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금융 구조조정이 국민·주택은행 합병과 한빛은행을 중심으로 한 금융지주회사 설립으로 윤곽이 드러남에 따라 해당 은행 종사자들의 동요 또한 심화되고 있다.
무엇보다 IMF 직후 시행된 1차 금융 구조조정이 5개 은행 퇴출로 귀결됐고, 그에 따라 10명 중 6.5명이 장기실직에 고통받았다는 사실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 고용승계된 은행원 28.6% = 지난 98년 6월 퇴출된 은행은 경기 대동 동남 동화 충청은행 등이다. 퇴출은행들은 이른바 P&A(자산인수) 방식으로 주택 국민 신한 한미 하나은행 등에 각각 인수됐다.
인수 때 고용승계된 은행원은 28.6%(2816명)에 불과했다. 64.1%(6309명)에 해당하는 퇴출은행원들은 1년 이상을 미취업 상태에서 지냈다. 나머지 7.3%(716명)의 직원들은 자산관리공사(구 성업공사)와 파산재단에서 일자리의 명맥을 유지했다.
퇴출은행원들은 “1년 이상 실업자로 지낸다는 것은 지옥이나 다를 바 없었다”고 입을 모았다. 이들은 또 세간에 떠돌던 ‘퇴출 당시 한밑천 챙겼을 것’이라는 소문을 강력 부인했다.
‘강제퇴출 5개은행 원상회복 공동투쟁위원회(강투위)’ 관계자는 “퇴출은행들은 역사가 짧아 퇴직금이 기존 은행보다 적었던 데다, IMF 터지자 퇴출당하지 않으려고 자사주 매입에 돈을 쏟아 부었다”며 “퇴출 당시 은행원들은 자기은행 채무와 퇴직금을 상계하고도 1인당 평균 1700만원의 빚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주장했다. 이 관계자는 또 “이 때문에 고용승계된 직원말고는 대부분 신용불량자로 전락해 생계는 물론이고 정상적인 취업이 불가능했다”고 덧붙였다.
금융권 일부에서는 “2차 금융 구조조정은 지난 98년과는 다르다”며 “퇴출이 아닌 합병과 금융지주회사로의 재편 등으로 구조조정하고 있지 않느냐”고 반문하고 있다. 그러나 합병과 금융지주회사로의 재편 등도 퇴출과 마찬가지로 ‘고용불안감을 심화시킨다’는 점에서 “별반 다르지 않다”는 것이 노사관계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 98년 잘리고, 2001년 또 잘릴 처지 = 오는 7월까지 합병키로 한 국민·주택은행 관계자들은 “기능(소매금융)과 점포가 중복되는 만큼 빠른 시일 안에 대규모 인력조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가슴이 당장 답답해진 이들은 주택은행에 고용승계됐던 동남은행 출신 직원 600여명. 이들은 ‘5년 계약직원’의 신분이다. 대동은행 출신 직원들이 국민은행에 정규직으로 고용승계됐던 것과는 달리 비정규직이기 때문에 명예(희망)퇴직 1순위로 거론되고 있다.
전국금융산업노조(위원장 이용득)가 지난해말 재정경제부 금융감독위원회 등 금융당국 쪽에 “한빛 평화 광주 경남은행 등을 금융지주회사로 편입하더라도 이들에게 최소한 2년 이상 독립경영을 보장해 줘야 한다”며 “곧바로 기능재편해서는 안된다”고 주장한 것도 고용 문제와 연관돼 있다.
만약 평화은행에서 노동은행의 특성을 없애버리고, 광주와 경남은행에서 지역특성을 없애버리면 ‘기능중복에 따른 인원감축’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강투위 관계자는 “98년에서 2001년으로 세기가 바뀌었지만 21세기 한국사회 은행원들의 현 주소는 그 때나 지금이나 마찬가지”라며 “10명 중 6명 이상이 언제든지 장기실직자로 전락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렇다”고 결론지었다.
무엇보다 IMF 직후 시행된 1차 금융 구조조정이 5개 은행 퇴출로 귀결됐고, 그에 따라 10명 중 6.5명이 장기실직에 고통받았다는 사실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 고용승계된 은행원 28.6% = 지난 98년 6월 퇴출된 은행은 경기 대동 동남 동화 충청은행 등이다. 퇴출은행들은 이른바 P&A(자산인수) 방식으로 주택 국민 신한 한미 하나은행 등에 각각 인수됐다.
인수 때 고용승계된 은행원은 28.6%(2816명)에 불과했다. 64.1%(6309명)에 해당하는 퇴출은행원들은 1년 이상을 미취업 상태에서 지냈다. 나머지 7.3%(716명)의 직원들은 자산관리공사(구 성업공사)와 파산재단에서 일자리의 명맥을 유지했다.
퇴출은행원들은 “1년 이상 실업자로 지낸다는 것은 지옥이나 다를 바 없었다”고 입을 모았다. 이들은 또 세간에 떠돌던 ‘퇴출 당시 한밑천 챙겼을 것’이라는 소문을 강력 부인했다.
‘강제퇴출 5개은행 원상회복 공동투쟁위원회(강투위)’ 관계자는 “퇴출은행들은 역사가 짧아 퇴직금이 기존 은행보다 적었던 데다, IMF 터지자 퇴출당하지 않으려고 자사주 매입에 돈을 쏟아 부었다”며 “퇴출 당시 은행원들은 자기은행 채무와 퇴직금을 상계하고도 1인당 평균 1700만원의 빚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주장했다. 이 관계자는 또 “이 때문에 고용승계된 직원말고는 대부분 신용불량자로 전락해 생계는 물론이고 정상적인 취업이 불가능했다”고 덧붙였다.
금융권 일부에서는 “2차 금융 구조조정은 지난 98년과는 다르다”며 “퇴출이 아닌 합병과 금융지주회사로의 재편 등으로 구조조정하고 있지 않느냐”고 반문하고 있다. 그러나 합병과 금융지주회사로의 재편 등도 퇴출과 마찬가지로 ‘고용불안감을 심화시킨다’는 점에서 “별반 다르지 않다”는 것이 노사관계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 98년 잘리고, 2001년 또 잘릴 처지 = 오는 7월까지 합병키로 한 국민·주택은행 관계자들은 “기능(소매금융)과 점포가 중복되는 만큼 빠른 시일 안에 대규모 인력조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가슴이 당장 답답해진 이들은 주택은행에 고용승계됐던 동남은행 출신 직원 600여명. 이들은 ‘5년 계약직원’의 신분이다. 대동은행 출신 직원들이 국민은행에 정규직으로 고용승계됐던 것과는 달리 비정규직이기 때문에 명예(희망)퇴직 1순위로 거론되고 있다.
전국금융산업노조(위원장 이용득)가 지난해말 재정경제부 금융감독위원회 등 금융당국 쪽에 “한빛 평화 광주 경남은행 등을 금융지주회사로 편입하더라도 이들에게 최소한 2년 이상 독립경영을 보장해 줘야 한다”며 “곧바로 기능재편해서는 안된다”고 주장한 것도 고용 문제와 연관돼 있다.
만약 평화은행에서 노동은행의 특성을 없애버리고, 광주와 경남은행에서 지역특성을 없애버리면 ‘기능중복에 따른 인원감축’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강투위 관계자는 “98년에서 2001년으로 세기가 바뀌었지만 21세기 한국사회 은행원들의 현 주소는 그 때나 지금이나 마찬가지”라며 “10명 중 6명 이상이 언제든지 장기실직자로 전락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렇다”고 결론지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