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G 및 투자컨소시엄이 현대투자신탁증권에 정부와 공동으로 투자할 것을 정식으로 제의해 옴에 따라 현대투신 외자유치 협상이 급물살을 타게 될 전망이다.
금융감독위원회 진동수 상임위원은 31일 “AIG 및 투자컨소시엄 측은 현대투신의 경영정상화를 위해 우리 정부와 공동출자할 것으로 제의했고 약 1조1000억원 가량의 투자의사를 표명했다”며 “투자후 현투의 경영권 행사를 희망한다고 전해왔다”고 밝혔다. 진 위원은 그러나 “출자규모나 시기에 대해서는 아직 결정된 게 없다”면서 “현투의 적기시정조치가 유예된 2월말까지 여유가 있기 때문에 그때가지 협상을 통해 결론을 낼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개별기업에 대해 할 수 있는 출자방법에 대해 진 위원은 “우선 AIG가 제시한 공동출자 요청을 정부가 받아들일 것인지에 대해 재정경제부 등 관계부처와 의견을 조율해야 한다”며 “또 AIG측과 구체적인 출자방안에 대해서도 협상을 진행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정부와 AIG측의 출자비율에 대해 진 위원은 “AIG가 경영권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51%이상 돼야겠지만 아직 결정된 게 없다”면서 “AIG가 이미 현투에 대해 실사를 했지만 추가실사를 해서 정확한 규모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지난해 9월 AIG측이 현대투신증권에 대해 이미 실사를 마친 상태인데다 정부측도 어느 정도 실사를 해놓은 상태이기 때문에 지난해 3월 추산된 자본잠식분 1조2000억원 이외의 추가부실 부분을 가려내는데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현대증권 경영권 문제와 관련해 진 위원은 “AIG 측이 현대증권에 대한 경영권도 확보하겠다는 의사도 전달했고 현대증권 역시 현대계열에 있는 동안 받게되는 여러 가지 불이익도 고려될 것”이라면서 “하지만 정부는 현투증권 관련 부분만 협상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정부가 현대측이 맡긴 담보주식을 현대투신증권 자본으로 전입한 뒤 부족분을 출자하기로 했다’는 일부 언론보도에 대해 진 위원은 “정부의 출자규모까지 얘기한 것은 아니다”면서 “여러가지 방안 중하나일 수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아울러 “공적자금 투입은행을 통한 현물출자 방식도 방법 중 하나”라고 덧붙였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