.0으로 전달보다 2.1포인트 올라갔고, 100만∼199만원, 100만원 미만의 저소득층도 각각 92.7, 90.9로 전달보다 소폭 상승했다.
연령대별로도 20대가 전달보다 1.3포인트 오른 105.1로 3개월 연속 기준치 이상을 유지했으며, 30대도 100.2로 4개월 만에 기준치인 100을 상회했다.
6개월 전과 비교해 현재의 경기·생활형편 등에 대한 소비자들의 평가를 나타내는 소비자평가지수는 81.2로 전달(78.3)에 비해 2.9포인트 상승했다.
한편 자산가치에 주관적인 평가를 나타내는 자산평가지수는 주택 및 상가(95.2)는 전달보다 0.3포인트 상승, 상승세를 보인 반면 토지및 임야(99.0)는 전달보다 0.6포인트 하락, 3개월째 하락세를 유지했다.
금융저축(92.7)과 주식 및 채권(96.8)은 전달보다 각각 2.4포인트, 3.3포인트상승했다.
양성현 기자 shya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통계청이 10일 발표한 9월 소비자전망 조사에 따르면 소비자 기대지수는 96.7로 전달보다 1.9포인트 올라갔다. 3월 102.2를 기록한 이후 4월 101.3, 5월 99.2, 6월 95.4, 7월 95.2, 8월 94.8 등으로 계속 하락하다 6개월만에 다시 상승세로 반전된 것.
소비자기대지수는 전 연령과 전 소득계층에서 전달보다 상승했지만, 월평균 300만원 이상의 고소득층과 20∼30대 젊은층의 기대지수만 기준치인 100을 넘었을 뿐 여전히 부정적인 견해가 많았다.
소비자기대지수가 기준치인 100보다 낮으면 6개월 후의 경기나 생활형편 등이 현재보다 나빠질 것으로 보는 소비자가 좋아질 것으로 예상하는 소비자에 비해 많다는 것을 의미하고 100보다 높으면 반대의 경우를 의미한다.
항목별로는 경기에 대한 기대지수(93.9)가 전달보다 3.9포인트, 생활형편에 대한 기대지수(98.1)는 2.2포인트씩 상승해 다소 좋아졌으나 여전히 100이하에 밑돌았고, 반면 소비지출에 관한 기대지수(105.4)는 전달보다 1.1포인트 상승해 8개월 연속 기준치를 넘어섰다.
내구소비재구매 기대지수(89.6)와 외식·오락·문화 기대지수(89.8)도 전달보다 각각 0.5포인트, 0.3포인트씩 소폭 상승했으나 여전히 기대치에 못미쳤다.
소득수준별 소비자기대지수 모든 계층에서 전달에 비해 소 폭 상승했으나 계층간 ‘빈익빈 부익부’현상은 여전했다.
월평균 400만원 이상이 전달보다 2.0포인트 오른 104.3으로 8개월 연속 기준치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했고, 월평균 300만∼399만원은 전달보다 2.1포인트 올라 4개월만에 다시 기준치를 넘어섰다. 또 중산층인 200만∼299만원은 98.0으로 전달보다 2.1포인트 올라갔고, 100만∼199만원, 100만원 미만의 저소득층도 각각 92.7, 90.9로 전달보다 소폭 상승했다.
연령대별로도 20대가 전달보다 1.3포인트 오른 105.1로 3개월 연속 기준치 이상을 유지했으며, 30대도 100.2로 4개월 만에 기준치인 100을 상회했다.
6개월 전과 비교해 현재의 경기·생활형편 등에 대한 소비자들의 평가를 나타내는 소비자평가지수는 81.2로 전달(78.3)에 비해 2.9포인트 상승했다.
한편 자산가치에 주관적인 평가를 나타내는 자산평가지수는 주택 및 상가(95.2)는 전달보다 0.3포인트 상승, 상승세를 보인 반면 토지및 임야(99.0)는 전달보다 0.6포인트 하락, 3개월째 하락세를 유지했다.
금융저축(92.7)과 주식 및 채권(96.8)은 전달보다 각각 2.4포인트, 3.3포인트상승했다.
양성현 기자 shya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